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2th World Congress of Korean Studies

Asia/Ho_Chi_Minh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 Thursday, October 17
    • Registration Sunwah Building

      Sunwah Building

      Sunwah Building
    • Opening Ceremony & Welcome Performance Sunwah Building

      Sunwah Building

      Sunwah Building
      • Moderator
        Nanhee Ku(Director,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at AKS)

      • Welcoming Remarks
        Nak Nyeon Kim(President, AKS)
        Pham Bao Son(Vice-President, VNU Hanoi)

      • Congratulatory Remarks
        Namsun Song(President, ISKS)
        Youngsam Choi(Ambassador,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to Vietnam)

      • Welcome Performance

    • Keynote Speech Sunwah Building

      Sunwah Building

      • 1
        지역학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학: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Area Studies: The Case of Vietnam)

        이 강연은 한국학의 세계적 확산 과정을 지역연구 혹은 지역학의 관점에서 통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한국학은 외교적, 산업적, 학술적 필요와 한류(Korean wave)의 유행에 힘입어 세계 곳곳에서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정 지역의 연구인 한국학의 이러한 고속성장은 여러 지역의 타문화(other cultures)를 연구해 온 지역학의 기존 경험과 논쟁을 통해 성찰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본 강연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을 순차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우선, 한국학의 세계적 현황과 베트남 사례를 개관한다. 둘째, 한국학 성장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베트남 사례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셋째, 한국학 발전의 명암, 즉 긍정과 부정의 측면을 두루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학 연구에 내재한 모순을 ‘문화 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 관점의 중요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논의해본다. 강연자는 이러한 4가지 점을 다루면서 향후 한국학의 방향, 정체성, 그리고 과제를 청중과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Speaker: Suhong Chae (서울대학교)
    • Luncheon
    • Session 1: 01. Literature (1)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Convener: Do Dieu Khu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2
        Performative character of Yi Sang's prose: between literature and theatre

        Yi Sang (1910-1937) is undoubtedly one of Korea's most original and unique writers. His work shook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and are seen to this day to as a formidable challenge, for generations of readers and literary scholars. Research on Yi Sang's work was undertaken as early as the 1930s, just a few years after Yi Sang's literary debut, and has grown tremendously over the next nearly a century. This is evidenced by the state of research on Yi Sang's literature, which covers more than a thousand academic works. Researchers describe Yi Sang's work from many perspectives: historical, aesthetic, philosophical, psychological; juxtapose it with the work of other Korean and Western writers (Yi Hyo-seok, Kim Yu-jeong, Franz Kafka), interpret the main motifs of Yi Sang's work (death, mirror, door, room), analyze the textual layer (narrator, space, language). In my presentation, I will make an attempt to demonstrate the performative nature of Yi Sang's literature. Based on selected examples of his work, I will try to prove that the narrator consciously theatricalizes his own actions and creates them as a spectacle. This hypothesis seems to be justified by the narrator's exaggerated concentration on his own person, his awareness of his multiple selves, his assumption of poses and attention to his gestures, as well as his perception of the outer reality as a theatrical stage. This research combines two domains: literature and theory of performance, and as such seems to go beyond the limits of the purely literary approach that has dominated research on Yi Sang's prose. Hopefully, it will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is outstanding writer.

        Speaker: Ewa Rynarzewsk (University of Warsaw)
      • 3
        고등학교 교과서를 통한 한-베 문학 교육 비교- 현대소설 문학사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의 편수국장인 함수곤(2000)은 ‘교과서에는 그 나라의 문화가 있고 역사와 전통, 철학과 사상이 있으며 그 나라 국민의 얼이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베트남 전 총리인 팜반동(Phạm Văn Đồng)은 ‘한 민족의 문학은 그 민족의 정신과 혼을 반영한다고 한다’. 이처럼 한 민족의 문학 교과서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한 민족의 정신적인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는 중요한 매체이다. 한국과 베트남은 유사한 역사적 궤적을 겪었다. 두 나라 모두 강대국의 침략과 억압을 오랫동안 견뎌내며 독립 쟁취를 위해 많이 투쟁을 했고 한때 남북으로 분단되기도 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은 민족 문학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을 것이다. 특히 20세기 초부터 20세기 말까지 근⦁현대 시기는 양국 모두 속국에서 독립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과 베트남의 문학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독립운동가의 시나 소설, 민족주의 문학 등이 이 시기에 활발히 발전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문학 교과서, 특히 근⦁현대 소설 문학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비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은 근현대소설의 특징, 이 시기의 소설 발전 과정, 그리고 소설사 시기의 구분에 대한 이해를 밝히며 양국의 근⦁현대 소설 문학사와 문학사 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얼’이라는 것도 조명할 것이다. 또한 비교문학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비교 연구는 상호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한국어교육 측면에서도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문학사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도 큰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내 문학 교육은 다양한 출판사 교과서를 활용하고 있으며 이 중 문학 교과서와 함께 국어 교과서를 다룬다. 문학 교과서는 금성, 동아, 미래엔, 비상, 신사고, 지학사, 창비, 천재(김), 천재(정) 해냄 등 10개의 출판사가 있고 국어 교과서는 금성 동아, 미래엔, 비상(박안), 비상(박영), 신사고, 지학사, 창비, 천재(박), 천재(이), 해냄 11 개의 출판사가 있다. 베트남에서는 문학 교육을 위해 어문이라는 교과서를 활용되며 ‘연’, ‘지식의 연결’ 그리고 ‘창조의 수평선’ 세 가지 교과서가 사용되고 있다. 위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사 내용을 검토한 결과, 한국의 경우 비상교육 문학 교과서, 베트남의 경우 ‘연’ 교과서가 문학사 교육 내용이 가장 효과적으로 수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비상교육의 문학 교과서와 베트남 교육출판투자주식회사에서 발행한 ‘연’ 이라는 문학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Speaker: Duong Thi My Lanh (이화여자대학교)
      • 4
        Beyond Sentimentalism: Revisiting Kim Ji-young, Born 1980 and the Affective Turn in Korean Feminist Literature

        This paper explores the evolving landscape of Korean feminist literature by examining Cho Namju’s novel Kim Jiyoung, Born 1982 (2016) as a pivotal text in the shift away from sentimentalism in the portrayal of gender issues. Departing from traditional modes of highlighting female suffering through emotional appeal, contemporary feminist literature in Korea embraces a new approach that eschews overt displays of emotion, viewing them as potentially limiting to feminist praxis. Through a close reading of Kim Jiyoung, born 1982,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novel employs literary techniques to disrupt emotional identification with its protagonist and challenges the cultural work of sentimental literature in justifying social reality.
        While previous scholarship has often focused on the sociopolitical resonance of Kim Jiyoung, born 1982 with the #MeToo movement,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novel’s political impact lies primarily in its innovative literary strategies. Specifically, the incorporation of sociological research, statistics, and the format of a social report serves to distance readers from emotional identification with the protagonist, Jiyoung, thereby prompting critical reflection on societal norms and structures.
        Furthermore, this paper analyzes the disaffected language utilized by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 which eschews dramatic portrayal of gender conflicts in favor of delivering feminist speeches grounded in natural language. Drawing on Jacques Rancière’s concepts of the literariness of language and an excess of words, the analysis highlights how Kim Jiyoung, Born 1982 foregrounds the agency of female characters as active subjects engaged in the practice of feminist knowledge.
        Ultimately, this paper demonstrates how Kim Jiyoung, born 1982 exemplifies a new phase in Korean feminist literature, wherein women’s self-representation shifts from passive victimhood to active advocacy and empowerment. By elucidating the novel’s literary styles and political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affective turn in Korean feminist discourse and the ongoing transformation of women’s narratives in literature. (308)

        Speaker: Jeongon Choi (University of Oregon)
    • Session 1: 02. Politics (1) Room 104, C1 Building

      Room 104, C1 Building

      Convener: Yonson Ahn (Goethe University of Frankfurt)
      • 5
        Internationalist Goodwill Amidst the Shroud of Racialized History: Life Stories of Japanese Wives

        This paper explores racialized history - how racial factors were embedded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influenced people's experiences - through the experiences of Japanese women who married Korean men in Japan during the 1930s and 1940s. While socially stigmatized, these marriages were ideologically supported by the Japanese Empire's desire to assimilate Korean colonial subjects, forming a unique context for examining the racialized history. Interracial unions arose from the demographic realities during the Second Sino-Japanese War when Japanese men left for the battlefield, and Korean men were brought to Japan for labor. As Japanese males became scarce, some Japanese women chose to marry Korean men, transcending racial boundaries in their emotional connections. Following the Pacific War, most Korean husbands returned to Korea, and many Japanese wives followed them to Korea, often against the will of their husbands. Despite the 1965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Japan and Korea, over a thousand Japanese women stayed in Korea, often rejected by their Japanese families. These women faced poverty, family violence, and racial hostilities, sometimes pushed to commit suicide. Nevertheless, those who survived exhibited 'internationalist' goodwill, working to better their adopted home and promote peace between Japan and Korea. This paper delves into critical moments in these women's life histories, shedding light on the development of their ‘internationalist' wishes in the context of racialized history.

        Speaker: Changzoo Song (University of Auckland)
      • 6
        Transnational Connections: early 20th century Korean mobility to Australia

        In the 1920s and 30s, seven Koreans with ties to the Presbyterian Church arrived in Australia. This group comprised of students and those with roles within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missionary work in Korea from the 1890s-1941 marks a significant and consequential transna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at preceded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in 1961. However, the current English-language scholarship is largely focused on the contributions of prominent Australian missionaries in Korea. Consequently, very little is known about Korean people, their roles, and their experiences in these early encounters with Australians. This paper endeavours to rectify this oversight by offering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se individuals, spotlighting their participation in Australian society, reception in the media, and the pivotal role of transnational actors amidst the backdrop of the White Australia Policy era and Japanese colonial rule. Moreover, this study makes a noteworthy contribution to historical record by identifying and delineating the experiences of all seven Korean trailblazers in Australia during the interwar period. Many of these Presbyterian Koreans emerged as emerged as pivotal figures in Korea’s medical history, such as Korea’s first psychiatrist, Dr Lee Chung Chul, who travelled to Melbourne for a psychiatric research program in 1935. Stories such as Dr. Lee’s exemplify the enduring and multifaceted connections between Australia and Korea that were formed through these early encounters, and further illustrate how transnational perspectives can enrich historical understandings of cross-cultural encounters and transnational mobility between Korea and Australia.

        Speaker: Louise Spencer (University of Melbourne)
      • 7
        한반도와 베트남: 두 국가의 특별한 역사적 ・지정학적 운명과 이에 따른 시사점

        한반도와 베트남은 문화, 역사, 지리 등 다양한 방면에서 유사하지만, 역사적으로 특별한 운명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각각 두 민족이 외세 침입을 어떻게 물리쳤는지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국면을 검토하여, 두 국가의 정치적 선택과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두 민족은 모두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았으며 지속적인 외세 침입으로부터 국가를 지켜냈다. 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배를 받았고, 20세기 중반부터 국가가 분단된 역사적 운명이 유사하다. 양국은 평화를 회복하기 위하여, 1954년 제네바 회담이라는 중요한 국제회의에서 양국의 운명을 토론하였다. 그러나 두 국가는 서로 다른 역사적 운명을 가지게 되었다.
        첫째, 한반도는 지정학적으로 패권국 미국과 강대국인 중국, 러시아, 일본으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고, 베트남은 북쪽의 대국 중국과 육상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남쪽과 서쪽은 비교적 국력이 중견국(Middle Power)에 해당하는 여러 국가들만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한반도의 지정학적 운명이 국토수호를 위하여 자신에게 불리한 요소라고 분석될 수도 있지만, 실제 한반도가 세력균형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어느 강대국으로부터도 침략이나 식민지배를 회피하며 상대적으로 독립을 유지하는 요소가 되었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으로 강대국의 세력균형이 붕괴되어 한반도가 35년동안 일제의 식민통치를 받았다. 이와 반대로 베트남이 한반도에 비하여 유리한 국제환경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지만, 패권국 중국의 침략 야망을 견제하고 억제할 수 있는 강력한 세력이 존재하지 않아서 천년 동안 중국의 침략과 지배를 받았다.
        둘째, 베트남이 서방에 쇄국정책을 취했을 때 프랑스의 침략으로 국권을 상실했고, 한반도는 문호개방정책을 펼쳤을 때 일제의 침략으로 합병되었다. 문호개방으로 일본에만 이익이 되었고, 이미 1910년 이전에 국권의 많은 부분이 일제로 넘어간 상태였다. 셋째, 식민지로 전락한 한반도는 일제 지배의 불법성을 벗어나기 위하여 서방(미국, 프랑스 등)에 도움을 호소하였지만, 베트남은 서방(프랑스, 미국)의 침략으로 식민지가 되었기 때문에, Phan Boi Chau의 운동 같은 경우 초기에 일본의 도움을 요청한 바가 있다. 따라서 식민침략하의 두 나라의 민족주의가 서로의 적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하였다. 넷째, 한반도에서는 기독교가 일본에 대항하는 애국운동에 가담했다면, 베트남에서는 기독교가 프랑스와 힘을 합쳐 식민주의자들의 베트남 침략의 길을 열어주었다. 이처럼 한반도와 베트남의 운명이 국가 존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두 국가의 역사적인 운명에서 어떤 시사점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Speakers: Pham Quoc Su (하노이사범대학교), Tran Huu Tri (하노이국립 외국어대학교)
    • Session 1: 03. Linguistics (1)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Convener: Hyunju Song (경북대학교)
      • 8
        러시아권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과거 현재 미래 - 한국어학의 역사와 현재 현황을 중심으로 -

        본고는 유럽에서 한국어 교육의 효시를 이룬 러시아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시작의 역사와 시대별 특징을 살피고, 1990년 한·러 외교관계 수립이후를 시작으로 2024년 현재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동향을 분석, 고찰하여 앞으로 러시아에서 나아가야 할 한국학과 한국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현제 동향에 따른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분석 및 고찰은 분단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러시아에서의 한국학과 한국교육의 이해를 넓히며, 또한 앞으로 1990년 이후 새롭게 시작된 러시아 한국학 및 한국 교육에 필요한 부분들을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분석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또한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관계의 한국과 러시아에서 이루어진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은 민족 계승어로서, 외국어로서 고려 한인의 역사를 또한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제국-소련-러시아 시대적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소련 시대에 같은 연방을 이루었던 CIS 중앙아시아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학 연구는 러시아에서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 영토내 대학을 중심으로 살피되, CIS 중앙아시아지역에 한국학과가 설립된 대학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한류와 동시에 최근 세계적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에 따른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속에 2021년 한국어가 공식 러시아 교육부로부터 제2외국어 과목으로 러시아 초·중·고등학교 과정에서 채택됨으로써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교사 양성은 현재 러시아 한국어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그 이전부터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의 고민을 공유하고자, 전 러시아 지역 한국어교수 협회는 2007년에 창립되어졌다. 러시아대학 한국어교수협회(ОПКЯРУ )는 한국어 교육 방법 분야에서 대학 간 경험을 교환하고 러시아 내 한국어 홍보 및 대중화와 관련된 활동을 집중시키는 것을 목표로 학술 세미나 활동을 2년마다 해 오고 있다. 또한 학술 세미나를 통해 한국어 교수들은 자신의 새로운 연구를 발표하고 경험을 공유하는 동시에 러시아 한국학 발전 전망에 대해 논의를 해 오고 있다. 1991년 소련연방에서 독립한 독립연합국가들 중 2014년부터 CIS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에 소재 대학이 연합하여 중앙아시아 한국학 교수협의회 가 창립되어, 매년 중앙 아시아 대학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의 질적향상을 위해 상호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학술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이 수교이후 1990년대부터, CIS 독립국가 연합 중앙 아시아 국가들은 1991년부터 점진적으로 발달해 가고 있지만, 통시적 관점에서 러시아권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 전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코로나 이후 서방과 미국이 러시아에 가하는 제재로 인해, 지형적으로 유럽과 동양의 특징을 모두 지닌 러시아는 전략적으로 동방 국가 및 아랍권 나라와의 협력과 발전 관계 전환은 동양언어와 아랍어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어 교육학에 대한 대학에서 동양언어 및 언어학을 중심으로 언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러시아 소재 대학에서는 한국어와 한국학을 가르치는 대학의 수, 학생 및 교사 수의 양적증가는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1999년에 비해 2024년 현재 대학 수는 4배이상, 학생수는 10배 이상, 교수 및 교사 수 또한 10배 이상이 늘었다.
        본 연구에서는 1860부터 한·러 외교 수립이전까지는 문헌 자료를 수집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1990년 발달 과정을 거쳐 러시아 소재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이 신설, 학생수, 교수수를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2024년 한국학과 한국어 교육에 대한 동향을 전 러시아 한국어 교수협회(ОПКЯРУ, Объединение преподавателей корейского языка российских университетов)회원인 각 지역 러시아 대학 교수들의 각 대학에서 진행되는 학과 모집,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유형에 대한 설문의 응답을 분석하여 실증적 자료를 연구 분석 내용의 중심으로 삼는다.

        Speaker: Hye Ran Kim (모스크바고등경제 대학교(HSE University))
      • 9
        Cultural Literacy as a Catalyst for Language Pedagogy: Curriculum Innovations and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in the U.S.

        This presentation introduces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and scholars in Korea to develop a comprehensive, culture-center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s one of the least taught languages, Korean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foreign languages in the
        U.S. educational system, yet it remains one of the most difficult world languages for American students to learn. Despite this significant growth, Korean enrollments still represent only about 6% of all world language enrollments in higher education and less than 1% in K-12 schools. Not only attracting students, but also retaining them at higher levels is a chronic problem, especially at the university level. This is due in large part to the heavy reliance on context, which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for accurate comprehension of linguistic communication in Korean. While this contextuality enriches the language, it also poses a serious challenge to learners who need to understand the complex cultural meanings and expressions inherent in the structure, usage, and manner of speaking of the Korean language.
        Despite a growing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culture into language instruction to enhance intercultural and multicultural communication, these components are more often treated as supplemental to core language instruction or as occasional "treats" to entertain students. This problem is exacerbated by the fact that many educators are not fully prepared to deal with complex cultural issues in the classroom. My project proposes a paradigm shift in language education by inviting a culture-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Korean, targeting the K- 12(+4) curriculum. It aims to develop a comprehensive culture-centered language curriculum. As the lead scholar of this emerging project, working with a group of K-12(+4) educators in the U.S. in collaboration with many scholars in Korea, I will present the project agenda, the issues unique to American school-age learners that require a culture-centered language pedagogy.

        Speaker: Heejeong Soh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UNY) at Stony Brook)
      • 10
        한국어 관계관형절 교육과 응용언어학

        이 발표에서 우리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관계관형절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일까 하는 문제를 응용언어학적 실험 결과들과 관련 지어서 논의할 것이다. 한국어에 ‘관계절’ 이 존재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시작해서 존재한다면 한국어 관계절은 ‘명사구위계 가설’ (NPAH)을 준수하는지를 응용언어학적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논의한다. 선행 연구 실험들은 명사구 위계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 결과도 있고 그 반대의 결과들도 존재한다. 언어유형론적으로 다양한 행태를 보여주는 관계절의 특성과 한국어 관계관형절의 기능-유형적 특성은 무엇인지 비교 관찰한 이후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관계 관형절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인지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 이 발표의 목적이다. 문장 결합 연습이나 형태-통사 구조 중심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문맥과 화용적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한편, 의사소통 상황에서 관계관형절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연습활동을 통한 학습의 필요성을 주장하게 될 것이다.

        Speaker: Jaehoon Yeon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1: 04. History (1) Room 106, C1 Building

      Room 106, C1 Building

      Convener: Wonhee Cho (연세대학교)
      • 11
        조선시대 서울과 지방의 연결고리, 경주인의 존재양상

        흔히 조선을 유교적 통치이념에 기반한 양반관료제 사회로 정의한다. 양반관료제는 과거와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한 문·무관료가, 지배 엘리트로서 국왕을 보좌해 국정을 운영하는 정치시스템을 일컫는다. 양반관료제가 작동하는 기저에는 세도가의 명망 높은 문무관료들 외에 이름 없는 경아전과 하급 원역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시대 내내 120~140여개의 중앙관서에 배속되어 왕실부양과 국가행정을 책임지던 자들이다. 행정의 최말단에서 상급자의 명을 받들어 문서 수발과 회계관리, 창고·자재관리 및 순찰 등의 일상업무를 수행하는 이들이 없었다면, 조선왕조가 양반관료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중앙정부는 중앙각사에 녹사와 서리, 하급원역의 법정 인원을 정해놓고, 궐원이 생기면 충원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이러한 하급 관인에도 속하지 않은 채 조선시대 관료행정을 뒷받침해온 이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이들이 ‘주인(主人)’층이다.
        주인은 한글학회에서 지은 ‘조선말 큰사전’(1957)에 따르면, ① 한 집안의 주장이 되는 사람, ② 물건의 임자, ③ 손님을 대하는 주장되는 사람, ④ 손님을 치르는 집, 곧 여관 하숙의 뜻으로 정의된다. 특히 주인이 ④의 의미를 갖는 것은 조선시대 서울과 지방을 방문할 때 행려자들이 숙박과 식사를 담당하던 여객주인에서 그 뜻이 파생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런데 ‘주인’은 이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용례 외에도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관료 신분이 아닌 채로, 국가의 특정 역을 전담하면서 대가를 받는 이들에게 붙여진 이름이기도 했다.
        예컨대, 조선후기 국가의 부세운송과 공물유통에서 확인되는 ‘사주인(私主人)’, ‘강주인(江主人)’, ‘선주인(船主人)’, ‘창주인(倉主人)’, ‘각사주인(各司主人)’, ‘공물주인(貢物主人)’, ‘여객주인(旅客主人)’, ‘경강주인(京江主人)’ 과 같은 이들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조선시대 지방에서 올라오는 전세, 공물 등의 자원을 도성 한강변에서 수송·보관·유통시키는 일을 맡았던 자들이다. 특히 사주인, 강주인은 조선전기 이래 외방 공리(貢吏: 공물을 중앙각사에 납부하는 지방 향리) 등에게 숙식을 제공하고 세공물을 보관, 방납하던 자들로서,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물주인들에게 왕실, 각사의 공물조달 권한이 부여되고, 사주인들의 방납을 근절하는 조치가 행해지면서 이들의 역할이 축소되었다. 조선전기 방납에 관여한 계층으로는 앞서 언급한 각사주인들도 포함되었는데, 대동법 시행 이후 정부의 공물조달업에 참여하는 공물주인층은 사실상 각사주인의 방납을 합법화한 결과 형성된 계층이라 할 수 있다.
        경주인은 같은 주인이기는 하지만, 사주인 계열과는 형성배경부터 성격을 달리한다. 경주인은 고려시대 이래 지방에서 상경해 서울과 지방의 연락사무와 부세 행정을 맡아보던 향리의 일종으로, ‘경저리(京邸吏)’, ‘저리(邸吏)’로 불렸다. 사주인과 경주인 모두 부세, 공물을 책임지고 납부하게 하는 임무를 띠었으나, 경주인은 공식적으로 지방에서 파견된 향리로서 중앙관서와 지방민에게 물자와 정보를 제공해주는 매개 역할을 했던 자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에서는 전세조공물 혹은 토지의 추가징수분으로 이들의 서울 파견 경비를 마련했다. 기존 연구들 가운데에는 조선시대 부세 상납과 물류유통 구조에서 차지하는 경주인의 역할과 위상을 고려해 이들을 조선시대 주요 상업세력으로 정의하는 견해들이 있지만, 경주인의 기원을 좇아가다 보면 이들은 애초에 중앙권력이 지방권력을 통제하기 위해 만든 기인들과 유사한 존재들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요컨대, 경주인은 고려시대부터 서울에 올라와 각종 역을 지던 자들로, 기인과 더불어 고려시대 지방통치 수단의 하나로 만들어진 향직의 일종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경주인은 기인과 달리 각사에 직접 예속되어 사환하지 않고, 지방과의 연결고리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업무를 이어갔으며, 그 덕분에 경주인이라는 정체성을 조선말기까지 유지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고려~조선 말기까지 왕조국가의 관료 행정을 지원하며, 밖으로 중앙관료·지방수령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안으로 경제적 이권을 획득해갔던 경주인의 실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경주인의 역할과 경주인의 경제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역가(役價)와 고리대 문제에 대해서도 천착해 보고자 한다.

