Speaker
Description
본고는 유럽에서 한국어 교육의 효시를 이룬 러시아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시작의 역사와 시대별 특징을 살피고, 1990년 한·러 외교관계 수립이후를 시작으로 2024년 현재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동향을 분석, 고찰하여 앞으로 러시아에서 나아가야 할 한국학과 한국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현제 동향에 따른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분석 및 고찰은 분단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러시아에서의 한국학과 한국교육의 이해를 넓히며, 또한 앞으로 1990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러시아 한국학 및 한국 교육에 필요한 부분들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분석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또한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관계의 한국과 러시아에서 이루어진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은 민족 계승어로서, 외국어로서 고려 한인의 역사를 또한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제국-소련-러시아 시대적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소련 시대에 같은 연방을 이루었던 CIS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학 연구는 러시아에서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영토내 대학을 중심으로 살피되, CIS 중앙아시아지역에 한국학과가 설립된 대학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한류와 동시에 최근 세계적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에 따른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속에 2021년 한국어가 공식 러시아 교육부로부터 제2외국어 과목으로 러시아 초·중·고등학교 과정에서 채택됨으로써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사 양성은 현재 러시아 한국어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그 이전부터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고민을 공유하고자, 전 러시아 지역 한국어교수 협회는 2007년에 창립되어졌다. 러시아대학 한국어교수협회(ОПКЯРУ )는 한국어 교육 방법 분야에서 대학 간 경험을 교환하고 러시아 내 한국어 홍보 및 대중화와 관련된 활동을 집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학술 세미나 활동을 2년마다 해 오고 있다. 또한 학술 세미나를 통해 한국어 교수들은 자신의 새로운 연구를 발표하고 경험을 공유하는 동시에 러시아 한국학 발전 전망에 대해 논의를 해 오고 있다. 1991년 소련연방에서 독립한 독립연합국가들 중 2014년부터 CIS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에 소재 대학이 연합하여 중앙아시아 한국학 교수협의회 가 창립되어, 매년 중앙 아시아 대학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의 질적향상을 위해 상호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학술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이 수교이후 1990년대부터, CIS 독립국가 연합 중앙 아시아 국가들은 1991년부터 점진적으로 발달해 가고 있지만, 통시적 관점에서 러시아권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 전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코로나 이후 서방과 미국이 러시아에 가하는 제재로 인해, 지형적으로 유럽과 동양의 특징을 모두 지닌 러시아는 전략적으로 동방 국가 및 아랍권 나라와의 협력과 발전 관계 전환은 동양언어와 아랍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어 교육학에 대한 대학에서 동양언어 및 언어학을 중심으로 언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러시아 소재 대학에서는 한국어와 한국학을 가르치는 대학의 수, 학생 및 교사 수의 양적증가는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1999년에 비해 2024년 현재 대학 수는 4배이상, 학생수는 10배 이상, 교수 및 교사 수 또한 10배 이상이 늘었다.
본 연구에서는 1860부터 한·러 외교 수립이전까지는 문헌 자료를 수집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1990년 발달 과정을 거쳐 러시아 소재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이 신설, 학생수, 교수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2024년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동향을 전 러시아 한국어 교수협회(ОПКЯРУ, Объединение преподавателей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российских университетов)회원인 각 지역 러시아 대학 교수들의 각 대학에서 진행되는 학과 모집,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유형에 대한 설문의 응답을 분석하여 실증적 자료를 연구 분석 내용의 중심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