        Speaker: Joohee Choi (덕성여자대학교)
      • 12
        조선시대 왕실 혼례식에 사용된 음식 기물

        이 논문은 조선시대 왕실 혼례식 중 동뢰(同牢) 절차에서 음식과 술을 먹고 마시는 데 사용되는 기물의 종류와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의례에서는 많은 매개물이 등장한다. 의례에 쓰이는 물품은 예의 상징성을 형상화하는 매개물 중 하나로, 매 의식마다 그 권위와 등급에 맞는 의물이 사용되어 의례의 의미와 형식을 더욱 분명하게 드러낸다.
        조선시대 왕실 혼례에서도 여러 물품이 사용되었다. 국왕의 혼례는 납채(納采)·납징(納徵)·고기(告期)·책봉(冊封)·친영(親迎)·동뢰(同牢)의 절차로 진행되다. 이 중에서 동뢰는 현재의 결혼식에 해당하는 혼례의 중심 절차이다. 신랑과 신부가 서로 만나 절하고 술과 음식을 먹는 절차가 핵심이 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때 사용되는 식기에 대해 집중한다.
        기물의 종류를 크게 음식을 먹는 데 사용되는 ‘음식 기물’과 술을 마실 때 사용되는 ‘준작(尊爵) 기물’로 구분하고, 해당하는 기물에 대해 의궤의 그림과 실제 유물을 통해 분석한다. 음식 기물로는 음식을 놓는 상탁(床卓), 음식이 담기는 그릇, 음식을 높이 고여 쌓는데 필요한 ‘우리’, 음식의 독을 판별하기 위한 ‘은고첨(銀孤尖)’ 등이 있다. 준작 기물로는 신랑과 신부가 술을 세 번 마실 때 사용되는 술병과 술잔, 그리고 술을 놓는 탁자인 ‘주정(酒亭)’ 이 있다.
        특히 술병과 술잔은 동뢰 의식의 중심 기물로,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제작되어 신랑, 신부의 하나됨을 경축한다. 술을 한 잔 마실 때마다 술병과 술잔이 달라지며, 신랑과 신부에게도 각각 다른 형태의 술병과 술잔이 사용된다. 마지막 세 번째 술잔은 표주박잔인 ‘근배(巹盃)’를 쓰는데, 원래 하나였던 표주박을 둘로 잘라 만든 술잔으로서 신랑 신부의 화합을 상징한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그릇의 종류와 형태, 남녀 및 신분별 차이, 실제 유물과의 비교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또한 혼례 기물은 연향이나 일부 제사와도 공통점이 있고, 다른 나라의 왕실 혼례식 기물과도 통하는 점이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의 전파와 소통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는 조선 왕실의 혼례 문화를 보다 풍부하게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Speaker: Haiyin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13
        The Paper Plot of 1304: Material Objects and the Constitution of Political Power in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Paper was a regulated material object in Goryeo (918-1392) bearing tremendous power. It was made into books, used to create calligraphy, and served as a tribute gift. These forms of paper have drawn immense attention in the realm of cultural history. Yet, its most impactful usage was as the material substrate of bureaucratic governance and diplomatic intercourse. Paper’s use therein was amplified after Goryeo entered a marriage alliance with the Mongols in 1274, increasing the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intercourse between the two. Consequently, the maintenance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required a steady stream of not just people but paper in the form of edicts, memorials, congratulatory letters etc. However, in 1304 the reliability of that flow of paper was challenged by a plot using a forged memorial. That year twelve sheets of official paper bearing the royal imprimatur lay at the center of a conspiracy to keep the dethroned king, Chungseon in Dadu away from Goryeo and delegitimize him despite his father, King Chungnyeol’s attempts to secure his return. The conspirators apparently deceived the king and sought to use a mission to the imperial court requesting permission for the king to attend court in order to submit a forged memorial defaming Chungseon and keeping him exiled in Dadu. However, the plot foundered on the emperor’s denial of the attendance request. Possession of the documents then became incriminating and an attempt to smuggle the paper back into Goryeo was discovered. The abuse of the memorial was so serious a Mongol War Ministry official was sent to investigate and mete out justice. Ultimately, drafts surfaced implicating two officials who were arrested and sent to the imperial court. This study adopts a material cultural approach that emphasizes the power of moving material objects to generate political relationships to understand paper’s importance in the 1304 plot. By crossing material cultural and textual analysis methodologies, it demonstrates that paper as a material object was constitutive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ngols and Goryeo, vital yet vulnerable to abuse. Accordingly, the study shows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official paper by the chancellery was critical to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Mongol-Goryeo relationship in specific and the Mongol imperial system at large. That generation and projection of political power through paper was a common feature of Mongol Eurasia and brings Goryeo into the global history of material objects in the practice of empire.

        Speaker: Aaron Molna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14
        Pears and Peers: How Western Fruit Species Were Introduced to Northeast Asia via Korea as a Bridge

        Today the "apple-pear" is enlisted as a local specialty and geographic indication product of China Jilin Yanbian Korean Autonomous Region. This species of apple-shaped pear was believed to be brought by peasants from Northern Hamgyong Do in Korea by late 1800s. With natural history approaches this species hardly prove any close relationship with Northeast Asia's local Pyrus spp. but indicates a closer link with American cultivated garden fruits. Across the Yellow Sea, or the West Sea in a Korean context,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s helped people in Chefoo, Shandong to cultivate fruits including pears, apples grapes and cherries, while the missionaries such as John Levingston Nevius has shown an intensive record of evangelistic and Christian community supportive services in both China and Korea. Thru an investigation with the help of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GIS), reconstructions of mission activities and species exchanges will be established then make explanations about the links between diaconia and agriculture, thus bring a link between mission and climate that brought together with the focal point of Korea, where now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birthplace of international Christianity workers.

        Speaker: Dongning Zhang (Fudan University)
    • Session 1: 05. Anthropology, Sociology (1) Room 107, C1 Building

      Room 107, C1 Building

      Convener: Won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15
        한국과 아시아에서 양극화의 특징 : 소득과 자산을 중심으로

        1990년대 냉전 종식 이후 구조적 불평등을 보여주는 양극화는 노동과 자본의 거시적 차원의 양극화를 소득의 양극화를 기본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본 발표에서는 1990년대 이후의 한국을 포함해서, 이른바 “아시아의 용” 이라고 평가되던 신흥개발도상국(NICS)이 2000년대 이후 소득, 자산이란 기준에서 어떤 양극화 양상을 드러내고 있는지 그 특징을 시론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들 아시아 국가군이 이전 시기 발전국가 시기보다 더욱 자본주의 세계체계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데 성공한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의 성격을 명확히 드러내고 있다고 본다면, 구조적/경제적 차원에서 양극화를 다룬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사회체계 전체의 수준에서 자본의 축적과 소득 분배의 양상을 검토하는 작업일 것이다.
        이른바 양극화는 우선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소득 불평등은 지니 계수, 5분위·10분위 배율, 소득 집중도, 상대적 빈곤율 등을 중심으로 살펴볼 수 있다. 다음으로 자산의 양극화는 부동산을 중심으로 하는 양극화, 주식 등 금융 자산 소유를 중심으로 하는 양극화를 검토대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는 소득을 통해 부동산을 구입해서 자산을 축적하는 구조였으나, 2000년대 이래 주식 등 금융 자산을 통한 자산 축적이 확대되고 있다. 본 발표는 지난 30년 동안 한국을 포함한 타이완, 홍콩 등 신흥 개발도상국가에서 ’정책’과 ‘이데올로기’를 통해 어떻게 소득과 자산이란 영역에서 양극화가 확대되었으며 그 양극화를 둘러싼 차이를 가져왔는지 추이를 검토할 것이다.

        Speaker: Won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16
        반지성주의와 정치적 양극화: 최근 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최근 현대민주주의 정치를 묘사하는 핵심 용어는 ‘반지성주의와 정치양극화’이다. 이는 기성 거대 정당 간의 적대성이 강하게 표출되어 타협과 합의의 정치를 찾아보기 어려운 현상의 형태로 나타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본격화된 현대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기존 논의는 대체로 정치가 다루는 쟁점 등에 있어서 대립보다는 합의가 중심이라는 평가가 내려져 왔다. 대표적인 예가 복지 관련 쟁점이다. 어떤 정당도 국민의 복지를 증진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은 가운데, 그것의 정도와 방식을 둘러싸고 갈등을 벌여왔다는 것이다. 결국 정치적 갈등은 이념과 정책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조정을 걸쳐 타협과 합의를 끌어내는 방향으로 귀결됐다.
        하지만 1980년대 중후반을 거치며 미국을 중심으로 양대 정당인 공화당과 민주당 간의 갈등이 격화되어지는 양상이 나타났고, 이를 가리켜 정치양극화라는 용어가 등장했다. 1980년대의 현실 사회주의권 국가가 몰락해 이념 갈등 역사의 종말이라는 진단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양극화는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는 평가가 내려졌다. 유럽 국가들에서도 반지성주의적 인종 편견마저 동원하는 극우 정당의 등장과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좌우 갈등이 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1980년대말 이후 민주화 이행이 시작되면서 타협과 합의의 정치가 자리잡을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양대정당 지배구조에서 정치양극화 양상이 점차 심화되어왔다. 특히 정치적 경쟁세력에 대한 적대적 감정과 편견의 동원에 의존하는 반지성주의적 팬덤 정치가 지배적이다. 1980년대 한국과 비슷한 시기 민주화를 경험한 대만의 경우도 중국과의 관계(양안관계)를 두고 국민당과 민진당을 축으로 정치가 양극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중에 최근 들어 한국과 대만 모두 정치양극화 해소의 일환으로 ‘제3정치세력’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를 감안해 본 발표에서는 한국과 대만의 정치양극화 현상이 제3정치세력에 대한 관심과 기대의 고조로 이어진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면서, 정치양극화 양상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그것의 해소 가능성을 제3정치세력의 성장 문제에 초점을 맞춰 전망해보고자 한다.

        Speaker: Yun Cheol Kim (경희대학교)
      • 17
        한국과 일본의 경제적 양극화와 청년세대 담론의 변화양상

        현재 한국과 일본은 공히 저성장 구조의 장기지속 과정에서 청년세대의 사회로의 안정적인 입사(入社)와 주체화가 어려워져 가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90년대를 거치면서 거품경제가 붕괴함에 따라 근로빈곤층이라 할 수 있는 워킹 푸어(working poor) 현상이 심화되었고, 교육과 경제활동 모두를 단념하는 니트(neet)족 역시 증가하였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청년세대의 사회적 고립화, 경제적 빈곤, 심리적 불안과 우울과 같은 ‘사회적 고통’을 증가시켰다.
        한국의 경우 1997년의 이른바 국제통화기금(IMF)에 의한 구제금융사태 및 이른바 노동시장의 유연화 과정에서 일본과 유사한 형태의 근로빈곤층이 확대되었다. 일본에서의 근로빈곤층의 문제가 주로 초급대학(한국의 전문대학) 학력 이하의 저학력 구조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 것과는 달리, 한국의 경우는 대졸 이상의 고학력 부문에서도 비정규직의 양적 증가와 학력자본의 가치하락이 크게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양극화 현상은 청년세대 담론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사회경제적 양극화는 생활상의 경제적 위축뿐만 아니라, 제도/비제도 정치영역 안에서의 청년세대의 참여와 주체화 역량에도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청년세대들은 공적이고 정치적 세계에서 철수하여 영화 ‘리틀 포레스트’에서와 같이 작지만 확실한 행복(“소확행”)을 추구하는 경향이나, 이른바 MZ세대론으론 대변되는 자기보존적 욕망에 몰두하고 정치적 정의 문제 등 규범적 가치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취하곤 한다. 본 발표에서는 구조적인 갈등 보다는 ‘정체성 정치’로 상징되는 성별 갈등 날카롭게 대두되는 등 2000년대 이후 청년세대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에서의 세대담론의 변화양상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Speaker: Myoung Won Lee (경희대학교)
    • Session 1: 06. Religion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Convener: Sanghee Hwang (성균관대학교)
      • 18
        유교는 불교의 종교성에 어떻게 침윤(浸潤)하였는가

        이 글은 조선 시대 종교 문화에서 유교가 불교의 종교성에 침윤(浸潤)하여 공존할 수 있었던 전략과 요인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학자들은 “불교는 허(虛)이고, 유교는 실(實)이다”라는 주희의 논리를 바탕으로 현세주의적 접근을 통해 일상의 회복과 사회질서의 재건을 강조하며, 후세 지향적 태도와 음복(飮福)을 통해 불교의 종교적 영역인 내세관과 기복 신앙에 침윤하는 전략을 세웠다.
        유교 상례는 망자에 대한 애도를 적절하게 표하면서도 일상생활로 완전한 복귀를 돕고, 상주의 몸을 보전하여 후사를 이을 수 있게 하며, 상주가 망자의 사회적 지위를 넘겨 받는 절차를 통해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등 현세주의적이면서도 후세 지향적인 면이 있다. 유교 제례는 후손들의 결속력과 가족 질서를 배울 수 있고, 효의 뜻을 관철하는 계지술사(繼志述事)의 정신은 조상을 받드는 과거 지향적 태도를 넘어 후세의 자손으로 이어지는 미래 지향적 의식까지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유교 상ㆍ제례가 현세에 집중하면서도 후세를 지향한다는 점은 불교의 내세관과 차별화되며, 경쟁력 있는 종교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유교 제례는 보본반시(報本反始)의 정신에 따라 조상에 대한 감사를 전하는 무대가성이 특징이다. 음복을 통한 내면의 완성은 어떤 대단한 것을 이루기 위한 것이 아닌 일상의 평범함 속에서 행복을 지키고, 가정과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삶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 초월자에게 의지하는 불교의 기복 대신, 유교는 현세에 집중하여 꾸준한 수양을 통해 가정과 사회에서 일상의 평범함을 지키고 행복을 이루어가는 음복을 제시했다. 이는 초월자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삶의 주도권을 통제할 수 있는 자력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큰 강점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유교의 후세 지향적 태도와 음복은 종교의 영역을 일상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그 경계를 허물었고, 이를 통해 신앙생활과 일상생활을 하나로 연결하며 현생의 삶을 완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질서와 도덕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무력을 이용한 타 종교의 탄압이 아닌 유교의 특장점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기존의 토착화된 종교 문화 영역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한 점은 K-종교 특유의 혼합성과 융합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ategies and factors that allowed Confucianism to infiltrate and permeate and coexist with the religiousness aspects of Buddhism withi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based on Zhu Xi's assertion that "Buddhism is void(虛), whereas Confucianism is real(實)," emphasized the restoration of daily life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through a This-worldly orientation approach. They developed strategies to infiltrate and permeate Buddhism’s religiousness domains, such as its afterlife and prayer for blessings, by adopting a future-oriented attitude and receiving blessings(飮福).
        Confucian funeral rites adequately express mourning for the deceased while facilitating a complete return to daily life. They ensure the preservation of the mourner’s well-being, enable the continuation of family lines, and stabilize society by transferring the deceased’s social status to the mourner, reflecting both This-worldly orientation and future generations aspects. Confucian ceremonies teach descendants about familial cohesion and social order, and the spirit of continuity and devotion (繼志述事) in Confucian rituals encompasses not only respect for ancestors but also future-oriented practices extending to descendants. Consequently, Confucian funeral and ritual practices, while focusing on the present, also aim for the future, differentiating them from Buddhism's focus on the afterlife and presenting a competitive religious factor.
        Confucian rituals are characterized by their expression of gratitude to ancesto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porting one's origins and returning to the beginning' (報本反始), while not seeking any form of reciprocity. The completion of inner self through receiving blessings is not aimed at achieving grand results but at maintaining everyday happiness and ensuring stability in home and society. In contrast to Buddhism’s reliance on transcendent beings and prayer for blessings to alleviate existential fears and anxieties, Confucianism emphasizes concentrating on the present and maintaining ordinary life and happiness through continuous self-cultivation. This approa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empowers individuals to take control of their lives without reliance on transcendent beings.
        In conclusion, Confucianism’s future generations attitude and receiving blessings integrate the domain of religion into everyday life, thus breaking down its boundaries. This integration connects religious practice with daily living,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order and moral values that complete the life of the present world. Moreover, rather than using force to suppress other religions, Confucianism’s differentiated strategy allowed it to naturally assimilate into existing indigenous religious cultural contexts, exemplifying the unique blend and fusion characteristic of K-religion.

        Speaker: Je-gyun Park (성균관대학교)
      • 19
        퇴계 감정론 연구 : 허령의 종교성을 중심으로

        동종의 사과나무라도 심는 장소가 어디인가에 따라 그 맛이 전혀 다르듯이 감정이란 단어를 쓰고 있지만 장소와 역사에 따라 그 에토스는 다르다. 최근 서구에서 뇌과학과 인지심리학이 왕성해지면서 감정을 중요시하는 연구들이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감정론의 역사성의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사단칠정이란 논쟁이 지구상에서 조선에서만 유일하게 일어났고 이 논쟁은 개항 이전 300년 동안 이루어진 사상논쟁이었다. 그렇다면 지구상에서 감정의 사상사는 한국이 가장 길게 가지고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한국의 특수성을 드러내기 위해서 허령의 종교성을 중심으로 퇴계의 감정론을 서술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종교라는 단어는 법률적구분으로 쓰였으며 천황을 믿는 신도, 기독교, 불교만 종교라 인정했고 유교는 암묵적 저항단체로 유사종교라 하여 경찰청에서 범죄자로 분류되었었다. 서구가 인정한 종교는 교리, 신도, 교당, 교주가 있어야 했는데 유교는 거기에 해당되지 않았다. 서구의 시선에서는 그렇지만 조선에서 유교는 사서가 성경의 역할을 했으며 제사라는 예배를 드렸다.
        또한 사상적 다름으로 첫째, 서구는 인간의 이성을 보편이라 여겼고, 조선은 모든 만물에 내재한 리성(理性)을 보편이라 여겼기에 그 위상학적 층위도 전혀 다르게 형성된다. 즉 퇴계의 감정론은 서양이 말하는 이성-감정의 이분법을 넘어선 감정인 것이다. 둘째 주객의 문제이다. 서양의 인식론에서는 주체와 객체를 분리한다. 주체의 역할은 객체를 과학적으로 인식하여 사용하려는 게 목적이다. 하지만 조선의 주객은 주인과 손님의 관계이다. 주인은 손님을 섬기는 방법에 대한 주인됨을 수양해야 한다. 이러한 사상적 다름으로 서구의 감정론자들과 퇴계의 감정론은 같은 단어를 사용하지만 내포는 다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퇴계의 감정론에서 에토스를 허령의 종교성이라 말할 수 있는데 이는 주자와도 차이가 있다. 특히 허령의 위치가 다른데 주자는 미발의 영역에서 허령을 봤다면 퇴계는 사단과 칠정을 가르는 이발의 영역에서 허령의 적극성을 말하고 있다. 주자학을 그대로 가져왔지만 한국이란 토양이 고대로부터 종교적 토양이기에 다른 맛을 낸 것이다. 이러한 바탕에서 종교성이 형성되었기에 다석 류영모는 ‘빈탕하신 하나님’이란 말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역사는 K-사상이 가진 고유성이며, 이러한 허령의 종교성은 세계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peaker: Sanghee Hwang (성균관대학교)
      • 20
        The concept of God in Donghak and Daejonggyo and a national identity in 1860~1919

        The Korean Provisional Charter of the Constitution, which was first written on April.11, 1919 by Jo So-ang, known as having a connection to the followers of Daejonggyo, expressed those phrases: "the nation is constructed by God's will(神國)" and "making the accordance of God and Humans(神人一致)." The concept of God in the phrases was intrinsically influenced by the idea of God shown in Daejonggyo's scriptures. The paper will suggest the similarity of the concept of God in Daejonggyo and Donghak; the former has been understood as 'One essence but three functions(the Lord of creation, edification, and governance),' trinitarian, clearly; the latter one does not yet have a compromise for understanding God in scriptures. However, with the meaning of Daejonggyo's frame, trinitarian, it can become apparent. The God whom Choi Je-u met persuaded people to use their ultimate ability inside as potential. In conclusion, Daejonggyo expressed the duty of the accordance to be a God as a human, which can called Dangun; Donghak's scripture also emphasized the actualization of energy within oneself(gi-hwa 氣化) towards the influence of society. Those religions show, whether intrinsically or directly, that being a God as a human can change the world into Heaven. To rescue the Korean ethnic community residing in the turbulent time, being threatened by powerful countries, two religions were building the belief of humans' ultimate potential and the ideal pursuit of transforming the world into Heaven, which were publicly expressed in The Korean Provisional Charter of the Constitution. We can see that Donghak's thought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unique idea for the draft of the constitution alongside Daejonggyo,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peculiar national identity at the time.

        1919년 4월 11일 최초의 상해 임시정부 「大韓民國臨時憲章宣布文」에 적힌 “神의 의지로 세워진 國”과 “神人一致”의 神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었는가? 본고는 이를 추적하기 위한 하나는 방안으로 동학과 대종교의 神관의 유사성이 이 神의 의미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주장한다. 동학의 神에 대한 이해는 아직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하지만 대종교의 삼신일체의 신관의 틀로서 동학 경전에 나타난 神의 특성을 분석해보면 분명히 맞아 떨어지는 지점이 존재한다. 이 두 종교의 신의 공통점은 신이란 초월적 경지에 있는 존재만이 아니라 인간 세상 속에 나타나는 존재이고, 결론적으로 인간이 神과 같은 능력을 사회에 펼쳐 인간을 통해 인간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어나가야만 하는 이상적인 인간관이기도 하였다. 대종교는 이를 '신인(神人)'의 대표적인 상징인 단군으로 제시하였으며, 동학에서는 '기화(氣化)'라는 독특한 개념을 통해 인간이 해 나가야 할 사회적, 정치적 역할로서의 신적인 능력을 강조하고 있었다. 즉, 각 개인이 신인(神人)이 될 때, 비로소 지금 살고 있는 이곳을 천국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관념을 공통적으로 형성하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임시헌장」의 神은 단순히 한 종교에 국한된 神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1860년~1919년까지 한반도에 널리 퍼져 있었던 신인일치(神人一致)의 관념을 드러내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한반도에 생성된 독특한 종교적 민족 정체성의 단면을 드러내준다. 동학과 대종교의 神관은 당시의 불안한 정세 속에서 각 개인이 神人이 되어 나감을 통해 세상이 천국이 될 수 있다는 독특한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관념은 「임시헌장」을 통해 발화되었다.

        Speaker: Songhee Han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 Break
    • Session 2: 07. Literature (2)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Convener: Ikcheol Shin (한국학중앙연구원)
      • 21
        17세기 서얼 문인 성완(成琬)의 대외인식과 그 의미

        제7차 임술사행(1682년)에 제술관으로 참여한 성완(成琬, 1639~1710)은 『취허집(翠虛集)』 4권 2책을 저술한바, 일본 사행의 견문과 소회 및 일본 문사와 창수한 시 33수가 권4 「일동록(日東錄)」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 일본 통신사행에 제술관과 서기는 문한이 뛰어난 서얼 출신의 문인이 주로 선발되었다. 성완의 문인적 역량이 당대 인정받은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성완의 일본 통신사행 참여를 시작으로 그의 조카 성몽량(成夢良)은 기해사행(1719년)에서, 종증손 성대중(成大中)은 계미사행(1763년)에서 각각 서기로 종사하였다. 이는 이 집안이 서얼 명문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성완은 일본에서 자신의 시재(詩才)를 유감없이 표출하였던 바, 「일동록」에는 몇 가지 기록 양상이 포착된다. 그 중에서 일본 문사와의 시문 창수는 제술관으로서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한 것인 만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성완이 교유한 인물로 林春常과 木貞簡, 源璵 등이 있다. 우리에게 新井白石으로 더 잘 알려진 원여의 『도정시집(陶情詩集)』에 서문을 써 준 것은 중요하다. 이때 홍세태(洪世泰)도 발문을 써 주었는데, 이를 계기로 원여는 당시 일본의 대학자였던 木貞幹의 문인이 되었고, 이후 신묘사행(1711년) 때 조선 통신사행의 접대를 전담하는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이처럼 성완의 일본 통신사행과 기록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한일교류와 문학이라는 측면에서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아야 한다.
        한편 성완은 김수항(金壽恒)과 남구만(南九萬) 등 당대 명사들의 연행을 전송하면서 송시(送詩)를 지어주었다. 여기에는 그의 대명의리가 잘 드러나는 만큼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또 그는 「안남국 사신 풍극관의 시에 추후 차운하다(追次安南國使臣馮克寬韻)」3수와 「안남 사신 의재 풍극관의 오언배율에 차운하다(次安南使馮毅齋克寬五言排律)」를 지어 안남과 당시 안남을 대표하는 문인 학자였던 풍극관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표출하였다. 「유구국 사신을 대신하여 조선 사신 이지봉의 시에 차운하다(代琉球國使臣次朝鮮使臣李芝峯韻)」 10수와 「섬라 사신을 대신하여 조선 사신 이지봉의 시에 차운하다(代暹羅使臣次朝鮮使相李芝峯韻)」 5수 등 이수광(李睟光)이 북경에서 만난 유구와 섬라 사신을 대신하여 지은 시도 흥미롭다. 나아가 성완은 「한가로운 가운데 김생 진욱이 서양인 알레니의 직방외기를 소매에서 꺼내 보여주기에 읽고서 쓰다(閑中金生振郁袖示西洋人艾儒略職方外紀覽而書之)」 2수를 지은 바 있다. 이를 통해 그가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뿐만 아니라 서양에 대한 지식 정보 또한 일정 수준 간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성완의 『취허집』을 중심으로 일본・중국・안남・유구・섬라 등에 대한 대외인식의 양상과 특징에 대해서 논의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17세기 한 서얼 문인의 대외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그 층위와 의의에 대한 적실한 평가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Speaker: Hyelee Son (한국학중앙연구원)
      • 22
        유득공의 병세(並世) 의식과 중국 문인 교유

        유득공은 중국 문사와의 교유에 매우 적극적이었는데, 이는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와 병세(並世) 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얼 출신으로 조선 사회에서 신분적 한계를 절감했던 유득공은 자신의 시적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 문인과 교유하며 진정한 우도(友道)를 실현하고자 했다. 이때 진정한 우도는 지난 시대의 고인(古人)이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가는[幷世] 문인과의 교유를 통해서 이룩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의식을 지닌 유득공은 세 차례의 중국 사행에서 다양한 중국 문인과 적극적으로 친분을 나누었고, 동시대 중국 문인의 시선집을 여러 차례 편찬하였다.
        유득공은 1778년에 서장관 남학문의 수행원으로 심양을 다녀왔고, 1790년에는 정사 서호수의 수행원으로 열하를 다녀왔다. 열하 사행에서는 『열하기행시주』와 여러 중국 문사와 교제한 내용을 담은 『난양록(灤陽錄)』을 남겼다. 1801년에 마지막 연행을 하였으며, 중국 문인과의 여러 필담을 『연대재유록(燕臺再遊錄)』으로 남겼다. 세 차례의 사행을 통해 그가 교유한 중국 문사는 대략 60~70여 인에 달한다.
        한편 유득공은 3차에 걸쳐 자신과 주변 문인이 접한 중국 문인의 시를 모은 시선집을 편찬하기도 했다. 먼저 육비・엄성・반정균 3인의 시를 선집한 『건연외집(巾衍外集)』을 펴냈다. 1777년에는 숙부인 유금(柳琴)이 북경에서 이조원(李調元)과의 만남을 통해 접한 8인의 시를 보태어 『중주십일가시선(中州十一家詩選)』을 편찬하였다. 그리고 1796년에는 이를 증보하여 『병세집(幷世集)』을 편찬하였다. 여기에는 70여 명의 중국 문인과 함께 일본‧안남‧유구 문인의 시까지 함께 수록해 동아시아의 문인 90인의 시 277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는 매우 희귀한 사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건연외집』(3인)에서 『중주십일가시선』(11인), 그리고 『병세집』(90인)으로 이어지는 편찬 과정은 유득공이 지속적으로 외국 문사와 교류하며 그 시야를 확대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유득공은 동시대 한자 문명권의 지식인과 문예로 적극 소통하였던 바, 본 발표에서는 그 구체적인 양상과 의미를 소개하고자 한다.

        Speaker: Ikcheol Shin (한국학중앙연구원)
      • 23
        김택영 『여한문선』과 왕성순 『여한십가문초』의 관계 양상과 선문(選文)의 특징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鈔)』는 일제강점기 조선에 소개된 이래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선집 중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 선집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 1850~1927)은 당시 문단에서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의 인사로서, 1910년대부터 『여한구가문초』나 『여한십가문초』가 한문학 문단에 알려져 있었으며, 김태준(1905~1949)이 『조선한문학사』에서 언급한 김택영의 ‘구가(九家)’나 1935년 7월 38일에 발행된 《조선일보》에 문일평(1888~1939)이 비판적 입장에서 소개한 김택영의 ‘여한구대가(麗韓九大家)’와 같은 예로 『여한십가문초』나 김택영의 선문관을 논의한 바가 많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여한십가문초』에 대한 연구들은 김택영의 제자인 경암(敬菴) 왕성순(王性淳, 1869~1923)이 김택영이 선집한 것을 인수하고 다시 나름대로 축소하고 정리하여 편찬한 것에 충분히 주목하지 못한 편이다. 최근에 Cheng Yuan(袁成)과 Xu Zhang(張旭)(2023)은 김택영이 1906년에 엮은 『여한문선(麗韓文選)』(국회도서관 소장본)을 발견해 소개하면서, 1915년과 1921년의 『여한십가문초』의 주 편찬자가 김택영이 아닌 왕성순이므로, 『여한십가문초』가 왕성순의 편찬 의식과 선문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강조하였다.
        이번 논의에서는 김택영이 선집한 『여한문선』과 왕성순이 편찬한 『여한십가문초』의 선문관 경향 및 관계 양상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주목하고자 한다. 『여한문선』은 김택영이 광무 10년(1906)에 중국에서 편찬한 필사본 문장 선집으로, 『여한십가문초』의 초본이다. 선발된 문장가로 고려조 문인 김부식과 이제현을 비롯하여 19세기 문장가인 김매순과 근대 문장가 이건창 등 구가(九家)를 수록하였으나, 오로지 김매순의 작품 일부가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건창의 작품이 빠져 있다. 김택영은 오랫동안 조선 문인의 문장 선집의 편집을 도모하였으나, 불가피하게 망명길에서 『여한문선』을 처음으로 완성하게 되었다. 『여한십가문초』는 처음에는 1915년에 출간되었고 중국인 독자에게 인기 있었기에 1921년에 재판되었다. 이 선집의 편찬에 그들의 사제 관계가 드러나 있으나, 『여한십가문초』는 왕성순이 『여한문선』을 소화한 결과 그 나름의 성격과 의의를 지닌다.
        이번 논의에서는 김택영과 왕성순이 보여준 각각의 선문 특징과 의의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의 선문관과 선문 방법, 그리고 선집에 수록된 작품의 문체와 내용을 비교하고자 한다. 『여한문선』은 ‘전통’ 문장 선집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김택영의 개인적인 비평적 안목으로 다채로운 글 234편 이상을 가려 뽑았다. 반면에, 김택영의 작품을 포함해서 『여한십가문초』에는 1915년 발간본에 총 93편, 1921년 재판본에 총 9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두 선집 사이에 10년의 간극이 있으나,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두 선집의 의의와 목적이 다른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교를 통해 김택영과 왕성순의 문학관·비평관에 대한 더 확실하고 바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peaker: Kevin Jasmin (한국학중앙연구원)
      • 24
        20세기 초 영국인 해밀튼(Hamilton)의 금강산 기행과 인식의 양상

        금강산은 전통시대에 한국인들 누구에게나 주목받는 산이었다. 금강산은 오랜 역사를 가진 불교 사찰들과 함께 계절마다 색다른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경치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금강산 여행을 숙원으로 여겼다. 그러나 강원도 북부에 치우쳐 있고 매우 험한 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 금강산에 접근하여 그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그나마 조선시대 양반들은 여행에 필요한 음식, 교통, 숙박 등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금강산 여행을 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여건이 되지 않는 일반인들은 금강산에 다녀오는 것을 엄두도 내기 어려웠다.
        19세기 말에 조선이 개항을 하면서 서양인들도 조선을 여행할 수 있었는데, 금강산은 일부 의욕적인 여행자들의 여행 노정에 포함되었다. 당시 서양인이 서울과 같은 도회지에서 멀리 떨어진 금강산을 여행하려면 커다란 결심이 요구되었다. 아직 서양인의 한국 내륙 여행이 본격화되지 않았던 20세기 초에 그나마 생활 여건이 비교적 잘 갖추어진 서울을 떠나 금강산까지 가려면 철저한 준비가 필요했다. 당시 영국인 여행자 커즌(Curzon)이 말한 바와 같이, “짐을 나를 동물, 숙소, 음식” 등을 미리 생각하다 보면, 서양인 여행자들은 금강산과 같이 접근이 어려운 곳을 여정에 포함시키기 어려웠다. 그들은 통역자, 짐꾼, 마부도 미리 확보하여 함께 여행해야 했다.
        이번 논의에서는 영국인 저널리스트 해밀튼의 금강산 여행기록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는 The Pall Mall Gazette의 특파원으로 조선에 여러 달 머물렀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GLIMPSES OF LIFE IN KOREA (1904)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냈다. 그는 짧은 체류 기간에도 불구하고 금강산을 방문하여 그 내용을 그의 저서에 담았다. 해밀튼은 1903년 강원도 금성에서 독일인이 운영하는 금광을 방문한 뒤 통역자들과 짐꾼들을 데리고 금강산을 방문하였다.
        이번 논의를 통해 해밀튼이 금강산에서 어느 곳을 방문하였고, 그곳에서 어떤 생각을 하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는 금강산의 절경과 사찰들의 모습을 자세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사찰에 대한 그의 서술은 매우 진지하고 체계적이다. 해밀튼은 금강산을 불교의 성지로 이해하여, 장안사, 유점사, 신계사 등 금강산의 주요 사찰에 관심을 기울였다. 무엇보다 사찰의 분포를 염두에 두고 금강산 여행의 노정을 짰던 것으로 보인다.
        해밀튼의 금강산 여행이 지니는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서양인들의 금강산 기록과 비교하고자 한다. 캠벨, 비숍, 커즌, 밀러, 게일 등이 한국과 금강산에 보인 관심의 내용과 견주는 가운데 해밀튼의 금강산 여행이 지니는 특징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행 노정, 사찰 및 자연 묘사의 특징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당시 서양인의 금강산에 대한 인식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peaker: Yoong-hee Jo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2: 08. Media (1) Room 104, C1 Building

      Room 104, C1 Building

      Convener: Haiqing Li (Curtin University)
      • 25
        North Korean Defectors in Memoirs and Screen Media

        The phenomenon of North Korean defections and migration is one of the most recent historical events to emerge from the North Korean famine of the mid-1990s. Following economic failures and the loss of Soviet support due to the collapse of the Eastern Bloc and the death of Kim Il-sung (1912-1994), between 240,000 and 3,500,000 North Koreans died of starvation or starvation-related diseases in 1994-1998, leading to a large number of defections in the following decades. However,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coming to South Korea is changing.
        Since Kim Jong-un took power in 2011, the number of defectors ha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memoirs by forcibly repatriated migrants has increased. Moreover, women make up the largest proportion of defectors, accounting for more than 70 percent of all defectors between 2004 and 2023, and the majority of autobiographical texts, documentaries and social media such as YouTube, Facebook and TikTok are produced by and for women.
        Similarly, the portrayal of North Koreans in South Korean media in general is a new phenomenon, as the TV series Crash Landing on You (2019-20) shows. More and more North Korean defectors are featured in successful K-dramas such as Squid Game (2021), Extraordinary Attorney Woo (2022) as well as in the various films such as the latest documentary film Beyond Utopia (dir. Madeleine Gavin, 2023) and the Netflix film My Name is Loh Kiwan (Ro Ki Wan, dir. Kim Hee Jin, 2024).
        Using selected autobiographical memoirs by female defectors as well as South Korean dramas and films, this paper analyzes the media discourses on how women defectors are portrayed in selected screen media, assesses the 'defector narratives' in relation to refugees' self-analysis and self-assertion in 'defector memoirs' and autobiographical new social media by survivors and activists, and examines how cultural productions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and migrants contribute to or critique micronarratives of displacement.

        Speaker: Hyunseon Lee (SOAS, University of London)
      • 26
        The Korean Yumeo (Humor) Series Boom Narrative Memories of Key Players

        This paper shares insights from an ongoing exploration of the genesis of [South] Korean yumeo (“humor”), that is: canned jokes. Canned jokes boomed in Korea over the last two decades of the past century, circulating orally as well as printed. In the 1990s, they flourished thanks to Korea’s speedy digitalization, breeding the PC tongsin yumeo (“personal computer communication humor”) through forums for collecting and sharing. Genre-wise, these series consisted mostly of typical canned jokes, centered on one eponymous character: Sa O-Jeong, Choe Bul-am, Mandeuk, President Chun Doo-hwan, Rambo, the Tico car by automaker Daewoo, a broad-mouthed frog, a flock of sparrows, a tribe of man-eaters, etc. These days, yumeo series see a modest revival and form part of a broader nostalgia wave (the retro or newtro trend).
        Sigmund Freud famously maintained that the joke is crafted, while the comical just occurs. If so, who crafted the jokes of the various Korean yumeo series? Searching for originators appears to be futile. After all, canned jokes are “folk lore”, stories passed-on orally by common people. This evokes a collective process, a murky evolution, and unpredictable mutations. Heuristically, asking questions about the genesis of a joke is nonetheless meaningful. Sometimes, the transmission of a joke can be reconstructed. In other cases, it is even possible to define the point at which an “imported” joke was introduced to a Korean audience (for example via the Korean editions of the Readers Digest or the Playboy).
        Collecting anecdotical evidence through interviews with key players (editors of joke collections, in the first place) can offer substantial clues regarding the emergence and spread of canned jokes and yumeo series in Korea – not to mention that this secures narrative memories that might otherwise never get recorded. The data are interpreted in view of relevant already existing sources – which includes, among others, a scarce number of academic research, a bigger number of newspaper articles, as well as prefaces of the numerous yumeo collections.

        Speaker: Andreas Schirmer (Palacky University Olomouc)
      • 27
        How YouTube Journalism Constructs the “China Threat”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the “China Threat” discourse in YouTube journalism by applying the concept of digital nationalism. For this analysi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ews video content produced and distributed by South Korean broadcast news media on the new digital platform of YouTube, with a focus on China-related news cases.
        YouTube already holds a central position in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news in South Korea. The journalism of YouTube by broadcast news media faces a dual task of distinguishing itself from both traditional news and "YouTuber journalism,"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distortion, amplification, polarization, fragmentation, bias, and dissemination of misinformation.
        In analyzing the YouTube journalism conducted by traditional news media, this study focuses on China-related news video content. Since the decision to deploy THAAD by the US in South Korea in 2016, Sino-Korean relations have rapidly cooled. Social media and internet culture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have continuously amplified issues across various domains such as politics, diplomacy, economy, society, popular culture, and history. Consequently, anti-Chinese sentiment has reached its peak within South Korea, particularly through internet culture, including YouTube.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examine how "news media on YouTube" constructs China's image and the perception of "China threat."
        To facilitate such examin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apply the concept of digital nationalism and contribute to existing nationalism studies. Digital nationalism scrutinizes how digital technology reproduces and strengthens the categories of nation and citizenship. It also investigates how digital platforms and algorithms, based on biased nationalism, incite hate speech and group behaviors.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tended to focus on the latter aspect of "hot" nationalism, while neglecting how digital technology operates at everyday level to naturalize and strengthen the categories of nation and citizenship.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ole played by "YouTube-based news media journalism" in presenting new national imaginaries and reconstructing national identities, amidst the existing assumptions of nation and citizenship in traditional news media and the fragmented and extreme sentiments expressed in YouTuber journalism. Through this exploration, the study seeks to expand understanding of digital nationalism by investigating its manifestation in current realities in South Korea.

        Speaker: JungYup Lee (연세대학교)
      • 28
        해외입양인의 미디어 영토 구축하기

        이 글은 한국계 해외입양인들이 자신들의 초국가적 이주 경험을 공유하며 해외입양에 대한 집단적인 목소리를 구축하고 있는 ‘미디어 영토’를 탐사한다. 여기서 ‘미디어 영토’(media territories)는 해외입양에 관한 경험, 정보, 감정을 공유하는 초국가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미디어 공간을 말한다. 한국은 1950년대부터 수십 년 동안 해외입양을 거대한 초국가적 산업으로 발전시킨 나라로, 한국의 해외입양 사례는 오랫동안 대중적/정책적/학술적 관심을 받아왔다. 해외입양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두 개의 영토(송출국과 입양국) 사이에 놓여있는 해외입양인들의 위치성에 주목하여, 관련 법, 정책, 인종적/문화적 차이, 가족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해왔다. 이 글은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 않았던 영역으로, 두 개의 영토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영역으로 작동하는 ‘미디어 영토’에 주목한다. 과거 해외입양산업과 결합된 정책입안자와 입양대행사 등의 주요 행위자들은 당시 지배적인 미디어(신문, 잡지, 방송 등)를 활용하여 해외입양을 선한 행위로 정당화하며 두 개의 영토를 가로지르는 초국가적 이주를 촉진하였다. 이에 반하여, 2000년대 이후 성인 해외입양인들은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하여 해외입양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형성해왔다. 이 글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해외입양인들이 어떻게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초국가적인 연결망을 구축하여 자신들만의 ‘입양인의 디지털 미디어 영토’를 구축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해외입양인들이 주도하여 구축한 디지털 미디어 공간들에 대한 아카이브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공간에서 공유되고 있는 미디어 생산물(인터뷰 영상, 다큐멘터리, 팟캐스트 등)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생산물은 다양한 국가로 다양한 시기에 이주한 해외 입양인들의 개별적인 증언들을 담고 있다. 이 공간에 모인 개별적인 증언들은 해외 입양인으로서의 집합적인 기억과 감흥을 생산한다. 이러한 집합적인 기억과 감흥은 해외입양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와 정치적인 움직임을 구성해내며, 자신들만의 초국가적인 미디어 영토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peaker: Suk Jin Chae (조선대학교)
    • Session 2: 09. Education (1)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Convener: Youngsoon Kim (인하대학교)
      • 29
        상호문화주의 기반 한국문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안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은 2010년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1단계)에서 문화 항목을 독립된 영역으로 구성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이 모형에서 한국문화교육은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개념을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칭되고 있다. 초기 국내 한국어 문화교육은 문화 요소(cultural component)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는 일방향적인 동화주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능숙도를 요구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국내 교육학계에서 확산되는 상호문화주의 패러다임에 따라, 2016년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3단계에서 문화 관점을상호문화적 관점으로 명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 간 동등한 문화임을 전제하는 변혁적 움직임은 단순히 한국문화만을 가르치는 게 아닌 상호 간의 관계를 가르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함을 시사한다. 최근에는 세종문화아카데미에서 문화교육의 관점을 상호문화주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미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부 영역이나 콘텐츠만을 바탕으로 상호문화주의 접근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에 국한하여 한국문화교육에 접근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능숙도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많은 학습자를 포괄하지 못한다. 또한 한국학 영역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한국문화교육의 모형으로 활용되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다.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 관점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한국학의 초국가적 확장을 고려한다면,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한국문화교육의 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및 변용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문화교육이 한국어교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이주민 학습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적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연구자의목표, 이론적 관점 등을 포함한 의미로 교육과정 방향을 검토한다. 특히 Byram(1989), Deardorff(2009), Kramsch(2014)가 주장한 상호문화 역량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이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교육 내용 및 방법으로 나누어 도출한 뒤, 이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문화적 접근으로서 이론적 틀을 제시할 것이다. 이후 해당 모형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시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가 학술적, 사회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

        Speaker: Youngsoon Kim (인하대학교)
      • 30
        고대 한일 교류사를 활용한 상호문화적 한국문화교육 방안

        유사 이래, 한국과 일본은 끊임없이 우호적 교류를 지속해 왔으나 근대 국민국가 성립기 이후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맞물려 일본과의 교류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한일 간의 지정학적인 점을 고려한다면, 한일 교류에 대한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한국문화교육의 변화와 새로운 시도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고대의 한일 교류를 활용하는 한국문화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본 열도 내에는 고대 한국에서 전파된 역사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 이러한 전근대의 한일 교류에 관한 발자취를 살피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 성립기 이후 일본과의 문화교류에 대한 한국의 일방적인 피해 의식을 전환시키는 상호문화적 한국의 문화교육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고대의 한일 교류에 관한 역사 연구는 충분하다고 할 수 없으며, 또 교류를 소재로 한 문화교육도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고대 한일 교류의 역사를 명확히 하는 데서부터 시작을 하고자 한다. 특히 고대 한일 교류에 관한 사료가 풍부한 백제에 초점을 맞춘다.
        이상의 연구 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일본에 전래하는 백제 관련 유적·유물·지명에 관한 것과, 또 관련되는 역사서를 연구자료로 활용한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한일 간의 관계와 교류의 실상을 추적하고 복합적이며 다각적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고대 한일 교류의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상호문화적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대 한일 간의 긴밀한 교류에 비해 이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학문적 시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문화교육을 상호문화적으로 확장하고 발전시키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둘째, 고대 한일 간의 교류에서 나타나는 유익한 점을 바탕으로 미래의 바람직한 한일 관계 구축에 활용을 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이라는 공간적 맥락이 주로 강조되어 온 한국학 영역에서 고대의 한일 문화 교류에 대한 연구성과는 한국학의 공간적 경계를 확장하고 융합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Speaker: Taeho Kim (고난대학교)
      • 31
        역사 콘텐츠를 활용한 상호문화적 한국문화교육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대상의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적 접근이 중요하며, 역사 콘텐츠가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기여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한국문화교육에서 다루고 있었거나 다루었으면 하는 역사 콘텐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최종적으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에 실제로 적용할 만한 사항들을 묶어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등을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학습자의 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외국인 및 재외동포 학습자의 배경 문화와 지식을 비교 검토한 사례를 보임으로써 실질적인 상호문화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한국문화교육은 ‘한국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한 교육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고 그에 따라 다룰 수 있는 범위도 다양하다. 그러나 교육 행위의 핵심으로 간주되는 수업은 효율성을 전제로 설계된 교수요목과 수업계획을 따라야 하므로 교육 내용은 학습자의 요구와 교육의 공통적 핵심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모듈형 구성이 타당하다. 그리고 다양한 학습자 변인들을 고려할 때 교육 방법은 기존의 현지 중심 교육과 더불어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더욱 다양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비대면 방식이 더해진 블렌디드 러닝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우선 기존의 교육과정/교재 분석 및 관련 요구 조사이며, 이를 바탕으로 모듈형 교육과정(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듈형 교육과정을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시범 적용을 위한 절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시범 적용의 대상은 외국인과 재외동포, 일반 목적 학습자와 특수 목적 학습자 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재외동포의 경우는 동포사회의 형성 과정이 비교적 명확하며 상호 교류의 역사에서 다룰 만한 이슈가 분명한 지역(예: 독일)과 재외동포 이주의 역사가 오래되고 세대 간 층위가 다양한 지역(예: CIS)의 기관으로 설정하려고 한다.
        현재까지의 예비 분석 결과 기존에 역사 콘텐츠는 ‘국내 공교육에서 다루는 사항 중 핵심 내용을 연대기 순으로 제시’ 하는 경향이 보였다. 그러나 외국인과 재외동포 대상의 한국문화교육은 ‘지금-여기-나’에서 출발하는 ‘역(逆)연대기적 접근’, ‘주제 또는 시대 중심 접근’으로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할 것이다. 이에 앞서 관련 요구 조사는 크게 ‘교육 모듈의 내용 선정과 구성에 관한 사항, 블렌디드 러닝을 위한 수업 구조화에 관한 사항 등’을 중심으로 수행할 것이다. 조사는 구글 설문, 줌 인터뷰 등의 방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조사 시기는 대략 2024년 7~9월로 예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단계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상호문화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의 관점으로 기존 교육과정 및 교재에서 역사 콘텐츠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한다. 2) 교육 상황 및 요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 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모듈형 교육과정의 핵심인 교육 내용을 선정, 조직한다. 3) 외국인 및 재외동포 학습자들의 학습 양식을 고려한 언어․문화 통합 교수 방법과 활동 중심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고, 다양한 하위 영역을 고려하여 세부 활동을 고안한다. 4) 고안된 활동은 현장 적용 과정에 참여할 교사 및 언어 교육, 문화 교육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을 구해 수정 보완한다.

        Speaker: Dae Yeon Jin (선문대학교)
      • 32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활용한 상호문화적 한국문화학습 모형 개발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에 거주하는 대표적인 정주 외국인 집단으로, 이들이 한국에서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한국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한국문화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교육은 일방적인 전달 중심의 교육이나 동화주의적 관점에 치중되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문화는 일상적인 삶 속에서 학습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한국문화교육에서 다양한 학습 장면을 고려하는 상호문화적 접근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활용한 한국문화학습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상호문화주의적 이주민 학습의 방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로서 자조모임은 크게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예산에 기반한 사회적 자조모임과 자체 예산으로 운영되는 개별적 자조모임으로 구분된다.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발표한 2022 가족지원사업 연간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사회적 자조모임은 2022년 3,931명이 참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개별적 자조모임에 대한 현황은 없으나, 상당수의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적 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자조모임은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 적응 및 정착을 위한 중요한 프로그램으로 관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미 존재하는 네트워크로서 사회적 자조모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학습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연구의 사회적, 학술적 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다문화 학습 모형에 관한 선행 개념을 검토하고, 상호문화주의적 접근의 토대로서 무형식 학습 및 학습 공동체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토대로 자조모임에 기반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문화학습 모형을 개발한다. 개발된 모형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관련 전문가들의 논의 과정을 거쳐, 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한다. 관련 전문가는 다문화교육을 비롯한 교육학 분야의 박사학위 취득자로, 눈덩이 표집을 통해 8-10명을 선정한다. 1차 검토는 서면을 활용하여 연구목적, 개발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정량적 수치로 취합하고, 이에 대한 서술형 의견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2차 검토는 1차 검토에서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된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의견을 수집한다. 필요 시 직접 인터뷰를 진행함으로써 모형을 검증할 계획이다.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사회적 차원과 학술적 차원에서 의미를 지닌다. 사회적 차원으로는 결혼이주여성의 다양한 학습장면을 고려함으로써 일상적 수준에서의 한국문화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천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가치를 지닌다. 학술적 차원에서는 한국학의 초지역적 확장, 이주민 학습의 상호문화적 제안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이 일상적 삶에서 한국문화와 마주하고,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는 지점에 관심이 있다. 한국학은 그동안 초국가적 맥락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연구는 한국학의 초지역적 확장에 기여한다. 또한 이주민 학습의 상호문화적 접근으로서 무형식 학습과 학습 공동체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일상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다문화적 실천을 위한 학술적 가치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결혼이주여성의 자조모임을 통해 모형을 검증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Speaker: Sooan Choi (인하대학교)
    • Session 2: 10. History (2) Room 106, C1 Building

      Room 106, C1 Building

      Convener: Changzoo Song (University of Auckland)
      • 33
        Hidden Treasure: North Korean Printed Materials of 1946 – 1950 in Russian Libraries

        North Korea has come a long way of transformation, and it has not always been the way it has become nowadays. There were several distinct periods in its early history, when it had comparative freedom. In 1945 – 1948 the North has made its first steps to the path of socialist construction and on September 9, 1948, the North has proclaimed establishing of the DPRK.
        All this time (1945 – 1950) the North Korea had limited freedom in several spheres in socio- economic life including freedom of religion. There were around 2000 protestant churches, 410 pastors, 518 Buddhist monasteries and 732 monks in 1949. The DPRK also had a huge private sector of economy, which gave more than half of country’s industrial production. And the North Korean language schools opened for illiterate elders used term hangul (한글) in the school names: "Hangul hakgyo" (한글 학교).
        During the Korea War, the North Korea has lost many original sources of information such as books, journals, newspapers, printed collection of state laws etc. At the same time, the Soviet Union, which was the closest North Korean ally in 1945 – 1950, had all these collections of printed materials preserved in its libraries. They have unique North Korean primary sources, literature, newspapers and other periodicals that are not available both in the two Korean states and, possibly, in other countries of the world.
        The paper gives a survey of some of collections of North Korean printed sources and literature preserved in Russian libraries.
        For example, the Russian libraries have collections of such periodicals as “Korean newspaper” (朝鮮新聞) “Korean-Soviet Culture” (조쏘문화), “Gaebyeok newspaper” (開 新報) and many others. Russian libraries preserve such rare journals of 1946 – 1950s as “Korean Woman” (조선여성), “Life of Youth” (청년 생활) and many others. It is necessary note that even the Library of the Congress located in Washington DC does not possess the full collection of these journals. That means that Russian collection of North Korean periodicals of 1946 – 1950 is unique and has a special value.
        As to the Russian North Korean books collections of 1946 – 1950, they also have unique editions such as 1947 Korean language tutorial for the middle school (국어) or the Collection of North Korean laws issued in 1948 – 195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령 및 최고 인민회의의 상임 위원회 정령집 (1948 년 – 1950 년)).
        Thus, Russian collections of North Korean printed publications of 1946 – 1950 are unique and have a special value comparable to the value of Korean medieval manuscripts and woodblock prints.

        Speaker: Sergei Kurbanov (St. Petersburg University)
      • 34
        Translocal Dynamics of the P’yŏnghwaŭi Sonyŏsang: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investigating the translocal phenomena surrounding the P’yŏnghwaŭi Sonyŏsang (hereafter Sonyŏsang) using the examples of Seoul, Kyoto, and Berlin. Since the first Sonyŏsang, also known as the ‘Statue of a Girl for Peace’, was installed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South Korea, identical or similar replicas have been erected and/or exhibited nationwide in South Korea and other global cities, including Berlin, Sydney, Shanghai, New York, and Toronto. The bronze figurative statue serves as a mnemonic platform and represents Korean “comfort women”, a euphemistic term referring to numerous girls and women, mostly from colonial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and the Netherlands, whom the Japanese military forced into sexual act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hn 2020, 9; Yoshimi 2003, 106–14; Kwon 2019, 7). The initiatives over installing the statue outside South Korea have led diverse actors to collaborate locally and translocally but have also often generated conflict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transnational dissemination of the “comfort women” memorial, emphasizing the role of the Korean diaspora as a carrier and its strategies for the universalization of the collective memory of “comfort women” (Hasunuma and McCarthy 2019; J. Yoon 2019; R. Yoon 2018; McCarthy and Hasunuma 2018; Son 2018; Schumacher 2021). These studies elucidated that collective memory extends beyond national borders through immigrants’ agency, transforming into universally recognized norms, in alignment with extant scholarly works on transnational memory (e.g., Erll 2011; Wüstenberg 2020; Assmann 2014). Adding to this body of scholarship, this paper take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drawing upon insights from sociology, geography, and history, and explores the complex dynamics, including the mobility and socio-spatial configuration of the memorial, through the lens of translocality (Greiner and Sakdapolrak 2013; Porst and Sakdapolrak 2017). By transcending disciplinary confines, this paper offers new perspectives on the memorial’s meaning and significance in different geographical and social contexts and fosters interdisciplinary exchange in Korean Studies.

        Speaker: Ah-Hyun Angela Lee (Goethe University Frankfurt)
    • Session 2: 11. Anthropology, Sociology (2) Room 107, C1 Building

      Room 107, C1 Building

      Convener: Sungkyu Son (서울대학교)
      • 35
        ‘저울질’ 하는 여성들: 2010년대 이후 결혼 준비 문화의 변화와 재구성

        Women ‘tipping the scales’: A Study of Trans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of Wedding Preparation since the 2010s
        ‘저울질’ 하는 여성들: 2010년대 이후 결혼 준비 문화의 변화와 재구성
        김현미 (Hyunmi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결혼 문화 변화가 결혼을 준비하는 행위자들의 갈등과 경합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고, 현재 가장 변화가 극심한 혼수 및 예단 문화를 통해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혼은 전통적으로 결혼 당사자들에게는 온전한 성인으로서의 성원권을 부여하고 두 집안 사이에는 유대와 결속을 강화하는 중요한 통과 의례이며, 한국 사회에서는 부계 중심 공동체 질서를 공고히 하며 가족 중심 가치관을 존속하는 공적 역할을 담보해 왔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시민들은 결혼을 더 이상 공동체나 의무의 개념과 연결하기보다는 개인과 선택의 개념으로 가져가고 있는듯 보인다. 혼주인 부모나 집안 어른들보다 결혼 당사자의 의견이 더 중요하며 결혼에서 폐백, 혼수, 예단 등 전통적인 절차나 물질 문화는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그럼에도 여전히 주거 비용을 제외한 결혼 비용 지출에서 혼수나 예단은 예식장과 웨딩 패키지(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비용을 합친 것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예단과 예물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 유행이 시작된 2020년을 기점으로 전과 후의 비용 차이가 상당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 지점에서 혼수 및 예단 문화의 변화 양상이 결혼 문화에서 시사하는 바가 분명하다고 보며, 이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실상은 다름 아닌 결혼 당사자인 여성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표는 기존 연구들이 미처 주목하지 못한 2010년대 이후 결혼 준비 문화, 즉 웨딩 산업과 온라인 문화의 유착 및 팬데믹 여파라는 사회문화적 배경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혼수, 예물, 예단 등의 물질적 관행의 변화를 소개하며, 특히 ‘결혼식의 꽃’이라 불리지만 제도와 관념에 순응하는 수동적 존재로 비가시화 되었던 ‘신부’들을 심층 인터뷰하여 그들이 부계 중심 가부장제 질서에의 편입을 앞둔 상황에서 결혼을 준비하면서 어떤 인식을 가지고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분석한다. 그들이 결혼을 준비하면서 양가 어머니와 신랑, 관련 업체 종사자 등과 협상 및 갈등하는 과정, 그리고 그를 통해 제도에 순응 혹은 대항하는 과정에서 결혼 의례, 나아가 한국 사회에 어떻게 균열을 일으키고 있는지를 살피고, 이를 통해 결혼 문화의 변화가 갖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그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Speaker: Hyunmi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36
        서비스 노동의 보이지 않는 가치 : 청계천 일대 다방 소상인 노동을 중심으로

        The Invisible Value of Reproductive Labor: Focusing on the Labor of Female Owners of Dabang in the Cheonggyecheon Area
        서비스 노동의 보이지 않는 가치: 청계천 일대 다방 소상인 노동을 중심으로
        정아람 (Aram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년 서울시는 청계천 세운상가 일대 지역을 100여 개의 구역으로 쪼개어 개발하는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였다. 그로 인해 제조 및 유통 상공인들은 대책 없이 강제 이주하거나 폐업했고, 이 대다수의 업체들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던 제조 생산-유통의 연결망은 크나큰 타격을 입었다. 이들을 주요소비자로 거래한 서비스 업종사자들 역시 기존 거래망은 물론 폐업이나 이주를 감행해야 했다. 2019년부터 제조상공인들과 시민들이 힘을 합쳐 ‘도심산업생태계를 보존하라’는 의제로 정책 시정운동을 펼친 결과, 2023년 일부 제조 상공인들이 영업을 지속할 수 있는 임대상가를 준공하게 되었다. 이때 ‘산업생태계’를 구성하는 담론과 정책의 시행은 제조 생산기술 영역을 중심으로 재구성되었다.
        본 발표는 산업생태계 현장에서 제조상공인들의 생산노동 과정에 실질적으로 작용한 서비스업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규모 공장을 운영하는 제조상공인들의 노동환경에 부족한 일상 자원들을 제공한 다방소상인들의 서비스 노동 양상과 그 의미를 살필 것이다. 청계천 일대 다방소상인들은 1990년대 청계천 일대에서 다방업에 종사하기 시작한 여성들로 다방 공간에서 커피나 차 주문을 다루는 것뿐만 아니라, 제조상공인들이 작업 현장에서 충족할 수 없는 식수, 빨래 등을 무급으로 제공하는 관행을 이어오고 있었다. 이러한 무급서비스는 다방업 종사자 간 경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즉각적인 화폐교환보다는, 향후 더 많은 거래를 약속하는 증여 관계의 성격을 보였다. 이러한 관행은 최근, 이 소상인들이 재개발로 인한 임대계약해지로 은퇴하거나 취약한 영업환경을 지속해야만 하는 상황에 맞닥뜨리면서 유지하기가 어려운 전략이 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이처럼 무급(부불) 서비스, 음료 및 대화 등 다방 소상인들의 노동이 생산노동자들에게 친밀한 노동으로 구성된 과정과 그것의 의미를 제공자와 수혜자라는 서로 다른 입장에서 구성된 경험을 통해 살피려 한다. 이러한 복잡한 맥락들을 살펴봄으로써 생산 노동이 재생산 노동에 의존하는 관계성과 여성의 재생산 노동이 남성중심주의적인 기술 담론 환경에서 젠더화 되는 구성적 과정을 논의할 것이다.

        Speaker: Aram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 37
        “폐급”의 사회화: 한국 남자 고등학생들의 동성사회성, 그리고 교육열

        The Socialization of "Pyegeup": Homosociality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Education Fever in South Korea
        “폐급”의 사회화: 한국 남자 고등학생들의 동성사회성, 그리고 교육열
        손성규 (Sungkyu Son), 서울대학교

        본 발표는 좋은 대학에 가고자 노력하는 한국 지방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동성사회성 (homosociality)을 규명하고자 시도한다. 남성성에 관한 영미권의 분석들은 남성 지배 체계를 유지하고자 작동하는 정치문화적 산물이자 이상화된 형태의 남성성으로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다루거나 세지윅 (Sedgwick)이 제시했던 욕망의 삼각형 속 동성사회성의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이는 학교 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Jocks”로 통용되는 운동 집단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분석하거나 아버지를 모방하며 학교가 제시하는 세계에 대립하는 반문화적 노동 계급 소년들의 세계에 집중했다. 이와 같은 학교와 남성성 연구 흐름은 일면 타당하나 한국적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난처한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우선 한국에는 영미권의 운동 집단처럼 명확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재현한 또래 집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영국의 노동계급 소년들처럼 아버지의 남성성을 선망하며 학교에 저항하는 무리 역시 부재한다. 달리 말해, 한국에서는 교육열과 일정하게 관련되어 독특하게 나타나는 또래집단 분화의 특성이 존재한다. 나아가 이성 간 관계가 활발히 나타나는 서구권과 달리 단성(單性) 학교가 다수인 한국의 특성상 여성 교환 혹은 지배라는 문제 의식 속에 부각된 헤게모니적 남성성, 혹은 동성사회성 논의를 경험 자료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른다. 오히려 현지의 경험 자료로부터 출발하여 남성성의 문제를 풀어낼 다른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 구체적으로 발표자는 ‘친밀한 경쟁’을 지향하며 면학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에 탑승하려는 남고생들에게 빈번하게 등장하는 “폐급”의 형상을 인류학적으로 탐색한다. 학생들에게 폐급은 눈치 없이 면학 분위기를 깨는 문제적 존재로 식별되며 수많은 농담거리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다. 폐급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를 통해 본 발표는 상승의 에너지를 함께 받아 상급학교 진학을 꿈꾸는 소년들에게 또래집단 분화의 선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 과정에서 우리와 타자는 어떻게 구획되는지 살펴본다. 인류학적 현지조사에 기반한 경험 자료에 영미권에서 제기된 남성성 관련 논의들, 특히 소년과 학교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문화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발표자는 한국에서 남성성 문제에 접근할 아주 친숙하고 오래된, 하지만 새로운 경로를 탐색할 것이다.

        Speaker: Sungkyu Son (서울대학교)
      • 38
        이태원 게이클럽에서 케이팝으로 놀기: 몸을 통한 놀이의 규칙과 그 효과

        Playing with K-pop at Gay Club in Itaewon: The Rules and Effects of Playing through Bodies
        이태원 게이클럽에서 케이팝으로 놀기: 몸을 통한 놀이의 규칙과 그 효과
        이현화 (Hyeonhwa Lee),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울의 이태원은 한국의 게이클럽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공간으로, 도시의 유흥공간을 중요한 하나의 축으로 전개되는 게이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장소 중 하나이다. 게이클럽을 비롯한 유흥 공간은 음악, 조명, 술, 그리고 사람들의 춤을 비롯한 여러가지 요소들이 얽혀 그곳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그 문화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즐거움으로 사람들을 불러모은다. 특히 게이클럽은 술집이나 바와 같은 다른 게이 공간들과는 달리 시끄러운 음악이 언제나 함께한다는 점에서 언어보다는 몸짓이나 표정을 포함하는 비 언어적인 방식의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는 특징을 가진다. 논다는 목적으로 특정한 공간에 모인 익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몸을 통한 소통은 게이클럽에서 형성되는 특정한 문화와 특정한 양식의 친밀성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게이클럽에서 볼 수 있는 이 같은 친밀성은 단지 사람들 사이의 사적인private 영역에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불특정한 사람들이 모이는 특정한 도시공간에서 사회적이면서 암묵적인 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공적인public 특성을 동시에 가진다. 게이클럽에서 사람들이 주고받는 친밀성을 하나의 ‘놀이’로 간주할 때, 사람들의 행동을 연쇄하는 암묵적인 ‘놀이 규칙’이 있다는 것을 조명할 수 있다. 사람들은 게이클럽에 존재하는 놀이 규칙을 무의식적으로 학습하여 알고 이를 지킴으로써 처음 본 사람들과 하나의 ‘우리’가 되기도 하고 이를 지키지 않는 혹은 지킬 수 없는 사람들과 보이지 않는 경계를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과정에는 게이 클럽을 찾는 개인의 취향에서부터 그곳을 찾는 특정 집단의 사회적 특성까지의 다양한 차원에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요소가 개입한다.
        케이팝은 이태원의 게이클럽에서 나타나는 놀이 요소들 중에서 매우 도드라진다. 사람들은 클럽에서 흘러나오는 한국의 여성 아이돌 그룹의 노래에 맞춰 함께 노래를 따라 부르고 춤을 따라 추며 ‘놀이’한다. 본 연구는 이태원의 게이클럽에서 케이팝을 중심으로 몸을 통해 이루어지는 놀이의 규칙을 밝혀내고, 이 놀이 규칙에 여성성과 게이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소가 얽혀 들어오는 방식에 관해 논한다. 또한 이 놀이가 일시적으로는 함께 노는 ‘우리’의 안과 밖을 만들어 냄과 동시에, 특정한 도시공간에 하나의 소수자 문화를 지속하고 또 변화시키는 데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일 것이다.

        Speaker: Hyeonhwa Lee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2: 12. Art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Convener: Keith Howard (SOAS, University of London)
      • 39
        Sonic Constructions of Traditional/ National Music in South and North Korea: Exploring Film Soundtracks

        This article contributes to musicology, cultural studies, and inter-Korean scholarship, within the global Korean Studies community. The soundscapes of place in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are constructions (Howard 2020, after Handler and Linnekin 1984). What we hear and see today is the legacy of a divided peninsula, as two states moved apart in the post-Korean War (1950–1953) period. This paper looks at the relatively neglected area of film music to explore consonance and dissonance with elements of tradition in the soundtracks of films. First, to discuss how perspectives of kugak or minjok ŭmak – the first the accepted South Korean term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second prescribing “national music” in North Korea – developed and shifted, I look at two early post-liberation films, the South Korean Yangsando (Yangsan Province, 1955) directed by Kim Kiyŏng (1919–1998), and Moranbong, “Chronique coréenne” (Moran Hill, Korean Chronicle, 1959), the sole Franco-North Korean co-production to date, with a screenplay by Armand Gatti (1924–2017). Both soundtracks challenge the dominant understandings of kugak and minjok ŭmak, both incorporating the genres of p’ansori/ch’anggŭk and sanjo and featuring important, almost legendary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 Chŏng Namhŭi (1905–1984), Pak Ch’owŏl (1917–1983), Kim Yundŏk (1918–1978), and Sŏng Kyŏngnin (1911–2008). Second, I consider how the “national folksong,” Arirang, has been co-opted into films in both states, exploring the distinct and contrasting ways in which it is used. I will briefly return to the silent film era and reconsider Na Un’gyu’s lost movie, Arirang (1926) through the narrated recording by Sŏng Tongho and Kang Sŏgyŏn released around 1930 on Regal Records. Then, I zoom in on three recent films, the South Korean D-War (2007) directed by Shim Hyŏngnae (b.1958) and Arirang (2011) directed by Kim Kidŏk (1960–2020), and the Chinese-North Korean co-production Meet in Pyongyang (2012) co-directed by Xierzhati Yahefu and Kim Hyŏngch’ŏl.

        Speaker: Keith Howard (SOAS, University of London)
      • 40
        The Post-Nostalgic Underpinnings of North Korean Songs of Arirang

        This article contributes to musicology, history, and inter-Korean scholarship within the global Korean Studies community. In 2014,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inscribed the iconic and treasured vocal music tradition of “Arirang” on UNESCO’s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not as a single folksong but as an entire “popular lyrical singing genre.” This was the first time North Korea received formal recognition for its intangible culture from UNESCO, which occurred just two years after South Korea added its own entry of Arirang to the list. Rather than interpreting Arirang's sonic culture in the North as a collection of specimens to be preserved, this paper examines Arirang through the lens of “heritagization,” i.e. the processes of instrumentalizing and repurposing what is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for novel social applications (Margry 2011; Sánchez-Carretero, 2015). Despite the DPRK’s decision to highlight six regional versions of “Arirang” to be safeguarded, “Arirang” is very much a living tradition in the DPRK; furthermore, two of the most prevalent versions of Arirang in the North, “Yŏngch’ŏn Arirang” and “Kyŏngsangdo Arirang,” are named after regions in present-day South Korea, with the former being only rarely heard and the latter having a different name in the ROK (Jin 2019). Such a circumstance has resulted from the arbitrary nature of Korea’s postcolonial partition, considering how much Arirang renditions and vocal music characteristics over the entir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resemble each other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other parts of North and South Korea. While in inter-Korean interactions, Arirang has represented the restoration of an idyllic and independent national community prior to its colonization and protracted separation, within the DPRK, the song has served cultural hegemonic ends, augmented by musical and lyrical changes to trigger revolutionary optimism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Borrowing from Frederic Jameson’s notion of “nostalgia for the present” (1991) and referencing decades of sheet music, recordings, and official publications, this paper will demonstrate how songs of Arirang in the DPRK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cultural creation, identity construction, and indigenization.

        Speaker: Peter Moody (고려대학교)
      • 41
        Cold War and the Divergence of Musical Aesthetics and Styles in Korea

        This article contributes to musicology and inter-Korean scholarship within the global Korean Studies community. During the Cold War, a vast array of cultural resources, from propaganda posters and radio broadcasts to jazz bands, symphony orchestras, and ballet troupes, was mobilized to propagate the competing ideologies of the East and West. Frances Saunders (2000) termed this the “Cultural Cold War,” wherein propaganda permeated the arts, including music. The global musical landscape was starkly divided. The Western world favored experimental soundworlds, including the improvisational freedom of jazz and the avant-garde movements epitomized by the emancipation of dissonance that grew from the serialism of Schoenberg. In contrast, the Soviet bloc embraced the aesthetic of socialist realism, prioritizing nationalistic tonal music. This paper interrogates the musical divergence of the two Koreas following their establishment in the context of the broader international Cultural Cold War. After liberation and the subsequent national division, both Koreas aimed to forge independent, robust national identities, but their approaches diverged sharply.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sought to protect its musical heritage through legislation, whereas the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influenced by Soviet and Chinese ideologies, reformed indigenous musical instruments to align with Western standards, modifying them to accompany propaganda songs framed by diatonic harmonies. This paper explores how the divergent paths were highlighted in the first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held in 1985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family reunions in Seoul and Pyongyang. This historic event marked the first time that citizens and music crossed the border between North and South. Its concerts, held in both capitals, featured blends of folk music, dance, and newly composed Western-style repertoire. The initial joint performance showcased mixed emotions of joy and sorrow at family reunions but was met with blunt criticism from both sides. Thirty-five years of division had cultivated distinct aesthetic tastes, and shared folk traditions highlighted the aesthetic differences more than any other genres. South Korean critics decried the North’s performances as inauthentic ‘mashups’ lacking traditional beauty. Conversely, North Korean critics viewed the South’s music as antiquated and stagnant, mired in old and ‘decadent’ traditions. However, despite the initial backlash, cultural exchanges and collaborations have persisted, fostering deeper mutual understandings, as my paper will show.

        Speaker: Chaeyoung Lee (Boston University)
      • 42
        Sonic Routes to an Ancestral Homeland: The Bi-polarized Timbre of Kayagǔm by Two Zainichi Virtuosic Artists in Cosmopolitan Seoul

        Among diasporic Koreans in Japan (Zainichi), two prominent political groups support the respective regimes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paper engages with Koo’s argument regarding Zainichi musicians in the North Korean performance troupe in Japan, specifically addressing the idea that their political/social affiliations are transcended by their artistic practices (2019). Through an exemplary study of two Zainichi virtuosic artists, Bokyung Kim and Yangsook Mo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a)political stance is intricately connected to both their musical practices and their choice of kayagǔm in cosmopolitan Seoul. These inbound Zainichi Koreans pursue the sound of home by seeking to establish their own “artistic lineage” (Koo 2021) and their navig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ship which delineates their position-taking in two different genres. Their musical skills– represented by the twelve-stringed and twenty-five stringed kayagǔm – feature the contrasting timbres of these instruments and their performance techniques within two genres, specifically traditional folk/court music and contemporary compositions. The twelve-stringed kayagǔm is contrasted with the twenty-five stringed version, which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twelve-stringed instrument in terms of sound elements such as loudness, pitch, and resonance. I consider that their musical behaviors projected onto kayagǔm remain aligned with their previous association with the politics played by the musicians’ families and their ongoing efforts to maintain their “artistic lineage” in South Korea insofar as it obliterates their ethnic markers as Japanese. Ultimately, their aim is to become conciliators in promoting ancestral and traditional sound, through performing two sonically and materially disparate versions of the kayagum.

        Speaker: Sunhong Kim (University of Michigan)
    • Banquet
  • Friday, October 18
    • Session 3: 13. Culture (1)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Convener: Chaeyoung Lee (Boston University)
      • 43
        The Musical World of Sejong the Great: Convergence and Interaction

        No matter what anyone says, Sejong the Great is clearly the king who left behind the mos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the 500-year history of Joseon Dynasty. Among his many achievements, the creation of Hangul is the most praiseworthy achievement in Korea's long history, but his cultural achievements also deserve great praise as well. In particular, the many musical contributions he left behind were unprecedented in Korean music history.
        He established new court music institutes while improving existing several music institut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founding of Joseon, adapted and institutionalized Aak (雅樂) that had been performed without a proper system in the court at the tim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struments to expand the base of music, opened the era of musical notation by inventing the music, score, and pioneered a new field of Korean court music by creating new pieces of music. In addition, he systematized numerous court ceremonies and rituals so that these musical results by him could be properly realized or utilized.
        These musical accomplishments he achieved became the basic frame of reference for almost all court music-related matters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tinued for future generations until the early last century. Among his musical achievements, the results of adapting Aak and creating new pieces of music had enriched Korean music repertoire and became a proud musical cultural heritage that has continued to this day.
        Why did he devote himself to the music business, then? How did he achieve his outstanding musical feats? What kind of spirit did he have that made it possible to create great musical achievements? Can’t we look at all aspects of his musical achievements through convergence and interaction of studies? Unlike many existing studies that mainly focused on facts about the musical achievements by Sejong the Gre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t from the above perspective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academic meeting.

        Speaker: Daecheol Sheen (한국학중앙연구원)
      • 44
        Who are the we ‘uri’ in Korean?

        It is usual for Koreans to use wuri ‘we’ to talk about their spouses, as in wuri nampyeon ‘my husband’ [we husband] and wuri manura ‘my wife’ [we wife]. But this does not mean that the husband or wife in question has multiple spouses. Rather it is usually understood that they have only one spouse. If so, how can one use, e.g., wuri nampyeon (or wuri manura) to refer to the husband (or wife) of one person, i.e., the speaker herself (or himself)? Recently, many works in Korean linguistics and philosophy address this question. While they offer a wide variety of ingenious answers, most of them assume that if the wuri in those phrases are used as a plural pronoun (a Korean counterpart of, e.g., the English we), the pronoun cannot semantically refer to a single person. In this article, I will argue that this is a mistaken assumption, for (a) plural terms (e.g.,‘Cicero and Tully’, ‘they’) can refer to one thing, and (b) there is a general phenomenon of using plural pronouns (e.g., ‘we’) to refer to one person. The latter phenomenon is called nosism, which includes the royal or majestic plural (pluralis majestatis). Thus, I will argue that the use of wuri in wuri nampyeon or wuri manura is a case of nosism, and discuss why Koreans prefer the apparently illogical wuri nampyeon [we/our husband] to the straightforward nae nampyeon [I/my husband].

        Speaker: Byeong-uk Yi (University of Toronto)
      • 45
        A Snapshot of the State of Korean Studies: Insights from AAS Presentations, 2017 to 2024

        In this presentation, I analyze the contents of individual presentations on Korean Studies delivered at the Association of Asian Studies Annual Conference over the past seven years, namely 2017 to 2024. The term “Korean studies” here refers to the content of papers submitted to the AAS. Although some presenters are of Korean nationality and affiliation, the majority of presentations are made by researchers from outside Korea. This presentation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studies, compare it with previous achievements in the field, and examine the direction in which Korean studies is heading.
        To date, analyses of trends in overseas Korean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detailed analyses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individual case studies, often concentrating on the life work of specific researchers or the collective output of multiple researchers. However, analyzing a large body of work is challenging, not only due to the sheer volume but also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accessing such materials. This presentation, through its analysis of recent AAS presentations, seek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for focusing on AAS presentations to outline the trends in overseas Korean studies. First, the timeliness offered by panel organization and conference presentations allows for quicker identification of recent research outcomes compared to publication in academic journals or books. Also, the review process for panel organization ensures a certain level of quality in presentations. According to AAS’s official information, 68% of applicants for collaborative sessions (panels, roundtables, workshops) are accepted, while only 10% of individual applicants are accepted. AAS’s official website has made accessible the abstracts of all presentations from 1995 to the present, facilitating data collection. Detailed information on panels from each conference can be found at the AAS website, making research materials relatively easy to collect. Lastly, the availability of a large quantity of data enables quantitative analysis, which is significant because more than 400 individual presentations from five academic conferences were analyzed. This allows for a broader analysis beyond individual research or qualitative studies. Moreover, analyzing the achievements in overseas Korean studies withi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AAS allows for a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area studies – such as Chinese and Japanese Studies, albeit with some limitations.
        The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content seeks to address two main questions. Firstly, has the widespread mention and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often referred to as the “Korean Wave,” had any impact on its status within internationally recognized expert academic societies? Secondly, what are the recent trends in Korean studies as reveal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this analysis, I aim to modestly examine the trend of Korean studies and hope to offer insight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tudies through this examination.

        Speaker: Wonhee Cho (연세대학교)
    • Session 3: 14. Media (2) Room 104, C1 Building

      Room 104, C1 Building

      Convener: Andreas Schirmer (Palacky University Olomouc)
      • 47
        ‘기생충’과 ‘오징어게임’을 통해 한국의 발전 과정을 돌아보는 경제정치학적 접근

        1960 년대부터 고속성장을 통해 경제발전의 기적을 이룬 한국은 세계 개발도상국들에게 중요한 표본 사례를 제공해 왔다. 한편으로 ’기생충’이나 ‘오징어 게임’ 과 같은 최근 몇 년 간 나온 한국 영화 드라마의 히트작들은 한국 경제발전 기적의 어두운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극히 개인적이고 한국적인 서사들로 한국 사회의 두드러진 현상을 보여주며 전 세계의 보편적인 가치들까지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통해서 한국경제발전 과정을 되돌아보며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적 현상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에서 부각되는 불평등과 부조리한 경쟁 체제에 중점을 둔다. 이렇게 히트작 K-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 한국 현대 사회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며 그 넘어서 한국 경제사회 이해에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적용한 시도를 한다.

        Speaker: Nguyen Thi Ha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VNU Hanoi)
      • 48
        Busan to Bangladesh: Roles and Relations of K-Cinema towards Transforming South Asian Film Industry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the often-overlooked but significant influence of South Korea on South Asian cinema culture in recent years. While Bangladesh film industry holds a history of almost a century, it has not been able to feature itself in the global arena. On the other hand, the film industry of South Korea or K-Cinema significantly thrived since the 1990s and made itself a regular award-winner in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round the worl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played a pivotal role in making K-Cinema a part of the global film community. Various institutional measures of BIFF has also been geared to develop other Asian film industries. In that process, Bangladesh’s independent film culture got connected with BIFF in various ways during last one decade or more. However, the role of K-Cinema in enhancing and transforming Asian smaller film industries has not attracted much researchers. Therefore, a unique case of transnational connection between Bangladesh’s independent cinema and K-Cinema through BIFF has never been studied.
        This paper is going to be the very first step to research and present this phenomena with a suitable methodological rigor it deserves. While K-Cinema’s global success is well-documented, this paper for the first time delves into the lesser-known yet profound impact it has had on national cinemas in countries traditionally at the periphery of the film industry. Through a thorough analysis, the paper will reveal how BIFF and overall K-Cinema have become instrumental for Bangladeshi independent filmmakers. By examining the intricate dynamics of this cultural exchange, this research paper will not only shed light on South Korea's role as a cinematic catalyst but also underscore the resilience and creativity of independent cinemas in South Asia within the broader Asian film landscape.

        Speaker: Zakir Hossain Raju (Independent University Bangladesh)
    • Session 3: 15. Linguistics (2)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Convener: Yuan Xin (단국대학교)
      • 49
        ‘빵’의 어휘사: 근대 조리서의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근대에 ‘bread’가 수용되고 번역된 양상부터 현대 한국어 ‘빵’의 정착까지 살펴봄으로써 ‘빵’의 어휘사를 기술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빵’은 19세기 말에 선교사들에 의해 소개되었는데 유입 초기에 성경에서 ‘ᄯᅥᆨ’이라 번역되었다. 한국의 최초 서양 음식 조리서인 『조양반셔』(1899)에서 ‘빵(bread)’을 ‘ᄯᅥᆨ’과 ‘cake’과 구별하기 위하여 ‘밀ᄯᅥᆨ’으로 번역되었다. 1911년에 발간한 『한영ᄌᆞ뎐』 수정증보판에서 ‘면보’를 ‘bread’ 로 뜻풀이하여 ‘빵’은 ‘ᄯᅥᆨ’ 뿐만 아니라 ‘면보(麵麭)’로도 번역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시기에 포르투갈어 ‘pão’를 일본어에서 음에 따라 차용한 ‘빵’은 한국에 유입되었다. 이후 제과 기술의 전래와 빵을 소비하는 문화의 확산에 의해 세력을 얻고 현대 한국어까지 정착되었다. ‘빵’은 ‘ᄯᅥᆨ’, ‘면보’, ‘면포’ 등 번역어와의 경쟁에서 언제부터 세력을 얻기 시작하였고 정착되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본고는 ‘빵’의 정착 과정을 연구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빵’을 기술한 17종 근대 조리서에서 ‘빵’과 다른 번역어의 사용 양상을 검토하여 득세하기 시작한 시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Speaker: Nguyen Thi Tuyet Nhung (한국학중앙연구원)
      • 50
        『한불자전』과 『한영대자전』의 기독교 표제어 비교 연구

        이 연구는 근대 전환기 이중어 사전인 『한불자전』(1880)과 『한영대자전』(1931)에 등재된 기독교 표제어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19, 20세기 선교사들의 한국어 연구는 선교와 성서 번역에 주된 목적이 있다. 특히 그들의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은 성서 번역의 기초 작업이었다는 점에서 종교 전문 용어 표제항의 선택과 등재 양상을 전면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성서 번역 자료로서 해당 사전들이 가지는 성격을 살피는데 도움이 된다. 이 시기 이중어 사전에 등재된 기독교 표제어는 의미의 변화를 겪었다. 일반 어휘가 기독교 번역어로서 차용되기도 하였고, 기독교 전문 용어로 쓰이던 것이 점차 일반 어휘로 흡수되기도 한다. 또한 이중어 사전 편찬 과정에서 번역어로서 한자어가 생겨나기도 하였다. 이중어 사전에 수록된 기독교 표제어를 살피는 것은 근대 전환기 어휘의 다양한 의미 변화 양상을 살피는 데에 유효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종교학적으로도, 국어 어휘사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Speaker: Sunyoung Hwang (한국학중앙연구원)
      • 51
        『사민필지』에 나타난 외국 지명 연구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의 『사민필지』는 19세기 말 한국 최초의 세계지리 교과서로서, 당시 조선에 서양 지리학의 도입과 세계에 대한 관심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민필지』에서 외국 지명의 번역과 표기는 당시 한국어가 새로운 어휘를 수용하는 방식과 표기법의 전환을 반영하고 있다. 『사민필지』는 단순한 세계지리 교과서를 넘어서, 조선이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언어와 규칙을 어떻게 조율하고 발전시켰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된다. 이 연구는 『사민필지』에서 제시된 외국 지명의 한글 번역 및 선택 과정을 통해 근대전환기 한국어의 어휘 및 표기법이 외국 지명 번역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이러한 양상이 당시의 사회와 국제 관계에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표기 방식의 변화와 번역된 지명의 문법적 구조를 통해 근대 전환기 한국어의 언어적 특성과 어휘 수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민필지』의 외국 지명 표기를 중심으로 당시 혼란했던 표기법 문제를 조명하고, 글로벌 지식과 언어를 수용함으로써 자국어로 통합하고자 했던 방법과 성격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사민필지』를 통해 조선이 세계와 소통하는 과정에서 겪은 언어적 도전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한다.

        Speaker: Ayeong Han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3: 16. History (3) Room 106, C1 Building

      Room 106, C1 Building

      Convener: Mark Caprio (Rikkyo University)
      • 52
        With Boots on the Ground: Japanes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This article explores the participation of Japanese men and women in the Korean War for the historical branch of the global Korean Studies community.
        Japan’s surrender terms, as well as Article IX in its 1947 Constitution, instructed the defeated people to “renounce war as a sovereign right of the nation” and from maintaining military forces of any kind. Yet, with the 1950 start of the Korean War, Japanese facilities were revived to play, in the words of one United States diplomat, an “indispensable” role in the war. Additionally, a small but significant number of Japanese nationals crossed over to Korea to participate in the fighting. They killed, were injured and died, and were captured by the enemy in the process. Not only Japanese men, but also Japanese women were recruited in nursing roles during the war. All of this was conducted in secret with participating Japanese ordered to withhold any information on these events at the end of their exit interviews. However, the present century has seen much research on these events, some drawing from the 1000-plus pages of interview transcripts that are housed in the United States archives (NARA in College Park, Maryland) to reveal Japanese participation to an extent greater than some countries in the UN Command.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seventy Japanese men crossed over to Korea from 1950; thousands more boarded ships to engage in minesweeping operations. Others were sent over to offer technological advice based on knowledge they had gained during Japan’s thirty-five-year colonial period.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Japanese men and women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with boots on the ground or in the seas surrounding the Peninsula at this time.

        Speaker: Mark Caprio (Rikkyo University)
      • 53
        Mongolian Volunteers, North Korean Hero Horses and American Equine Idols of the Korean War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the horse during the Korean War, finding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horse and human in Korean history, and the wider context of hero and war horses in human conflict for both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 branch of the global Korean academic community.
        The Korean War was primarily a human conflict, but with previous writing on the place of pigeons and other animals in European conflict, as well as a developing body of work on animal geographies and cultural geographies of more than human relations in mind, this paper considers the conflicts’ equine belligerents and participants. The paper considers the lives and journeys of horses gifted to North Korea by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so numerous they were referred to as the Mongolian Volunteers. Archival material from Mongolia suggests Manzhouli became the transshipment point for these animals (as well as other war time materiel). on their long journeys from the steppe to the war’s frontlines. Still longer were journeys travelled by horses captured from the North Korean side and co-opted into the United Nations forces and particularly into the US Marine Corps. Some, such as the mare who became known as Sergeant Reckless, would find their extensive service granted them passage across the Pacific and distant retirements in southern California. Other horses would become vital elements in a young North Korea’s post war mythologies and mythographies, their memories projected even into the contemporary imagination of North Korea. While this paper situates itself in the time and place of the Korean War it finds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horse and human in Korean history, and the wider context of hero and war horses in human conflict.

        Speaker: Robert Winstanley-Chesters (University of Edinburgh)
      • 54
        Japan and the British Commonwealth’s War in Korea, 1950-1957

        Through interviews, oral histories, and innov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e presentation aims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British Commonwealth’s Japanese infrastructure in enabling it to fight in Korea. The British Commonwealth Occupation Forces (BCOF)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Allied Occupation of Japan from 1945 to 1952. The sudden outbreak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ne 1950 meant that the Australian military in Japan were ideally positioned to fight alongside the US forces in Korea. The Royal Australian Air Force (RAAF) at Iwakuni had a squadron of fighters operational long before the US Air Force (USAF) and the Royal Australian Navy (RAN) were patrolling Korean waters with the US Navy right from the outset. Ground forces from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New Zealand, and later, Canada was also sent to fight alongside South Korean and US forces from late September 1950 onwards, in what became the British Commonwealth Forces Korea (BCFK). Using BCOF’s military bases, barracks, maintenance workshops, and its extensive network of health, welfare, and recreational facilities, Japan effectively served as BCFK’s “forward base” during the conflict and provided the organizational and infrastructural foundations of the understudied British Commonwealth (BCOF/BCFK) contribution to the “emergency” in Korea.

        Speaker: Simon James Bytheway (Nihon University)
      • 55
        The 3.1 Infantry Regiment in the Korean War

        The 3.1 Infantry Regiment, a “ghost platoon” comprising the 1.5 and 2nd generations of Zainichi (Koreans in Japan), was established on October 5, 1950, by Jimmy Gozawa, a 2nd generation Japanese American officer in the US Army. The unit remained unknown until 1953, when CBS Japan introduced it to the public. It was re-introduced in America in 1977, when Gozawa requested a certificate in the state of California recognizing the volunteers as Korean War veterans. Despite the unit being deactivated within 10 days after its establishment, it became a symbol representing 643 Zainichi Student Volunteers in the Korean war as 2/3 volunteers served in the unit and majority of the volunteers became officers and led major battles such as Wonsan and the Iwon Operation, which was a pivotal point of the Korean War.
        In my presentation, I will first outline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 Zainichi Volunteers, the history of the 3.1 Infantry Regiment, and how they represented the Zainichi Student Volunteers. The literary works from the volunteers in the group will be used to explain how and why the unit was created and what happened to the volunteers in the unit after the war. The 3.1 Infantry Regiment’s history must be reviewed as it is not only the first overseas Korean unit in South Korea, but it also helps us to understand what motivated Zainichi to volunteer for the war and give a voice to a group that war has forgotten.

        Speaker: Yuki Minami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 Session 3: 17. Anthropology, Sociology (3) Room 107, C1 Building

      Room 107, C1 Building

      Convener: Kong Chong Ho (Yale-NUS College)
      • 56
        Korean Immigrants in South Africa’s Rainbow Nation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nts on the African continent is relatively recent and on a smaller scale compared to Korean diasporas to other continents. Migration from South Korea to South Africa does not fit the stereotypical migration pattern from a country in the Global South with a lower income to a higher income country in the North. Hence, it is difficult to explain by either conventional migration theory focusing on inc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country of origin and destination, or the neo-classical and functionalist push and pull model.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p out the spatial trajectories of migration taken by Korean immigrants to, from, and within South Africa. Central to this work are the multi-directional and onward geographic migratory trajectories, which are fluid and evolve over the course of migrants’ lives. Complex issues and motivations that have informed their embodied movements and migration trajectories are explored. In this study the term migration trajectory primarily refers to physical movement through global space, which consists of migrant embodied mobilities. In tracing the migration trajectories of Korean im/migrants to, from and/or within South Africa,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dynamics of migratory trajectories and migrants’ changing subjectivity are examined. This facilitates analysis of the way in which lifetime migration trajectories are meshed within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both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Speaker: Yonson Ahn (Goethe University of Frankfurt)
      • 57
        Ambivalent Positioning of Korean Immigrants in Chile: Floating, Oscillating, Elusive Belonging

        Ambivalent Positioning of Korean Immigrants in Chile: Floating, Oscillating, Elusive Belonging
        최진옥 (Jinok Choi), Central University of Chile

        South Korea’s international status has fluctuated between the Global South and the Global North. This study analyzes the many-faceted ambivalent positioning of Koreans in these transitions, who have settled in Chile, a country of the Global South. Korean immigrants in Chile define themselves as “other” (different but better) immigrants with a sense of superiority because their home country is no longer the Global South. Therefore, they do not regard Chile as a final or ideal destination for migratio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do acknowledge the relatively fast settlement with economic advantages in Chile, and finally end up in a “intentional floating” life that they do not easily leave neither try to accomplish social integration within the host society. Furthermore, Koreans in Chile are “oscillating” between an unstable high economic class and a diminished social status as one of the “socially inconceivable” Asian immigrants running a small business in the mainstream society. Meanwhile, the Korean second generation in Chile has pursued the Global North as their parents’ hope, heading to the United States or Korea. Nonetheless,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of returning to Chile to build a new business with their strong multilingual skills and high educational attainment, based on their parents’ economic support. While continuing to be on the move in a triangular circulation between Chile, the US, and Korea, they get a sense of “elusive belonging” in which they feel comfortable being treated as foreigners rather than Koreans in Chile or in the United States.

        Speaker: Jinok Choi (Central University of Chile)
      • 58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Vietnam and Korean Expatriate Enclaves in Globalizing Hanoi

        Korea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Vietnam and Korean Expatriate Enclaves in Globalizing Hanoi
        김지훈 (Jeehun Kim), 인하대학교
        공청 호 (Kong Chong Ho), Yale-NUS College

        Vietnam’s new manufacturing status is driven in part by South Korean investments. This paper overviews how foreign direct investment from Korea has been made in Vietnam’s various region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t also examines two groups of expatriate Koreans in Hanoi—skilled/managerial workers and the Korean small-business workers in Hanoi. In contrast to other major cities in Vietnam (such as Ho Chi Mihn City), there is the high concentration of expatriate workers sent by large conglomerate Korean companies in Hanoi. Relatively recent investment in this city and concentration of large Korean companies has given rise to the Korean ethnic enclave of My Dinh, many of whose establishments are owned, managed, and serviced by Koreans. The easy availability of services offered by these businesses enables a culture-based support of Korean expatriates in a new city, and the reproduction of Korean life through consumption. Our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the ethnic economy by identifying the nature of customer support for Korean ethnic enterprises. By highlighting the Korean-owned-and-managed small business character of the urban ethnic economy, we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consumption in allowing Korean ways of life to be maintained in a new city. We extend our analysis to Vietnamese consumers of Korean businesses and argue that such enterprises create new opportunities for the growing Vietnamese middle class to develop new consumption practices in a growing cosmopolitan city.

        Speakers: Jeehun Kim (인하대학교), Kong Chong Ho (Yale-NUS College)
    • Session 3: 18. Geography (1)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Convener: Joohee Choi (덕성여자대학교)
      • 59
        지도로 본 조선후기~ 현재의 전라남도 순천시의 경관 변화

        본 발표는 지도를 주된 자료로 활용하여 조선 후기 이후 현재까지의 전라남도 순천시의 경관 변화를 몇 개의 시간 단면으로 나누어 복원하고, 이러한 경관 변화의 내용과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각종 문헌조사와 현장답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순천시의 지리적 위치, 조선시대까지의 연혁, 자연환경과 지역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조선 후기를 최초의 분석시기로 설정하여, 고지도(古地圖), 지리지(地理志) 등을 통해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읍치(邑治)를 중심으로 한 시가지의 공간구조, 주요 시설의 배치 등을 살펴본다. 당시의 주요 경관요소로 읍성(邑城), 동헌과 객사, 장시(場市) 등의 위치와 구조 등을 복원한다.
        일제강점기의 경관 복원은 1: 10,000 축척의 도시지도를 주된 자료로 활용하여, 조선 시대 순천 읍치의 주요 시설들이 일제강점기 들어와 어떻게 변용되는지 고찰하고,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개편, 시구개정(市區改正) 등이 토지 구획과 도로망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분석한다. 특히 새롭게 개설된 도로와 철도가 도시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주목하고, 일제에 의해 새로운 경관요소로 자리잡은 각종 행정기관, 금융기관, 교육 및 종교시설, 그리고 공원이 어떤 곳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정착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시설의 입지와 경관 등에 내재된 의미와 조성자의 의도를 파악한다.
        해방 이후의 변화는 여러 개의 시간 단면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1950년대, 1970년대, 1990년대, 2010년대 등에 발간되어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한 1: 50,000 지형도와 1:5,000 기본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시가지의 확대과정, 철도노선의 신설과 변경, 도로망의 증가, 하계망과 토지이용의 변화 등을 추적한다. 이와 같이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관의 변화를 파악한 뒤에, 관련 사료를 수집, 분석하여 경관 변화의 내용과 의미에 관하여 해석한다.
        순천시의 경관 변화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신문화지리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경관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1970년대 이후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 인구의 변화 등이 순천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구도심의 변화, 새로운 주택지역의 개발, 산업의 변화 등이 경관에 미친 영향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정리하면, 본 발표는 역사지리학적 경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순천시의 경관을 형성하고 변화시킨 물리적 요소는 물론, 비물리적 요소까지 파악하는 동시에, 시공간적 맥락을 고려하여 순천시의 역사적, 지리적 변천과정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Speaker: Chi-young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 60
        조선시대 고개 서술 방식의 변화와 교통로의 재구성 - 『여도비지』와 『대동지지』 영로(嶺路)조를 중심으로

        20세기 후반 김정호가 편찬한 『대동지지』에 고개는 산수(山水)의 소항목인 영로(嶺路)에 편재된다. 고개가 단순히 산지 지형과 관련된 사상을 지칭하기 위한 지명일 뿐 아니라 교통로의 기능에 방점을 두고 세분화한 김정호의 의도가 엿보이는 지리지 편목 체계이다. 고개는 산지 지형, 교통로, 경계 지점 등의 의미를 중첩적으로 갖고 있기 있어, 조선시대 편찬된 지리지에서 고개를 서술하는 방식이 변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우선 고개에 대한 지리지 제작 주체 별, 시기별 역사지리 인식의 변화를 밝힌다. 이후 『대동지지』 「팔도지지」의 영로(嶺路)조와 사방경계(四方境界)조의 상관성을 밝혀, 사방경계에서 구체적으로 서술되고 있지 않은 군현 경계 지점을 추정해 교통로의 역사지리 경관 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를 대상으로 영로와 관련된 교통로를 현 위치 복원하고, 해당 교통로가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 그려진 도로망과 비교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혀낸다.

        Speaker: Hyun-Jong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61
        여말선초 역참의 지리적 분포 변화

        한반도의 역제는 신라 소지마립간 때 왕경에서 4개 방향으로 역로를 개설했다는 “삼국사기”의 기술에서 확인이 시작된다. 이후 고려지대에는 역도 제도가 확립되어, 그것이 조선왕조시대에도 개량되면서 계승되었다. 고려왕조와 조선왕조 양 시대의 역제 사이에는 자세히 보면 조금씩 차이점이 발견된다. 우선 역도의 명칭과 구분들이 많이 달라졌다. 고려시대에는 개경 중심의 역제, 조선시대에는 한양 중심의 역제이었기 때문에, 특히 수도 주변에서 차이점이 많다. 그리고 국토 영역 자체도 다르기 때문에 북방으로 역도가 크게 확장되었다.
        조선시대의 각각의 역의 입지는 기본적으로 고려시대의 그것을 최대한 계승하고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 고려시대 공히 국토 영역 안에 있었던 지금의 남한 영역 속에서도, 일정 부분 역들의 입지 및 분포 변화는 관측이 된다. 그것도 지역에 따라서는 인접하는 역들이 여러 개 한꺼번에 소멸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강원도와 경상도 지역의 태백산맥 일대에서 현저하다. 예를 들어 강원도 평해에서 영양을 넘어 안동 방면으로 가는 노선, 울진에서 소천을 거쳐 순흥으로 넘어가는 노선, 옥계에서 임계를 거쳐 정선 평창으로 넘어가는 노선 등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동해안 쪽의 기점이 읍치이거나 폐읍이고, 거기서 바로 분수령을 넘어 내륙 지방으로 다다른다는 점이다. “도로고”나 “대동지지” 등 조선시대 지리지에 게재된 교통로를 보면, 이 일대 읍치로는 원주에서 대관령을 넘어 삼척 울진을 거쳐 평해도 나가는 경로가 대로(평해로)로 지정되어 있다. 얼핏 보면 우회로이긴 하지만, 대관령 영로가 원주와 강릉 등 2대 도호부를 연결하는 간선도로였으며, 조선시대에는 대관령 길이 수축되어 다른 영로보다 통행이 훨씬 수월해진 탓도 있을 것이다.
        역로로서는 폐지된 다른 영로들에는 대신 역터를 중심으로 원 그리고 원을 계승한 주막촌들이 남아, 역로 아닌 말하자면 ‘원로’로서, 지방간 교통로로서 그 명맥을 이어 갔다. 이는 ‘역원’이라고 불릴 정도로, 역과 긴밀한 관계에 있었던 원의 성격을 잘 부각시켜 주는 대목이다. 원에는 역과 달리 공무 여행자를 위한 역마 공급 역할은 없지만, 여행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해 주니 도보 여행자들에게는 충분히 그 기능을 다하였다.

        Speaker: Hiroshi Todoroki (Ritsumeikan Asia Pacific University)
    • Luncheon
    • Session 4: 19. Literature (3)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Convener: Kevin Jasmin (한국학중앙연구원)
      • 62
        조선 후기 문인들의 중국 문인 수용 양상 ---歸有光 및 顧炎武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한국 한문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문인 귀유광과 고염무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한중 문학적 교류의 심층적인 이해를 목표로 한다. 조선 후기 한국 문단에 중국 문인들의 학문적 사상과 문학 이론이 유입되어 큰 변화를 가져온 가운데, 귀유광과 고염무는 각각 명·청 시대의 학문적 전환을 대표하는 인물로서, 조선의 문인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본고는 이 두 인 물에 대한 조선 후기 문인들의 수용 양상을 선행 연구를 통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 문집에서 나타나는 귀유광과 고염무에 대한 참조 및 평가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문인들이 어떻게 중국의 문학적, 학문적 성과를 수용하고 변용하여 자신들의 문학적 창조에 활용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계를 넘어, 융합과 소통의 한국학"이라는 학회 주제에 부응하며, 한국학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한국과 중국 간의 문학적 소통 및 융합의 역사적 깊이를 탐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조선 후기 한문학의 복잡한 내적 다양성과 국제적 교류 양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peaker: Tang Yu (한국학중앙연구원)
      • 63
        한국과 대만의 학병소설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 재현 양상과 그 특징 - 이가형과 천첸우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글은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한 한국과 대만의 학병소설을 분석대상으로 특히 한국의 학병소설의 대표작으로 간주되는 이가형(1921~2001)의 《분노의 강》(1993)과 대만의 특별지원병소설의 대표작인 천첸우(1922~2012)의 《獵女犯(여수사냥)》(1976)을 대상으로 두 작가의 소설에서 일본군 위안부가 어떻게 재현되고 있으며 그리고 그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양상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이가형의 《분노의 강》과 천첸우의 《獵女犯》은 두 작가가 태평양전쟁 당시 공통적으로 일제 학병으로 전쟁에 강제로 징집되어 남방전장에서 살아 돌아온 후 자신들의 실제 학병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로서 일제의 학병과 일본군 위안부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소설이다. 두 작가의 학병서사에서 일본군 위안부는 그들의 정체성을 구축하게 하는 타자로서 나타나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가형의 《분노의 강》과 천첸우의 《獵女犯》 두 작품에서는 공통적으로 전쟁에 강제로 끌려온 식민지인이기도 하지만, 일본군에 소속되어 전쟁을 수행한 학병이 일본병사로 변해가면서 피해자이자 가해자라는 모순적 위치에서 제국주의적 시각으로 일본군 위안부를 타자화 시키며 전쟁에 대한 생존자의 현재 의식을 드러내며 학병과 일본군 위안부와의 관계성의 실체를 추적한다. 뿐만 아니라 소설 속 인물이 일본병사라는 입장에서 가해자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전쟁터에서 겪은 심리적, 정신적 갈등으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되는데, 이를 통해 식민지학병과 일본군 위안부의 역설적 위치와 비극성을 보여주면서 현실에서 각각 어떤 방식으로 극복하는지 보여주고 있다.
        동시기 한국과 대만의 대표적인 학병 출신 작가의 일본군 위안부 소재 소설의 대비적 고찰은 지역적 국내적 범위에서 한발 더 나아가 동일한 경험에서 동아시아적 보편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Speaker: Hsiu Yung Chang (중국문화대)
      • 64
        14세기 전반기 동아시아 지식인의 중국 강남 체험과 문화적 상상 -高麗 및 安南 문인, 日本 詩僧의 한시를 중심으로-

        한시에서 江南은 오랜 문학적 전통을 간직한 지리적 심상으로 투영된다. 元 제국의 확장으로 동아시아 민족과 국가 간의 소통과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고려와 안남, 일본의 문인들은 다양한 경로로 중국 강남 지역에 체험했다. 고려의 경우, 1319년에 강남 普陀山으로 降香하는 李齊賢은 蘇州와 杭州 등을 다녀왔다. 안남 陳朝의 阮忠彥은 1314년에 報聘使로 북경을 향하던 중 南京과 揚州 등을 방문했다.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의 天岸慧廣, 別源圓旨 같은 禪僧들이 강남 名刹에 대거 들어와 求法하는 동시에 시를 즐겨 썼다. 한편, 李榖과 義堂周信과 같이 강남을 직접 체험하지 못한 문인들도 멀리서 강남을 상상하며 읊조렸다. 본고는 비교문학과 ‘문화적 기억’의 시각에서 원나라가 중원을 통일한 14세기 전반기에 강남을 체험하고 상상한 고려와 안남, 일본 시인들이 읊은 한시에서 드러난 강남의 개성적 모습과 보편적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이러한 집단적 기억과 체험적 지식이 교차하는 형태 및 심층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Speaker: Fengshuo Zhang (서울대학교)
      • 65
        Colonial Joseon and British- India: Explor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nd Direct & Indirect Interactions in British-India Literature

        India and Korea share a deep and enduring connection that defies geographical boundaries. This bond, forged through shared trauma, has its roots in the collective experiences of colonial subjugation, wartime suffering, and the aftermath of Partition. It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spiritual and cultural heritages that both nations hold dear,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ir mutual reverence for Buddhism. The year 2023 marke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flourishing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India and the Republic of Korea, a testament to the resilience of this bond.
        Beyond the well-known figures like Gandhi and Tagore, lesser-known Indian intellectuals and writers, such as Sadhu Sunder Singh, Guru Charan Singh, Rahul Sankrityan, Hari Singh Gour, and Ramnath Biswas,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is relationship. They traveled to Korea via Japan, documenting their firsthand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colonial Korea and directly engaging with the local milieu. Korean newspapers and magazines extensively covered their activities and narrativ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eir contributions to the cross-cultural exchange between British-India and Colonial Joseon.
        This paper delves into the cross-cultural exchange and interdisciplinary insight between Colonial Joseon and British-India. To achieve this, the study focuses on British-Indian writings to dissect and elucidate the intricat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colonial entit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earcher has uncovered some British-Indian literatures that shed light on the profound interest Colonial Joseon held among Indian intellectuals and writers. The primary sources for this research are British-Indian literature written in English, Bengali, and Hindi, complemented by secondary sources available in Hindi, English,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Speaker: Santosh Kumar Ranjan (Jawaharlal Nehru University)
    • Session 4: 20. Politics (2) Room 104, C1 Building

      Room 104, C1 Building

      Convener: Jong Rin Park (한남대학교)
      • 66
        1920년대 동아일보에서의 사회민주주의론 번역 소개와 그 정치적 함의

        본 발표는 1920년대 동아일보에 번역 소개된 사회민주주의론과 그 정치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서구 및 일본의 사회운동 및 사회주의 사상의 전개와 관련하여 식민지 조선 민족운동과 사상의 세계사적 특이성을 해명하려 한다.
        동아일보는 창간 초기부터 조선 민중운동의 대변지임을 표방할 정도로 정치적 성향이 강했다. 물론 동아일보 그룹은 정치조직이 아니었기 때문에 명확히 형성된 것도 아니었고, 시기에 따라 구성원도 일정하게 변화하였다. 1920년대 초반에는 상해파 고려공산당 국내부(국내상해파)가 동아일보의 논지에 깊이 개입했고, 1924년에서 25년에는 홍명희 그룹이 잠시 논지를 주도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1925년 4월부터는 경영을 넘어 편집과 논지에서도 송진우의 주도권이 강화되어 1936년까지 지속되었다.
        영국노동당 지도자인 Arthur Henderson이 1918년 간행한 The aims of Labour 중 일부가 1920년 4월과 5월, 동아일보에 번역되어 실렸다.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는 유럽으로의 여행과 유학생도 거의 없었고, 조선인의 언론사도 이제 시작이라 인적 물적으로 대단히 낙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 서쪽 끝에서의 논의가 아시아 동쪽의 끝인 조선까지 전달되고 받아들여지는데 얼마 걸리지가 않았다. 또한 단순히 책 소개 차원에서 번역한 것이 아니었다. 동아일보를 이끄는 주도자들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만 선별 번역하면서, 이를 운동의 사상 이념적 기반과 지침으로 활용하려고 했다.
        1922년 12월 조선청년회연합회가 주도가 되어 물산장려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1923년 초반 물산장려운동의 성격과 찬반을 둘러싸고 당시 사회주의자들 내부에서 동아일보를 주 지면으로 치열하게 논전을 전개했다. 당시 물산장려운동을 적극 지지하던 국내상해파 주류세력인 나경석은 Karl Johann Kautsky 등 독일 사회민주주의자들의 주장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카우츠키가 1918년 출간한 Die Diktatur des Proletariats는, 1919년 H. J. Stenning에 의하여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제목으로 영역되었고, 이 영역본을 저본으로 1921년, 쿠루하라 게이쓰게(来原慶助)에 의해 『民主政治と獨裁政治』 제목으로 일본에서 일역 출간되었다. 나경석은 이 책을 비롯한 카우츠키와 독일 사회민주주의자들의 주장을 인용하면서, 물산장려운동론 및 협동조합론을 전개했다. 한편 카와카미 하지메(河上肇)의 제자인 이순탁은 카와카미의 글들을 동아일보에 번역 소개하였고, 그 외에도 사회민주주의와 관련한 여러 글들을 번역 소개하였다.
        이들 모두는 식민지 조선의 미개발되고 노자계급이 미성숙한 현실 속에서, 조선민족 내부의 계급투쟁보다는 민족문제를 중심에 두고 민족적 협동을 추구했다. 경제건설을 위해 민족자본가와의 일정한 협동도 불가피한 것으로 파악했다. 때문에 그들은 동아일보의 민족주의자들을 비롯해서 민족주의세력과 적극적으로 연합하려 했다.
        한편 1920년대부터 본격화된 일본 무산정당운동의 흐름도 동아일보에 적극 소개되었다. 그 전사를 이루는 정치연구회의 동향뿐만 아니라, 사회민중당 등 명백히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한 무산정당계열, 후에 사회대중당으로 합류하는 다양한 비 공산 무산정당 계열의 동향과 주장도 주요 대상이었다. 이들에 대한 관심은 무산정당의 성장을 통한 일본사회의 민주주의 진전, 그에 따른 조선 식민정책의 변화를 기대한 것이었다. 동시에 이런 탐구를 통해 합법운동의 필요성과 내용, 민주주의 민족운동의 내용과 영역을 확대하려는 것이었다.

        Speaker: DukYoung Yoo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67
        경계를 넘어 선 번역과 맑스주의 여성해방론 -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Woman and Socialism, 『婦人論』, 『婦人解放과 現實生活』

        “未來는 勞動者와 婦人의 것”
        “世界의 婦人解放論界를 獨步하는 解放의 聖書!!”

        이는 1925년 11월 5일자로 식민지 조선의 조선지광사에서 출간된 『婦人解放과 現實生活』이란 저작에 대한 한 매체의 광고 문구이다. 전자는 이 저작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는 원저의 마지막 문장이고, 후자는 이 책에 대한 당대 식민지 조선 지식인들의 평가를 잘 표현하고 있다.
        독일사회민주당의 리더 August Bebel이 1879년 출간한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가 엥겔스의 『국가,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과 함께 맑스주의 여성해방론의 이론적 기초가 된 저작이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베벨의 이 저작은 1910년 Meta Stern에 의해 Woman and Socialism으로 영역되어 출판되었다.
        1919년 이래 일본의 사회주의자들은 영역본을 저본으로 한 일역본을 다수 선보였는데, 1923년 山川菊榮이 번역한 『婦人論』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1925년 식민지 조선에서 배성룡은 山川菊榮의 번역본을 저본으로 『婦人解放과 現實生活』(종래 연구에서 이 저작에 대한 언급 자체가 적었던 것은, 실물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를 통해 최초로 학계에 보고하고자 한다.)이란 국역본을 출간하였다. 독일어 원저 → 영역본 → 일역본을 거친 ‘三重譯’이었다.
        본 발표는 여기서부터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다.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 Woman and Socialism → 『婦人論』 → 『婦人解放과 現實生活』로 이어진 번역 과정은 맑스주의를 매개로 ‘제국’과 ‘식민지’의 경계를 넘어선 하나의 중요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찰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 수용된 맑스주의의 내용과 그 특징을 정리하는데 일조하는 작업이자, 한국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하나의 시도가 될 것이다.
        본 발표는 다음 세 가지 점에 주목하였다.
        첫째, 『婦人解放과 現實生活』의 저본이 된 일역본과 일역본의 저본이 된 영역본을 계통화하였다. 이는 사상과 論의 受容史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이자, 번역의 특징을 유추하는데 필수적인 작업이기 때문이다.
        둘째, 국역본과 일역본, 그리고 영역본의 구성을 검토하였다. 『婦人解放과 現實生活』는 9장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그 저본인 『婦人論』은 4편 30장 체제이다. 이를 통해 국역본은 일역본을 완역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번역 과정에서 삭제된 내용의 검토는 국역본의 번역 의도를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재료이다.
        셋째, 『婦人解放과 現實生活』은 왜 1925년 11월에 출간되었는가 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검열 체계가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던 식민지 조선에서 번역은 ‘단순한 번역’이라기보다는, 번역자의 지향성과 관련된 매우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행위이다. 더구나 맑스주의 관련 서적의 번역은 더욱 그러했다. 『婦人解放과 現實生活』의 출간은 1925년 조선공산당 창당 이후 사회주의운동의 활성화와 관련하여, 부문운동인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이론적 베이스를 제공하고자 한 의도가 강하게 작용한 것이다.

        Speaker: Jong Rin Park (한남대학교)
      • 68
        『조선사회경제사』(1933)에 나타난 백남운의 유물변증법 수용과 유물사관의 재구성

        본 발표의 목적은 『조선사회경제사』(1933)에 나타난 백남운의 유물사관과 그 논리가 1920~30년대 초반 유물변증법의 수용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일본에서의 독일 사회과학과 철학이었으며, 그 매개는 일본 강좌파 사회주의자인 하니고로(羽仁五郞)였다.
        주지하듯이 식민지 조선에서는 1920년대 중반을 전후로 소련과 제국 일본을 경유한 유물변증법과 관련된 저서들이 유통되었으며 유물사관을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었다. 일본 도쿄상과대학에서 유학하여 1925년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근무하기 시작한 백남운 또한 이와 같은 지적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흥미로운 점은 그가 『조선사회경제사』에서 자신의 유물사관과 역사방법론을 설명할 때 빈번히 언급하고 있는 저서가 바로 하니고로의 『轉形期の歴史学』(1929), 『歴史学批判叙説』(1932)였다는 점이다.
        하니고로는 독일에서의 유학 경험과 미키기요시(三木淸)와의 학문적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역사학과 유물사관 속에서 인간의 능동성에 주목하였다. 1920년대 중·후반 이후 일본의 사회주의 운동과 이론에 대한 코민테른의 권위가 강해지자 강좌파를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자들에게 유물변증법 이해에 있어서 하부구조와 생산력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독일의 사회경제학과 철학을 기초로 유물변증법을 이해한 하니고로는 서구 사회와 대비되는 일본의 후진성을 의식하면서도, 역사 속 일본인이 그와 유사한 역사발전 법칙 하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하니고로는 일본 사회 내의 평민과 프롤레타리아 등 하위 주체의 혁명적 전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일본사에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창출하여 일본 사회의 역동성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다만 여기서 맹점은 그가 아시아 일반·식민지 사회를 일본 사회와 구별하고 그 停滯性과 早熟性 또한 강조하였다는 점이다.
        백남운은 1910~20년대 국가 중심의 독일 사회경제학과 철학이 유행하던 일본 유학을 통해 제국과 구별되는 조선 사회와 경제의 식민지적 성격을 역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일본의 경제사학과 진화론을 경유한 사회주의를 나름의 방식으로 이해하고, 식민지 조선 사회와 역사를 탐구하였다. 그러나 1928년 12월 테제를 전후로 식민지 조선에서 벌어진 일련의 유물/유심논쟁과 유물변증법 이해에서 다수의 사회주의 운동가들이 하부구조를 강조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
        이때 백남운은 유물변증법 속의 맑스-레닌주의에 따른 하부구조와 법칙성을 인정하면서도, 식민지 사회와 그 역사에서 경제적·역사적 인간을 발견하고 그 능동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백남운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익숙한 독일-일본의 사회과학 및 철학적 성격이 농후하며 일본사에서의 하위주체와 그 혁명적 가능성을 강조한 하니고로의 저서가 전략적인 참조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이렇듯 백남운은 독일과 일본, 제국과 식민지의 경계를 넘어선 유물변증법 수용과 식민지 주체의 능동성 확보라는 과제를 하니고로라는 매개를 통해 수행한 것이었다. 다만,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백남운은 제국의 사회주의자이자 강좌파로서 하니고로 또한 아시아 혹은 식민지 사회에 대한 이른바 ‘사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의식하고, 그의 유물사관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결과가 바로 『조선사회경제사』 였다고 할 수 있다. 근대 한국의 사회주의 사상과 사학사에서 백남운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할 때, 이러한 시각은 세계사 속의 한국학을 재위치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peaker: MyungJae Kim (서울대학교)
    • Session 4: 21. Linguistics (3)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Convener: Kilim Nam
      • 69
        생성형 AI의 한국어 용언의 활용 능력 연구

        본 연구는 국내외 생성형 AI가 한국어의 문법에 대해 모국어 화자와 유사한 수준의 문법적 능력을 갖고 있는지 살피기 위한 연구, 한국어문법 개론서 수준에서 용언의 활용과 관련하여 생성형 AI가 어느 정도 한국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남기심고〮영근 외(2019)의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의 ‘4장 용언과 어미’ 부분, 국립국어원(2005)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의 15장 단어의 갈래 가운데 ‘동사, 형용사, 이다’ 부분, 고영근구〮본관(2018)의 『개정판 우리말 문법론』의 6장 ‘용언과 그 쓰임’ 부분의 용례를 대상으로 평가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기로 한다. 이들 개론서를 대상으로 하여 평가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는 것은 개별 학술 논문에 비해 주관성이 다소 덜하고, 해당 문장이 어떤 문법 항목의 문법성 판단에 관한 것인지 분명하기 때문이다. 생성형 AI의 과제 수행에 필요한 프롬프트는 인간과의 의사소통과 최대한 유사하게 작성하되, 비문을 교정할 때 평가 대상 문법 항목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평가 의도를 반영하였다.
        한국어 용언의 활용에 대한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서 ‘축약, 품사 선택 제약, 의미 제약, 시제 제약, 서법 제약’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오류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국외의 생성형 AI와 비교했을 때, 국내산인 ‘CLOVA X’가 문법적 이해 능력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률을 보이는데 이는 ‘어미’ 가 형태와 주로 관련되며, ‘CLOVA X’가 더 많은 한국어 데이터를 학습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규칙 용언의 활용’과 ‘서법 제약’에 대해서는 모든 생성형 AI가 높은 오류율을 보이는데, 용언의 품사와 어미의 서법 제약에 관한 정교한 평가 데이터 세트의 개발과 실험, 이를 통한 오류 유형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용언에 대한 문법적 생산 능력 평가는 용언의 이해 능력 평가에 비해 상당히 낮은 정확도를 보이며, 용언의 활용 시 시제, 서법, 의미 제약을 고려하여 올바른 문장을 생성해 내기 위해서는 현재 개발된 생성형 AI는 국내외산 모두 큰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저자원 언어인 한국어 데이터에 대한 입력과 함께 오류 유형별로 학습 가능한 데이터 세트의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Speakers: Hyunju Song (경북대학교), Kilim Nam (연세대학교)
      • 70
        생성형 AI의 한국어 시제 이해 및 생성 능력 연구

        이 연구는 생성형 AI의 한국어 시제에 대한 이해와 생성 능력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생성형 AI의 시제 문법 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본 문법서의 예문을 중심으로 평가 데이터 세트로 구축하고, 국내외 생성형 AI(ChatGPT 3.5, ChatGPT 4.0, Gemini, CLOVA X 등)의 한국어 시제 이해 및 생성 능력을 평가하며, 오류 분석 및 생성형 AI 간 비교 분석을 진행한다.
        최근 생성형 AI의 언어 능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남길임황〮은하송〮현주안〮의정(2024)은 한국어의 어미와 부정, 두 문법 범주를 중심으로 생성형 AI의 문법적 능력을 평가한 결과 영어의 문법 능력에 훨씬 못 미치는 성능을 보였으며, 이를 한국어의 형태론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본 연구는 생성형 AI가 한국어 시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의 문법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오류 분석을 통해 생성형 AI가 시제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기제를 유추하며, 나아가 AI의 한국어 시제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를 시도한다.
        시제(時制, tense)는 시간과 관련된 문법 범주의 하나로 언어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동시에 언어마다 개별성을 지닌다. 한국어에서는 ‘-었-‘, ‘-는-‘, ‘-겠-‘등 시간 의미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즉 문법 형태소가 ‘과거-현재-미래’의 대립을 이루며 시제 문법 범주를 이룬다. 본 연구는 남기심고〮영근 외(2019)의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의 ‘시제’ 관련 장절의 예문 100여 개로 평가 세트를 구축하되, 평가 문장에서 지나치게 빈도가 낮거나 난이도가 높은 어휘 등은 교체하며, 마땅한 정문이 없는 비문은 제외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방식으로 평가 세트를 정교화한다. 평가는 이해 능력 측면의 문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와, 생성 능력 측면의 비문을 정문으로 교정하는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한다. 테스트 결과에 대해서는 시제 실현의 유형별로 나누어 면밀한 오류 분석을 수행하며, 여러 AI 간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특히 앞선 AI 평가 연구들이 단일 프롬프트로 단 1회씩 실험을 수행하여 AI의 사용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이 간과된 측면이 있다면,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의 작동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프롬프트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입력하며 멀티 턴의 상호작용을 통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로써, 생성형 AI의 문법 능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동시에 생성형 AI의 문법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peaker: Eunha Hwang (배재대학교)
      • 71
        생성형 AI의 한국어 부정문 이해 및 생성 능력 연구

        이 연구는 한국어 부정문에 대한 생성형 AI의 문법 능력을 평가하여, 국내외 언어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한국어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문법 능력 평가는 이해와 생성의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문법 능력 중 이해 평가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의미하고, 생성 평가는 잘못된 문장을 문법적으로 바르게 수정할 수 있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남기심고〮영근 외(2019)의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의 ‘부정문’ 관련 예문 127개를 기본으로 하여 한국어 부정문의 특징을 보완할 수 있는 예문을 추가하여 평가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예문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주요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평가한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국내외 주요 생성형 AI로는 ChatGPT 3.5, ChatGPT 4.0, 구글의 Gemini, 국내 기업인 네이버의 CLOVA X 등 네 가지를 선정하였다.
        한국어의 부정문은 어휘적 부정문 외에도 통사적 부정문으로 ‘안 부정문’, ‘못 부정문’, ‘말다 부정문’이 있다. 부정문과 관련한 문법성 판단 능력 평가에서는 부정극어의 사용, 서술어에 따른 짧은 부정문 제약, 서법 제약 등에서 오류를 보일 수 있을 것인데, 테스트 후 그 상세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비문을 적형의 문장으로 수정하도록 요구하는 생성 평가에서는 먼저 각각의 AI가 생성한 문장의 적합성을 판단한 후, 오류 유형을 정리하고 추가 테스트를 통해 AI의 부정문 생성 능력에 관한 특성을 정리하고자 한다. 생성형 AI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주된 기능이지만, 주어진 조건에 맞춰 문법적으로, 의미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미세하게 보이는 한계에 대해 본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생성형 AI의 문법 능력 평가 결과는 향후 생성형 AI와 LLM의 한국어 교육 및 국어 교육에의 활용 등에 기여할 수 있으며, 미세 조정이 필요한 항목 등 국어학 연구가 인공지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peakers: Euijeong Ahn (연세대학교), Jinsan Ahn (경북대학교)
    • Session 4: 22. History (4) Room 106, C1 Building

      Room 106, C1 Building

      Convener: Haksu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72
        과거 대책문(對策文)에서 드러난 엇갈린 정치 지향 - 군주의 부강(富强), 신하의 인의(仁義)

        대책문(對策文)은 과거 시권 중에서도 종장에 치르는 전시(殿試)의 답안지이다. 이때 국왕은 여러 정치적 상황이나 대안에 대해 직접 묻게 되고 이에 응시자들은 자신의 지식과 식견을 종합하여 답술하게 된다. 대책문은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지식인의 입장에서 어떻게 현실 국정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서이다. 국정 운영을 위한 국왕의 고민과 그에 대한 예비 관료들의 답변을 통해 당면한 국가적 고충이나 현안들에 대한 해결책들이 구체화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책문 속에서는 간혹 국왕의 물음과 응시자의 답변이 상반되는 경우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국왕은 국가를 다스리는 방법 중 하나로 부국강병(富國强兵)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이와 관련된 논의를 듣고자 했으나 여기에 대한 답변은 부국강병이 아닌 ‘인의(仁義)’에 입각한 도덕적 정치를 펼칠 것을 종용한다. 또한 왕의 의도와 반대되는 물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채점하는 시관(試管)이 이러한 답안지를 쓴 응시자는 입격시키는데, 이는 부국강병을 바라는 군주의 의도를 꺾고 인의에 기반한 이른바 군주의 왕도정치(王道政治) 추구를 강하게 주입시키고자 한 목적이었다.
        성리학의 나라였던 조선에서 부국강병은 절대로 추구하지 말아야 할 대상이었다. 건국 초 혼란스러운 사회를 안정시키고자 부국강병에 대한 모색이 나타났으나 이후 15세기 국가가 안정되고 성리학이 심화되면서 부국강병에 대한 논의는 점차 잠식되었고 인과 의에 의한 도덕적 이상 정치의 모색으로 점차 탈바꿈되었다. 그러나 국가를 통치하는 군주의 입장에서 부국강병의 탈색이란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당면한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의 시대를 난세(亂世)로 받아드릴수록 나라를 부유하게 하여 군대를 길러내는 대책이 부상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국왕들은 나라를 부강하게 하는 정책을 은연 중에 드러냈는데, 이것이 대책문 속에 물음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왕의 물음에 대한 두 가지 대책문 사례를 통해 군신 간 엇갈리는 정치 지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신하들은 왕의 물음과 반대하며 언제나 성리학적 최우선의 가치인 인의를 통한 정치를 강하게 주장하였다. 이는 왕의 의도를 분명히 제지하고 자신들이 이상으로 여기는 가치를 국왕에게 주입시키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 경영을 위한 현실과 이상 정치 사이에 군신간 벌어지는 길항 관계가 대책문을 통해서 드러나게 되었던 것이다.

        Speaker: Jinhong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73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生三進六辯」 고찰: 『사마방목(司馬榜目)』 Database를 원용한 사료비판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의 문집 『성호사설(星湖僿說)』 제9권 「人事門」 ‘생삼진륙변(生三進六辯)’에 ‘생삼진륙(生三進六)’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망족(望族)들이 모두 이 번호를 수치로 여기어 피하므로 반드시 미천한 자를 뽑아 ‘생원의 제3(生三), 진사의 제6(進六)’을 만든다. 이 폐습이 어느 시대로부터 일어났는지 알 수 없다...전하는 속담에 의하면 ‘예전에 생원의 제3이나 진사의 제6을 차지하는 자는 흔히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한다” 라는 내용의 ‘생삼진륙’ 기피 습속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는 문벌에 의해 능력검증체계가 왜곡되는 과거제도 폐단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생삼진륙(生三進六)’ 기피 습속에 대한 『성호사설(星湖僿說)』의 기록은 신뢰할 수 있는가? 습속이 실제로 존재하였는가? 습속이 존재하였다면 ‘전하는 속담(諺傳)’ 정도로 기록된 기피 사유(多不吉)는 신빙성이 있는가? 속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존재하는가? 과연 당대인들이 믿은 속설은 허구인가 실제인가?
        이 연구에서는 사료의 내적 비판을 통해 실증적 연구를 시도한다. 문헌 기록이 반드시 역사적 진실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는 근거가 없으므로 사료의 기술(記述)을 분석하고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조사하고자 한다.
        먼저 『성호사설(星湖僿說)』 기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호가 썼음에도 기피 습속의 대상인 ‘생삼진륙’에 대해 오히려 ‘극선(極選)’이라는 상반된 진술을 보여주고 있는 윤돈(尹暾) 행장을 검토한다. 또 ‘장원 선발 시 피봉(皮封)을 개탁(開坼)’ 하는 문벌검증 절차의 제도적 실현가능성을 조사함으로써, 출방(出榜) 전 피봉 정탐을 통해 미천한 자로 ‘생삼진륙’을 만든다는 『성호사설』 기록의 정확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삼진륙’ 기피 습속이 기록된 문헌들을 검토하여 그 기원과 양상의 변화, 습속의 보편화 정도를 살펴본다. 과거제의 폐단을 기록하고 있는 복수의 사료에 대한 교차 검증을 통해 상당 기간 다양한 모습으로 변용되어 온 ‘생삼진륙’ 기피 습속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기록의 대부분은 개별적·단편적 사례에 대한 전언정보(傳言情報)의 특질을 갖는 한계성이 있다.
        ‘생삼진륙’ 기피 습속과 연루된 조선 후기 과거제도 폐단의 전모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사마방목(司馬榜目) Database를 원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시도한다. 사마방목은 조선시대 태조 2년부터 고종 31년까지 실행된 230회의 생원·진사시 합격자 기록이다. 조선시대 全 시기 과거제도와의 관련 속에서 ‘생삼진륙’ 개별 data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미천한 자(微賤者)들의 출신 구성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세간에 속설로 전해지는 기피 사유(前古去生三進六者多不吉)의 신빙성 여부를 검증한다. 다불길(多不吉)을 판단하는 준거가 명확치 않으므로 다양한 가설을 세워 검증을 시도한다.
        본고에서는 ‘생삼진륙변’의 사료비판을 통해 기록의 신뢰성을 검증해 나가는 과정에서 사료의 진위와 가치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조선 후기 과거제도 운영의 실상을 궁구(窮究)해 나갈 것이다.

        Speaker: Hayoung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74
        납속과 허통을 통해서 본 소통의 길: 영해 도곡 무안박씨의 사례를 중심으로

        16세기 말과 17세기 초에 작성된 분재기와 입안을 통해 신분의 경계를 넘어 사로(仕路)를 성취해 낸 한 사례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탐구 대상의 주인공은 박응장(朴應長)이다. 박응장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알려진 박세현(朴世賢)의 아들로 본래 박세현의 얼자(孽子) 즉, 천첩자(賤妾子)였다. 그러므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서얼금고법(庶孽禁錮法)에 따라 박응장은 문‧무과와 생원‧진사시의 응시가 불가능했다.
        박세현 또한 일찌감치 막내 동생 박세렴(朴世廉)의 아들 박의장(朴毅長)을 시양(侍養)하여 양육했을 뿐 아니라 법적으로 계후(繼後)를 받고자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16세기 말에 국가적으로 ‘납속(納粟)’을 통해서 벼슬길이 가능[許通仕路]해지게 되자, 박세현은 박세렴(朴世廉)과 논의하여 기존 시양을 깨고 얼자에게 과거 응시의 기회를 마련해 준다. 이 과정 안에서 20여 년이나 키웠던 박의장에게도 일정 노비를 물려주는데, 이는 정이 친부자와 같다는 이유였다. 이후 박응장은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판관 등을 역임했으며 아버지 박세현의 재산을 물려받고, 이후에는 봉사권(奉祀權) 또한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당시 조선에서 납속과 허통이 가능했던 것은 임진왜란 중이였기 때문이다. 전쟁을 치르는 데 막대한 군량이 필요해지자 조선 정부는 정책적으로 납속을 통해 군량을 확보하고 기민(飢民)을 구제하고자 했다. 이러한 시대상 위에서 공사천(公私賤)의 면천과 서얼의 허통이 가능했는데, 이때 영해 무안 박씨 집안에서도 기회를 포착하고 가족 간의 소통과 합의를 바탕으로 얼자 박응장이 신분적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도록 바탕을 조성해 줬다. 특히, 조선시대 납속정책은 조선후기 신분제의 동요에 큰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로 평가받았으나, 실상 납속자(納粟者) 개인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발견하기 어려워 납속을 통한 허통의 실례가 논의된 적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해 무안 박씨 집안에 전해지는 분재기 2건, 입안 신청 소지 1건, 입안 1건을 중심으로 임진왜란기를 전후로 국가적으로 시행한 납속정책의 실제 적용양상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국가 정책이 한 집안에 미친 영향, 특정 가문 안에서 협의를 통해 형성해 간 합의점, 그 흐름 안에서 한 개인이 신분의 경계를 뛰어 넘어 성취해 나간 성취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Speaker: Esun Kwon (한국학중앙연구원)
      • 75
        17세기 조선의 세 편의 과거답안지: 군신 간의 길항과 지혜의 수렴

        17세기에 작성된 세 편의 시권(試券), 즉 과거 답안지를 통해 당시 조선 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정치사회적 현안이 무엇이었는지를 정밀 조명한다. 세 편 가운데 두 편은 장원 합격자의 답안이며, 나머지 한 편은 34명 가운데 29위로 합격한 인물의 답안이다.
        이들 답안지는 단순히 합격권에 든 모범 답안을 넘어 왕이라는 절대 권력자의 권위에 도전하거나 시대적 이슈에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는 점에서 17세기 조선의 청사진이 되기에 손색이 없다. 특히 그 원본이 존재함으로써 사실성을 한층 더해주고 있다.
        첫째, 박세당(朴世堂)이 1660년 증광 문과에서 장원으로 합격할 때 작성한 답안지이다. 이것은 국가의 재정운영과 관련하여 그 주도권을 임금과 신하 가운데 누구에게 부여하는 것이 합당한가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 것이며, 박세당은 관료주도형을 제안하여 장원의 영광을 획득했다. 군권과 신권의 길항성을 엿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장면으로 포착된다.
        둘째, 조창기(趙昌期)가 1660년 증광 문과에서 작성한 답안지이다. 나라의 부강책(富强策)을 묻는 시험에서 응시자는 부강을 단념하고 인의와 도덕을 회복할 것을 제안하여 합격하게 된다. 질문의 취지를 완전히 벗어난 답안을 합격권에 들인 것이고, 이는 부국강병을 금기시했던 주자학자들이 군주를 조련 또는 순화(馴化)시키는 장면으로 해석할 수 있을 만큼 파격적이었다. 이 또한 박세당의 시권과 마찬가지로 군권과 신권의 길항성의 산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당시의 군주가 군약신강(君弱臣强; 군권은 약하고 신권은 강하다는 뜻)의 주인공인 현종이라는 점도 주목할만한 대목이다.
        셋째, 조덕순(趙德純)이 1690년 식년 문과에서 장원 합격할 때 작성한 답안지이다. 당시 서울에는 도적이 출몰하여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었는데, 바로 이것이 출제된 것이다. 더욱 흥미로운 것은 응시자 조덕순은 서울 백성들과의 대화를 통해 현안이 무엇인지를 청취하여 출제의 가능성을 염두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과거가 현실의 문제와 매우 밀착되어 있었음을 웅변하는 것에 다름 아니었다.
        이 글은 17세기 조선의 과거는 현란한 문장을 다투는 문예의 경연장이 아니라 국가의 운영방향을 결정하고, 초미의 현실문제를 타개하기 위한 지혜 수렴의 장치였음을 진단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Speaker: Haksu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4: 23. Anthropology, Sociology (4) Room 107, C1 Building

      Room 107, C1 Building

      Convener: Hyunmi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76
        한국의 인종주의와 이주

        비서구적 맥락에서 인종과 인종화 과정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가? 이 논문은 오랫동안 인종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지역, 특히 한국에서 인종에 대한 이해와 이주민(특히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중국 출신)의 인종화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주의라는 동아시아의 새로운 현실을 진단해본다. 한국 내 비숙련 외국인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9개월 간의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이 이주민 유입국으로 부상하게 된 이후 이주민의 인종화도 함께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저자가 서울 근교의 여러 공장에 공장노동자로 취업하여 외국인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들과 함께 공장 기숙사에서 지내면서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현장연구 결과, 한국의 이민정책, 젠더 정치와 문화, 가부장제, 분절노동시장 등 여러 요소가 한국에 거주하는 저소득 국가 출신 이민자의 인종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한국 노동 시장의 착취적 자본주의 관행과 국가주도의 여성 결혼이민자 유입이 한국인의 인종 개념과 이민자/이주노동자의 인종화 과정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이주민의 인종화 과정은 한국이 근래에 성취한 경제적 부를 바탕으로 자국의 위치를 새롭게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한국의 이주민에 대한 인종화 과정이 서구의 주요 인종화 이론(예: Miles 2004, Omi and Winant 2014)에서 주장하는 것과 유사한 인종 논리가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한국의 인종화는 노예제, 식민주의, (신)제국주의를 특징으로 하는 유럽-미국의 인종화 과정과는 다른 궤적도 보여주고 있었다. 한국의 경우 이주민의 출신 국가와 글로벌 경제 질서 내에서 이들 국가의 경제적 발전 상태가 서구의 사례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종의 정치경제학적 요소는 한국사회가 어떻게 글로벌 인종위계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연구가 기존 인종 이론과 사례 연구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인들이 다문화 사회라는 새로운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 수입된 '서구' 인종 논리를 채택하는 동시에, 그 인종의 범주를 주로 정치경제적 관점으로 제한하여 해석함으로써 사회문화 전반을 의미하는 '서구' 중심의 인종 개념에 도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한국 (그리고 광범위하게는 동아시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이른바 '서구'중심의 인종 위계 (예를 들어, 백인, 동양인, 흑인)가 근대 서구 제국주의의 역사적 영향력에 의한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권력 비대칭 때문에 한시적으로 받아들여 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들은 세계 경제내에서 영향력을 넓혀 나가면서 서구중심의 인종 위계에도 도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에서 '인종'이라는 개념이 상당히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에서 최근 나타나고 있는 인종화 과정과 이민자에 대한 인종 차별을 조사함으로써 '동양인' 인종에 대한 '서구’ 중심적에 개념에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즉, 동아시아에서는 인종차별과 인종화의 역학을 설명할 때 비'서구'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인종에 대한 '서구’ 중심적 접근에 따르면 한국에서의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국 출신 이민자에 대한 차별은 모두 아시아인이기 때문에 인종차별이 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저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의 이주민의 분류 (예, 동남아)에는 인종화 과정이 개입되어 있으며, 이주민에 대한 차별에 이미 인종적 서사가 사용되고 있었다.

        Speaker: Seonok Lee (The University of Groningen)
      • 77
        Socialism Beyond Borders: Separation and Synchronicity on the Korea-China Frontier, 1989

        This paper draws on a combination of anthropological and historical methods to discuss how life in the Korea-China borderlands in 1989 sheds light on wider regional and global dynamics in the last days of the Cold War. Given the two polities’ structural similarities as socialist states, the border betwee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presented a specific kind of divide in the twentieth-century context. Thanks to cognate processes of boundary-drawing, both physically at the inter-state border and symbolically through taxonomical regimes of high socialist modernity, and a cross-border population of ethnic Koreans (Joseonjok) in China, there was much that was shared across the Rivers Tumen and Yalu. Yet notional ideological solidarity and formal similarity did not necessarily make intra-socialist borders any more permeable or less fractious than those between the socialist and capitalist worlds, even during the 1950s-60s when, under the aegis of wider amity with the Soviet Union, celebrations of “unbreakable” Sino-Korean Friendship were ubiquitous. This, I argue here, was a result of a state of affairs I call “socialism in several countries,” a spatial and – crucially – temporal order wherein political boundary-reinforcement measures, from border infrastructure to ethnic classification and population movements, elided with symbolic representations of difference which circulated at the level of state culture through staged national performances. In demonstrating this by drawing on long-term ethnographic and historical work in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on the Sino-Korean border,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pivotal year of 1989, this paper offers new border-rooted perspectives on socialist internationalism and its separating effects in space and time. Through multiscalar consideration of both the borderland lives of local Joseonjok and events of a more geopolitical character in the last years of the Cold War, we can discern how inter-state and inter-ethnicity divides produced by cross-border adaptations of Stalinist statism interfaced with socialism’s universalist claims to be applicable to all nations. This adds to existing research which reveals Cold War divides as multiple and, perhaps, suggests new ways of tracing the roots of rifts in the socialist world from the 1960s to the 1990s.

        Speaker: Ed Pulford (University of Manchester)
      • 78
        Gendered maritime tens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Anti-Fukushima nuclear wastewater activism

        This paper examines the marine disput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especially the gendered dimensions in Jeju Island by women divers (Haenyeo). Since 2013, Fukushima nuclear incident has become one of the major sources for territorial disputes. Japan's decision to release Fukushima wastewater in April 2021 has emerged as a new source of tension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Right after Japan announced its pla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trongly condemned the decision and summoned the Japanese ambassador to reveal its disagreement. Civil protests have ensued across the countr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civil groups has been considering legal action against Japan. South Korea is also seeking the cooperation of other countries to support on the issue. The dispute escalated in June 2021 as the South Korean parliament passed a resolution condemning Japan's wastewater discharge plan. Sea salt prices climbed sharply due to panic-buying ahead of the release.
        Among all the anti-activism in South Korea, this paper especially focuses on the case study of women divers in Jeju Island, South Korea. Jeju women divers (Haenyeo) culture is a unique mode of production, emphasiz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empowering local women. Jeju women divers culture is inscrib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e heritage yet endangered by various environmental challenges. This paper analyzes the gendered aspect of the related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sm.
        In this case study of Jeju Haenyeo, I would like to examine a) how this unique mode of production confronts and deals with the potential threats caused by released Fukushima nuclear wastewater; b) what kind of impacts have the released nuclear wastewater brought to Jeju Haenyeo culture both ecologically and economically since 24 August 2023? c) Maritime spaces are apparently borderless places but have been subject to a process of territorialization. How do we perceive the idea of fluidity, wastewater across the national borderlines as example, along with the constructed maritime territories? d) how the maritime territories become symbolic and gendered through social representations in the case of Jeju Haenyeo?

        Keywords: South Korea, Fukushima nuclear wastewater, Jeju women divers (Haenyeo), environmental activism, intangible culture heritage

        Speaker: Sana Ho (Soochow University)
    • Session 4: 24. Digital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Convener: Ba-ro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79
        한/일 고문헌 텍스트 데이터 스키마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Data Schemas for Korean and Japanese Historical Text Collections
        한/일 고문헌 텍스트 데이터 스키마 비교
        조하영 (Hayoung Cho),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경진 (Kyungjin Jeong), 이바라키 그리스도 대학

        본고는 마크업 언어를 이용한 고문헌 자료의 디지털 판본 구축을 위해, 한국의 『한국문집총간』과 일본의 다이쇼 신수 대장경 데이터베이스(大正新脩大藏經, The SAT Daizōkyō Text Database)의 데이터 설계를 비교-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 설계를 보완한 스키마 설계를 제안하여, 표준 동아시아 고전 텍스트 데이터 설계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인문학 분야에서는 1990년대부터 고문헌 자료의 디지털 판본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일본에서는 TEI(Text Encoding Initiative)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고는 고문헌 자료의 디지털 판본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 마크업 언어를 이용하는 한국고전번역원의 『한국문집총간』 XML과 일본 다이쇼 신수 대장경 데이터베이스(大正新脩大藏經, The SAT Daizōkyō Text Database)의 TEI를 검토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두 마크업 언어의 절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1995년 조선왕조실록 CD-ROM을 시작으로 편년체에 최적화된 데이터 구조의 마크업 언어가 구현된 이후(김바로, 2017), 현재까지도 한국고전종합DB, 디지털장서각, 한국경학자료시스템 등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역대 문집을 총망라한 『한국문집총간』 XML은 제목 정보, 간행정보, 소장정보, 본문내용을 나타낼 수 있는데 본문내용은 원목차정보와 권차정보로 나눠지고 권차정보는 제목, 최종정보, 문체, 내부록 등의 정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1). 한국문집총간 XML은 한국 문집의 형식을 충실히 따르며 기존 내용을 왜곡하지 않고 최대한 그대로 서술할 수 있게끔 설계되었다.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한 XML의 장점을 잘 보여주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사용자가 각기 다른 스키마를 설계할 경우에 데이터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
        반면, TEI는 텍스트 인코딩을 위한 국제적인 규약이기에 TEI 기반의 다이쇼 신수 대장경 데이터베이스는 그러한 규약에 맞게끔 설계되었다. 사전에 정의된 태그를 이용해서 경전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고 그 속에 존재하는 방대한 문장도 관리하고 있으며, 글자별 관련 속성까지도 사전에 정의된 태그를 이용했다. 제목 정보는 <titleStmt>, 작성자는 <title>, 기타 지적내용은 <respStmt> 등 TEI를 아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설계이다 (그림2). 또한 일본의 한문훈독에서 사용되는 가에리텐(返點) 등의 요소는 <metamark> 태그로 처리(허인영, 2022) 하는 등 TEI 표준기술규칙뿐만 아니라 일본 자체만의 요소까지 더하여 DB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TEI는 서구 언어학 분야 중심으로 발전해왔기에 동아시아만의 고유한 고문헌 구조와 다양한 문자를 충분히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동아시아 고문헌의 특성을 반영하기에는 다소 제한적이며 다이쇼 신수 대장경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자체 요소를 추가하는 순간 국제표준의 성격에서 벗어나게 된다.

        TEI의 새로운 규약을 개발하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TEI 또는 XML 중 한 가지 방법만을 이용하여 고문헌을 디지털화 하기보다는, 그림3과 같이 서지적인 메타데이터는 TEI 요소를 기반으로 설계하되, 그 안에 담긴 텍스트는 XML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도록 서술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peakers: Kyungjin Jeong (이바라키 그리스도 대학), Hayoung Cho (한국학중앙연구원)
      • 80
        조선시대 논어 주석의 인용 관계망

        본 논문은 논어에 관한 다양한 주석을 살핌으로써 조선의 학자들이 역대로 어떤 주석들을 인용해 철학 체계를 세웠는지 그 계보를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연구 대상이 되는 문헌 40권을 ‘한국경학자료시스템’ 을 이용해 선정했으며, 추후 사서 연구로 확장하기 위해 논어 단본이 아닌 사서 전체의 해석서를 기준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學而時習之’에 대한 조선시대의 다양한 주석을 직접 번역하고 그 관계성을 데이터로 정리해 인용 관계망으로 시각화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특정 인물에 국한되어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졌던 종래 경학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해석을 폭넓게 보는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새로운 연구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DB 수준을 넘어서서, 텍스트 속의 문맥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매개로 다른 DB의 관련 자료까지 찾아서 제공해 줄 수 있는 발전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이렇게 대상 자료의 의미 관계를 함께 찾아주는 발전된 형태를 ‘시맨틱(Semantic)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며, 이 모델은 고전 텍스트를 독자의 관심과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편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독자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 속의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고는 ‘논어 해석학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시맨틱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기초데이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경문 텍스트에 관한 구조와 정보를 연구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언어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했으며, XML은 현재 웹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HTML과 매우 비슷한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 사람과 기계가 동시에 읽기 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XML의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손쉽게 적재할 수 있으며, 또 새로운 정보가 나타날 때마다 태그를 만들어 추가해도 계속해서 동작하므로 확장성이 좋다.
        인용 관계 그래프를 위해서는 연구 대상이 되는 40권의 주석서마다 각 저자에 관한 정보가 있는 관련 사이트를 링크하고, 텍스트에서 ~說, ~謂, ~云, ~曰, ~以爲 등의 인용 관계가 나타날 경우 인용 문헌이나 인용 유형 등의 정보를 기재할 예정이다. 아울러 확장성이 좋은 XML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석자 간의 학맥 관계 및 해석 당시의 시대적 특징 등의 관련 정보도 함께 기입하여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의 주석 인용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필 계획이다.
        이처럼 연구 목적에 맞게 작성된 XML 전자문서와 이를 구조화한 데이터셋을 공유한다면, 여러 연구자가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재생산하여 자신만의 연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거친 데이터베이스는 각 연구 분야에서 경전 해석에 관한 의견이 상이할 경우, 종합적 결론으로 도달하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 미래형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인문학 영역의 외부 참조자원으로써 미래의 학습자들이 인공지능을 통해 고전을 공부하고자 할 때도 전문 연구자들이 만든 신뢰성 높은 데이터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Speakers: Eunsun Shin (성균관대학교), Seoyun Kim (전남대학교)
      • 81
        동국대학교 통합대장경 기반 한국 불교학 통합 DB 구축을 위한 데이터 설계 연구

        본 연구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개념을 활용하여,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ABC 아카이브, Archives of Buddhist Culture)의 통합대장경 데이터를 대상으로, 다층적이고 풍부한 인문학적 지식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불교학 데이터모델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국대학교 ABC 아카이브 통합대장경, 대만 중화전자불전협회(일명 CBETA, 財團法人佛教電子佛典基金會, Chinese Buddhist Electronic Text Association), 대만 불학규범자료고(佛學規範資料庫, Buddhist Studies Authority Database Project) 등의 유관 불교학 데이터 설계를 살펴보고 전세계 불교학 데이터와 호환성을 가지면서 한국 불교학만의 고유성을 반영할 수 있는 데이터 온톨로지(Ontology) 설계를 수행한다.
        동국대학교 통합대장경은 현재 총 1514건의 자료가 구축되어 있으며, 한글대장경과 고려대장경 원문 이미지와 원문 텍스트와 한국어 텍스트를 열람하고 검색할 수 있다. 대장경의 내용의 맥락과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한국어 번역문과 함께 제공하고 있지만 , 인명∙지명∙시간 요소에 함의된 다층적인 인문학적 지식정보를 연계할 수 있는 설계는 보이진 않는다.
        대만 CBETA는 불교경전의 새로운 학술 디지털판 제작을 추진하고자, 1998년을 시작으로 『大藏經』, 『大正新脩大藏經』, 『歷代藏經補輯』부터 근래에는 『太虛大師全書』 등 불교 고문헌자료가 구축되고 있다. 더불어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서지정보를 제공하고 XML∙TEI(Text Encoding Initiative)를 활용하여 원문 텍스트를 문장 단위로 전달하는 동시에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며, 원문 텍스트에 출현하는 인명∙지명∙시간 용어의 핵심정보를 마크업(markup)하고 있다.
        불학규범자료고는 CBETA 원문 데이터와 대만 법고불교대학(法鼓佛敎大學, Dharma Drum Buddhist College)의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얻은 시간, 인명, 지명, 불경목록 데이터를 RDB(Relational Database)를 기반으로 통합∙구축된 기초데이터베이스이다.
        CBETA는 불학규범자료고 데이터와의 연계를 통하여 불경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불경 원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원문에 나오는 특정 키워드와 관계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미제공은 아쉬운 부분이다.

        현 시점에서 가장 방대한 불교학 데이터를 구축한 CBETA와 불학규범자료고의 데이터 구조를 참조하여 한국 전자 불전에 최적화될 수 있는 데이터 설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통합대장경 원문 텍스트에서 인명∙지명∙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데이터를 통합대장경 사전 데이터베이스로 통합∙구축하여 통합대장경 원문 및 한국어 텍스트와 연계한다.
        또한 원전을 저본(底本)으로 조선시대 언해본, 근현대시대 한국어 번역본, 현대 한국어 번역본을 연계하여 한국 불교학의 특징을 반영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멀티미디어 시대에 부합하는 불교학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목표로 이미지, 3D,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시각자료를 상호 연계하고자 한다.
        부처의 말씀을 담은 불교경전은 불교고대부터 팔리어 원전을 저본으로 산스크리트어본, 한역본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었다. 이것은 불교사상을 넓게 전파하기 위한 것으로 그 과정에서 근본 경전을 바탕으로 학승들의 학문적 저술활동과 불상이나 불화를 조성하는 행위가 오랜 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장경 텍스트에 내포된 여러 불교학 정보를 추출하여 통합 DB로 구축하는 동시에 멀티미디어 자료들과 연계하는 것은 디지털 시대의 불교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국대학교 통합대장경 기반 불교학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는 한국 불교학 연구자들의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원천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불경을 바탕으로 불교사상을 학습하고 싶은 대중에게 원문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불교 대중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peakers: Ba-ro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Song-yi Jung (한국학중앙연구원)
      • 82
        조선시대 문집의 디지털 전환 -강희안의 「양화소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집 텍스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문헌 안의 지식정보가 다른 문헌과 연결되어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선시대 문인 강희안(姜希顔, 1417~1465)의 문집 「양화소록(養花小錄)」을 대상으로 문헌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형태인 XML 문서로 제작하고, 여기서 추출된 지식 정보를 시맨틱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대상 문헌과 유관 지식을 통합적인 자원으로 만들고자 한다.
        「양화소록(養花小錄)」은 동생 강희맹(姜希孟, 1424~1483)이 편찬한 『진산세고(晉山世稿)』 권4에 수록된 것이다. 진산세고는 한 집안의 글을 모은 세고(世稿) 가운데 가장 빠른 시기의 책으로, 강희맹이 형 강희안과 아버지 강석덕, 할아버지 강회백의 글을 모아 편찬한 문집이다.
        양화소록은 총 16가지의 꽃, 나무, 그리고 괴석을 다루는데, 각 편은 해당 식물에 대한 중국 문인들의 언급, 중국 원예서에 등장한 이야기, 그리고 강희안이 직접 식생을 하며 얻은 지식과 감상이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이 텍스트 안의 지식은 타 문헌으로, 그리고 타 영역으로 확장되고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문인의 인문학적 탐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학에 대한 실천적 탐구까지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전환을 위한 첫 단계로 강희안의 양화소록에 등장하는 인물과 고사, 지명, 식생에 대한 지식정보, 문헌 등을 XML문서 형식으로 작성하고자 한다. XML로 구현된 하이퍼 텍스트는 그 텍스트 조각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의미맥락 속에 있는 것인지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문에서 언급되는 텍스트가 인물을 가리키는 것인지, 문헌을 가리키는 것인지, 그리고 그 문헌은 시인지, 편지인지 등 텍스트가 함의하는 바를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서술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 이렇게 작성된 기계 가독적인 데이터에서 지식 요소들을 추출하고 지식 사이의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형식의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때 시맨틱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식은 강희안의 「양화소록」에 텍스트로 언급되는 지식뿐만 아니라, 해당 지식과 연결 될 수 있는 문헌, 인물, 이야기, 장소(경위도 정보), 이동 경로, 재배지, 식물 분류체계, 2차 연구자료, 멀티미디어자료 등 양화소록의 지식 데이터를 이야기하는 데에 필요한 유관한 정보들을 모두 포함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데이터 아카이브를 통해 이용자들은 양화소록이라는 텍스트를 명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문헌과 다른 매체를 넘나들며 관련된 지식에 대한 탐색을 이어 나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양화소록의 지식 요소들을 데이터로 서술하기 위한 명세서’인 온톨로지 는 디지털 전환을 앞둔 다른 문집 연구를 위한 하나의 모델로서 후속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Speaker: Hanna Lee (명지대학교)
    • Break
    • Session 5: 25. Literature (4) Seminar 1, C1 Building

      Seminar 1, C1 Building

      Convener: Jong-wook Hong (서울대학교)
      • 83
        식민지/제국의 ‘국민문학’에 나타난 남양 (南洋): 김사량, 나카지마 아쓰시, 안회남 소설을 중심으로

        이 발표는 식민지 인의 이주 경험에 관심을 가졌던 제국 일본의 작가와 식민지 조선의 작가의 ‘남양(南洋)’(동남아시아) 표상을 비교 검토하여 식민지/제국의 ‘국민 문학’의 남양 표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그 전쟁이 아시아태평양전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식민지 조선에서는 ‘남양’을 주제로 한 시와 소설이 다수 발표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국민문학’에서 남양에 대한 관심의 고조는 전쟁을 통해 남양을 대동아공영권의 일부로 포섭하고, 동양의 실지(失地)로서 회복하려고 하는 제국 일본의 전쟁 논리와 연동한 것이었다. 중일전쟁 이후의 남양을 주제로 한 ‘국민문학’ 중 상당수는 전쟁의 당위성을 주장하거나, 남양의 ‘야만성’을 강조하면서 ‘국민’으로서 조선인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런데 이 시기에는 실제 남양으로 이민을 간 조선의 민중이 적지 않았다. 1939년 이후 남양청의 노동자 모집으로 남양군도로 이주한 조선인이 늘어났고, 아시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에는 조선인이 노무자로서 남양으로 계속 동원되었다. 즉, 식민지 조선에서는 남양은 대동아공영권에 포함된 지역의 일부인 동시에, 이민, 노동, 동원의 장소였다.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이 조선인의 남양 이민, 동원 경험을 접하게 되면서, 작품의 ‘남양’ 표상에도 변화가 일어난다.
        이 발표는 대동아공영권이나 전쟁의 당위성을 강조한 식민지/제국의 ‘국민문학’에 나타난 ‘남양’ 표상과 실제 조선인의 이주 및 동원 경험을 접한 작가의 작품 사이의 거리를 검토하고자 한다. 발표에서는 우선 중일전쟁 및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식민지/제국의 남양 표상과 조선인의 남양 이민 경험을 검토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식민지 조선의 작가 김사량(1914~?)과 안회남(1909~?), 그리고 조선 및 남양에 체류 경험이 있는 일본인 작가 나가지마 아쓰시(中島敦, 1909~1942)의 작품을 비교 검토한다.
        김사량은 1930년대 제국 일본에 체류하면서 일본의 조선인 이주자를 다룬 작품을 다수 창작하였다. 그의 「십장꼽새(親方コブセ)」(1942.1)에는 남양으로 이민을 가게 된 조선인 노동자들이 등장한다. 나카지마 아쓰시는 유년 및 청소년 시절 조선에 체류하였으며, 식민지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특히 그는 1941년부터 1942년까지 남양청에서 일하면서 남양을 주제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는데, 남양 체류 시 시마키 겐사쿠(島木健作)의 『만주기행』(1940)에 대해 언급하는 등, 남양에 대한 그의 관심은 조선에 대한 그의 관심과 겹쳐 있었다. 마지막으로 징용 경험을 가졌던 안회남이 해방 이후 발표한 「불」(1946.8)에는 징용되어 남양에 갔다가 해방 후 조선으로 귀환한 조선인의 경험과 목소리를 재현하였다.
        조선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관심에서 남양으로 떠나는 조선인 노동자의 모습을 포착한 김사량, 조선 체류와 남양 체류를 교차한 일본인 작가 나카지마 아쓰시, 일본 징용 경험을 바탕으로 남양 귀향자의 목소리에 귀기울인 안회남. 이 발표는 1945년 이전 한국인의 남양 이주 및 동원 경험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한국과 일본 작가의 ‘남양’ 표상들을 비교 검토하면서, 식민지/제국의 ‘국민문학’과 어긋난 ‘남양’ 표상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Speaker: Azusa Takahashi (니가타현립대학)
      • 84
        베트남에서 발견한 아시아의 평화: 김영건과 최인훈의 베트남 체류와 그 유산

        이 발표는 동양학자 김영건(1910~?)과 소설가 최인훈(1936~2018)의 베트남 체류 경험을 재구성하면서, 식민지 지배와 전쟁을 계기로 가능했던 한국인의 베트남 체류가 아시아의 평화에 관한 문학적 상상력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검토한다. 김영건의 베트남 거주는 1930년대이며 최인훈의 베트남 방문 체류는 1970년대이다. 제국-식민지 시기와 냉전 시기라는 시대적 배경에 차이가 있지만, 두 사람의 방문을 교차하여 검토할 경우, 한국의 지식인의 베트남 인식과 그에 근거한 실천 및 상상력을 검토할 수 있다.
        동양학자 김영건은 1931~1940년 인도차이나 총독부 직속 기관이었던 베트남 하노이 프랑스 국립 극동연구원(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의 도서관 사서로 10년간 근무하였다. 베트남에서 그는 연구, 번역, 도서 기증 등을 통하여, 유럽의 동양학과 일본의 동양학, 그리고 한국의 한국학을 연결하는 지식의 매개자로 활동하였다. 1940년 일본군의 하이퐁 점령을 계기로 베트남을 떠난 그는 일본을 경유하여, 한국으로 귀환하였다. 일본과 한국에서 그는 베트남 연구자로 베트남의 역사와 문학을 한국에 번역 소개하는 한 편, 유럽의 동양학 성과와 참조하면서 중국을 넘어서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아시아를 포괄하는 동약학의 재구성을 요청하였다. 해방 이후 김영건은 해외 한국학과의 교류를 통한 한국학의 탈중심화를 제안하였으며, 평론가로서 아시아 아프리카 탈식민국가 문학의 번역 및 연대를 기획하였다.
        소설가 최인훈은 1973년 1월 베트남 주둔 한국군 사령부의 작가 초청을 계기로 열흘가량 베트남을 방문하여 전시하 사이공 시가를 걸었다. 베트남 방문은 최인훈에게 두 가지 측면에서 아시아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다. 첫째, 동북아시아의 범위를 넘지 않았던 그의 심상지리가 동남아시아로 확장하였다. 둘째, 기후와 식생의 차이를 통해 환경의 중요성을 확인한다. 최인훈은 베트남 체류에서 얻은 아시아의 재인식을 바탕으로 가상역사소설 『태풍』을 창작하였다. 『태풍』은 최인훈 자신의 유년시절 식민지 경험과 대면하면서, 침략과 연대의 이중성을 가진 아시아주의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한다. 또한 환경과 인간의 역사가 연동하는 과정에 유의하여 근대사를 재인식한다. 『태풍』은 식민지와 냉전이라는 근대의 폭력 너머의 평화와 공존을 지향하였다.
        수교 이전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는 활발하지 않았다. 김영건과 최인훈의 베트남 방문은 예외적인 사례로, 식민지 지배와 전쟁이라는 근대의 폭력적 경험을 계기로 실현되었다. 두 사람의 베트남 체류는 시기 및 기간에 차이가 있지만, 근대의 폭력을 넘어선 새로운 상상력을 제안하였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김영건은 베트남에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나라의 지식을 연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문학 및 한국학을 외부와 연결하면서 탈중심화하였다. 최인훈은 베트남에서 자신의 심상지리를 확장하면서 세계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도출하였다. 김영건과 최인훈은 베트남 경험을 통해 세계 안에서 한국의 위치를 새롭게 정위하고, 아시아의 평화를 위한 새로운 상상력과 실천을 모색하였다.

        Speaker: Moon-seok Jang (경희대학교)
      • 85
        Revolutionary Literature Went Abroad: Novel The White Dress and Its Imprint in Japan and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dissemination of Nguyễn Văn Bổng’s The White Dress (Áo trắng, 1972) in Japan and South Korea. The novel recounts South Vietnam’s student movement in opposing the suppression of the US-backed Ngô Đình Diệm Government in the 1960s via the real-life character of Nguyễn Thị Châu, a Saigon schoolgirl arrested and prosecuted due to her antigovernment activities. Proffering the symbolic image of the long white dress (áo dài), the Vietnamese schoolgirls’ uniform and Vietnam’s national costume, which represents Vietnamese feminine beauty and the immaculacy and loyalty of Vietnamese women, the novel was welcomed outside Vietnam. Shortly after its Vietnamese publication, Isao Takano, a Japanese Communist and Hanoi-based correspondent translated it into Japanese. However, it was Isao’s tragic death in Vietnam during the 1979 Sino-Vietnamese border war that led to the novel’s publication (1980) and brought its belated recognition in Japan. Meanwhile, when introduced to the South Korean readers in 1987, the novel moved the university students, those who were at the forefront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gainst dictatorship. Dozens of editions printed, and several hundred copies sold underground despite its sensitive topic. The White Dress is now appreciated as a bridge connecting the Vietnamese and Korean cultures. This paper argues that the novel set foot on Japanese and Korean soil and left its deep imprints there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nd the particular political grounds in Vietnam,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ir various practices in terms of reading revolutionary literature outweighed the original ideological narratives.

        Speakers: Do Dieu Khu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Do Thanh Thao Mien (Diplomatic Academy of Vietnam)
      • 86
        또 하나의 남민전: 냉전 시대 한국 사회운동의 베트남 인식

        제2차 세계대전 종결 이후 탈식민과 냉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국과 베트남 두 나라는 모두 분단 국가가 되었다. 1960년대 중반 남북한은 베트남전쟁에 각각 군대를 보냈다. 동아시아 냉전 질서 속에서 한국과 베트남은 대칭적 관계였다. 남한 정부는 베트남 전쟁을 자유진영 대 공산진영의 대결로 선전하며 국민의 각성을 촉구했다. 남한 정부는 1970년대 중반 남 베트남 패망을 체제 위기를 받아들이고 유신 독재 체제를 강화했다.
        1979년 10월 유신 반대 데모가 한창이던 시점에서 박정희 정부는 ‘남조선민족해방전선 준비위원회’ 즉 남민전 사건을 발표했다. 남민전은 이름부터가 1960년 12월에 결성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에서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정부는 남한의 남민전이 베트콩식 도시 게릴라를 기도했다고 설명했다. 남한 남민전의 강령, 투쟁 방식, 그리고 북한과의 관계 설정은 명백하게 베트남 남민전을 모델로 한 것이었다.
        남한 남민전의 지도자 이재문은 일찍부터 베트남을 비롯한 제3세계 민족해방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논설을 여러 번 발표한 바 있다. 이재문은 베트남의 민족운동, 사회운동에 관한 지식을 일본 혁신 지식인의 논설 등을 통해 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냉전 시대 금단의 지식이 유통되던 동아시아 네트워크를 상정할 수 있다.
        베트남 남민전은 북 베트남 정부와 독립된 조직을 표방하고, 공산주의 진영을 비롯한 우방에 독자적인 외교 사절을 보내기도 했다. 이러한 조직 노선은 남한의 사회운동에도 참고가 되었다. 남한의 남민전 역시 북한 정부를 존중하면서도 이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전위 정당 결성을 지향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두 나라에 존재한 남민전을 고리로 삼아 남한 사회 운동의 베트남 전쟁, 베트남 혁명 인식을 살피겠다. 첫째, 1954년 제네바 회의 이후 동아시아 냉전 질서 속에서 베트남과 한국의 위치, 둘째, 이재문을 중심으로 한 남한 남민전 주체의 베트남 혁명, 남베트남 남민전 인식, 셋째, 남한 남민전과 남베트남 남민전 조직과 활동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에 분석의 중점을 두겠다. 이를 통해 냉전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상호 교류와 인식의 일단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peaker: Jong-wook Hong
    • Session 5: 26. Culture (2) Room 104, C1 Building

      Room 104, C1 Building

      Convener: Yoshiyuki Aoki (릿쿄대학교)
      • 87
        베트남의 ‘사이공의 흰옷’과 한국의 ‘청년일기’ 비교연구 - 아시아 학생운동 문학의 동일성과 차이

        A Comparative Study of Vietnam's The White Clothes of Saigon and South Korea's The Diary of a Young Man -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Asian Student Movement Literature
        베트남의 ‘사이공의 흰옷’과 한국의 ‘청년일기’ 비교연구 - 아시아 학생운동 문학의 동일성과 차이
        오창은 (Chang Eun Oh), 중앙대학교

        1986년 한국에 응웬 반 봉의 <사이공의 흰옷>이 번역 소개되었다. 한국 청년들은 이 작품을 반미 항쟁의 교재처럼 읽었다. 한국정부는 이 책을 금서로 지정했지만, 금서 지정으로 대학가에서 더 널리 읽혔다. 한국에 소개된 책은 일본어본을 다시 한국어로 옮긴 중역본이었다. 일본에서 간행된 책은『白い服: サイゴンの女子学生の物語』(1980.2)였다. ‘사이공의 흰옷’ 은 1980년대에 대학가에서 널리 읽히다가 사라졌다. 2006년에 <하얀 아오자이>라는 작품으로 베트남어에서 한국어로 직역된 작품이 간행되었다.
        <사이공의 흰옷>은 베트남의 가난한 시골 출신 여성인 홍이 사이공의 대학으로 진학해, 학생운동가로 성장해 나가는 서사를 담고 있다. 작품의 배경이 되는 시기는 1954년 봄에서 1960년대까지의 시기로, 베트남 젊은이들이 미국의 반공 정책에 맞서 해방투쟁을 전개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이 소설은 여학생 홍의 서사를 통해, 베트남 청년의 정체성 변화를 세계의 변화와 연결하고 있다.
        <사이공의 흰옷>이 한국에 소개된 이후 김남일의 <청년일기>가 1987년 풀빛에서 간행되었다. 이 소설은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한국 대학생들의 모습을 그렸다.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갈등하는 김태근, 노동운동가로 적극적 실천을 선택한 한동민, 현실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민을 선택하는 이병호 등이 등장한다. 한국 대학생 청년들이 독재체제라는 억압적 현실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가 이 소설에 잘 그려져 있다. 또한 <사이공의 흰옷>과 <청년일기>는 연관성이 있다. ‘사이공의 흰옷’ 이 한국에 소개된 이후 ‘청년일기’ 가 간행되었고. 한국 대학생들은 <사이공의 흰옷>을 통해 베트남 전쟁에 한국군을 파병한 것에 대해 다른 시각을 갖게 되었다.
        이 논문은 <사이공의 흰옷>이 <청년일기>에 미친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베트남과 한국이 문학 작품을 통해 어떻게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는가를 고찰한다. 더불어 냉전체제가 아시아 학생운동에 미친 영향을 문학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피려 한다. 베트남과 한국 학생운동의 ‘동일성과 차이’는 텍스트적 측면과 컨텍스트적 측면에서 함께 의미화가 가능하리라고 본다. 뿐만 아니라 20세기 아시아 사회현실과 학생운동의 관계를 문학을 통해 규명해낼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베트남 전쟁, 베트남 학생운동, 한국 학생운동, 학생운동 문학, 사이공의 흰옷, 하얀 아오자이, 사이공의 흰옷, 응웬 반 봉, 김남일, 반미, 반독재

        Speaker: Chang Eun Oh (중앙대학교)
      • 88
        한국과 베트남의 과거사 기념물 비교 연구: 과거사정리와 기억

        과거사 정리의 주요 과정은 국가폭력에 대한 진실‧진상 규명, 피해자의 명예회복과 배상‧보상, 가해자의 책임 규명과 처벌, 추모‧기념 공간 조성 등으로 이루어진다. 과거사 정리 과정에 정해진 순서가 있지는 않다. 국가별로 과거사 정리는 주요 역사적 쟁점을 풀어가는 관점과 우선적인 과제 설정 등에 따라서 상이한 과정을 밟는다. 한국과 베트남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의 과거사 정리 과정 가운데 기념 공간을 어떻게 조성하고 있고 어떻게 기념물을 보존하거나 제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가가 자신의 역사를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하는지를 성찰해보고자 한다.
        과거사 기념물은 대내적으로 동시대에 역사를 기념하고 추모하기 위한 장소이면서, 동시대의 경계를 넘어 다음 시대로 기억을 계승하고 소통하는 매체이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다른 국가들에게 자신의 역사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국경을 넘어 국가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기반이자 바탕을 이룬다. 한국과 베트남의 과거사 기념물을 비교해서 살펴보는 작업은 이와 같은 대내적, 대외적 의미가 시간의 변천에 따라 어떻게 구현되고 실행되고 있는지, 향후 과제는 무엇이며 어떤 방향에서 접근해야 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발표에서 특히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전쟁과 학살 관련 기념물이다. 전쟁이 국가를 만든다는 찰스 틸리의 명제처럼, 한국과 베트남은 국가 형성 과정에서 각각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을 겪었고 수많은 인명 피해를 입은 국가적 상처를 간직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대표적으로 대전 산내 골령골, 여순 사건 만성리 학살지, 4.3평화공원, 거창사건추모공원, 지리산 뱀사골 전시관 등이 있고, 베트남의 경우에는 5군구 전쟁기념관, 호치민 기념관, 퐁니-퐁넛 학살 위령비, 하미 학살 위령비, 청룡부대 주둔지, 빈호아 위령비와 증오비, 빈차우 지하 야전병원, 미라이 학살 기념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쟁과 학살 관련 기념물들이 역사와 기억을 서사화하는 관점, 전달하려는 기억과 서사, 계승하거나 극복하려는 과거사의 주요 유산 등을 비교 검토하여, 향후 시대의 경계와 국가 간 경계를 넘어 기억을 소통하고 공통의 애도를 가능케 할 수 있는 과제가 무엇인지 성찰해볼 것이다.

        주제어: 과거사 정리, 전쟁, 학살, 기억, 애도

        Speaker: Jung Han Kim (서강대학교)
      • 89
        한국과 칠레의 저항기억 비교 연구: 기억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한국에서 1980년 5.18의 기억이 제도화되면서 사회 운동에 참여를 견인했던 저항적 기억은 그 문화적 자원으로서 힘을 잃어가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기억의 제도화가 저항 운동의 기억을 어떤 방식으로 변질시키면 저항적 기억의 힘이 상실되는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 발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과거의 운동에 대한 공적인 기억이 존재하면서도 저항적 기억이 사회운동의 문화적 자원으로 작용하고 있는 칠레의 “젊은 전사의 날” (the Day of the Young Combatant)을 5.18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젊은 전사의 날”은 1985년 좌익혁명 운동가가 경찰에 의해 살해된 후 매년 3월 29일에 격렬한 투쟁의 형태로 반복되어 왔다. 이는 피노체트 정권의 국가폭력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군부의 인권 탄압을 강조하는 군부독재에 관한 공적 기억에 도전함으로써 저항적 기억의 힘을 계속 발휘하고 있는 현재 진행중인 투쟁이기도 하다. “젊은 전사의 날” 과 “5.18”의 기억을 비교함으로써, 저항적 기억의 힘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이 사자들을 국가 폭력의 수동적인 희생자로 기억하는 공적 기억을 넘어서, 그들이 활동한 특정 지역을 저항의 중심지로 기억하면서 공적 기억과 긴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 드러난다.

        키워드: 저항기억, 운동, 젊은 전사의 날, 5.18

        Speaker: Yoshiyuki Aoki (릿쿄대학교)
    • Session 5: 27. Education (2)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Convener: Esther Kang (고려대학교)
      • 90
        영상 콘텐츠 활용의 과거 사례 - 영화를 매개체로 한 1960년대 박정희정부의 해외공보선전정책

        해외 공보선전은 타국 정부단체국민 뿐 아니라 재외교민 등을 대상으로 하여 타국과의 외교관계를 강화하고 한 국가의 대외 이미지를 높이는 모든 활동을 지칭한다. 해외공보선전활동은 1948년 정부 수립 직후부터 외무부 해외공관을 통해 주로 간행물을 매개체로 시행되었다. 이 시기 해외공보선전은 외교정책 대상국 범위가 협소한 관계로 그리 활발하게 추진되지 못했고, 그 대상도 주로 재외국민이었다.
        해외공보선전활동의 대상이 확대되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5.16 군사쿠데타 이후이다. ‘5.16군사정부’는 국립영화제작소와 해외방송을 전담하는 국제방송국을 신설하고, 공보선전 업무의 일원화를 추진하였으며, 1961년 12월 13일 공보관설치법을 공포하여 중앙공보관과 해외공보관을 설치하였다. 본 연구는 바로 해외공보선전정책이 활발하게 추진된 1960년대 5.16 군사정부와 박정희 정부가 연구할 것인데, 정부의 여러 주체 중 공보선전정책의 주무 부서인 공보부(1968년 문화공보부)와 해외 업무를 담당한 외무부가 주요 분석대상이다.
        해외공보선전활동의 매개체는 간행물, 라디오 방송, 화보 등 매우 다양했는데, 그 중에서 영화는 5.16 군사정부 및 박정희 정부에 의해서 정책적으로 장려되고 관리된 공보선전의 주요 매개체였다. 본 연구는 영화 중에서 문화영화와 극영화를 분석할 것이다. 문화영화는 넓은 의미에서 국가가 교육적, 문화적 계몽을 목적으로 제작한 것으로 국가가 의도한 바를 전달하는데 유용한 수단이었다. 극영화는 제작주체가 정부는 아니지만, 수많은 작품 중 선택하여 해외에 제공했다는 점에서 국가의 목적을 파악하는데 도구가 될 수 있다.
        5.16 군사정부와 박정희 정부의 영화정책, 공보선전정책, 외교정책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생산된 영화가 해외공보선전정책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관심은 매우 적어 간략하게 소개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1960년대 해외공보선전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제도사 측면에서 해외공보선전쟁책의 수립부터 집행까지의 과정을 정리할 것이다. 특히 이 공보부외무부 등 상위 행정기관과 재외공관과 해외홍보관 등 해외 기구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집중시킬 것이다.
        둘째, 영화사 측면에서 해외공보선전정책에 활용된 영화를 정리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해외공보선전을 목적으로 새롭게 제작된 것과 이미 제작된 문화영화와 극영화 중 취사선택한 것으로 구분하고, 텍스트를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교사 측면에서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외교정책을 살펴볼 것이다. 박정희 정부의 외교정책 대상이 자유, 중립, 공산진영으로 대별하여 추진되었는데, 이에 따른 해외공보선전정책의 구체적 내용과 이를 통해 관철시키려고 하였던 외교목표는 무엇이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박정희 정부의 국제 정세 인식과 대외적으로 구현하고자 했던 국가 이미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3장으로 구성할 것이다. 먼저 1장에서는 해외공보선전정책의 정책 수립 기관으로 문화공보부와 외무부를, 정책 집행 기관으로 해외공관과 해외공보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박정희 정부 외교정책의 주요 대상국을 자유진영과 중립진영으로 대별하고, 이들 국가에 사용한 영화들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이를 통해 박정희 정부가 각 지역에 투사하려고 했던 대한민국의 이미지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연구에서 주로 사용한 자료는 국가기록원과 외교부 외교사료관에 소장된 공보부와 외무부 문서와 해외공보선전정책에 활용된 영화이다. 또한 주요 일간지와 잡지, 그리고 영화연예연감 등 도감류를 활용할 것이다.

        Speaker: Joobong Lee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 91
        K-pop을 통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의 사례 연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2)이 발표한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에 따르면 해외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을 연상하였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5년 연속 ‘케이팝(K-Pop)’으로 조사되었다.
        케이팝은 다양한 문화 요소를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혼종을 바탕으로 형성된 현대적이고 새로운 한국성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 전통 요소를 녹여낸 창작물이라는 것이 한국만이 가질 수 있는 하나의 무기가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한국의 대중가요계는 전통적 요소를 가미한 뮤직비디오의 제작이나 국악과 케이팝의 크로스오버 작품들을 예전보다 이례적 수준의 높은 음원 출판 횟수를 내놓고 있다.
        케이팝은 한류의 상업성과 문화자본의 논리를 넘어, 순수예술의 상호 교류와 한국 예술의 국제적 교감이라는 의미가 있다.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는 케이팝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케이팝의 전통적 요소 활용에 대하여 예술성, 경쟁력, 대중성 등에 관한 분석 사례들은 많지만, 이를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한 교육의 사례들은 부족하다. 이에,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K-pop을 활용한 수업 방법의 효과를 영상 강의를 통해 검증하고 보완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케이팝을 통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의 사례 연구로 K-히스토리 학술확산 1차년 수업의 한류와 한국사 중 ‘K-POP의 뿌리가 되는 전통음악 현장’ 영상 강의를 중심으로, 케이팝에 등장하는 한국의 민속악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고, 전통음악의 특징을 추론하고, 원형으로부터 재창조된 한국의 고유한 음악문화 역사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교육 사례를 살펴본다. 총 6개 차시로 구성된 수업에서는 케이팝에 활용된 여러 전통음악 요소들을 살피고, 구체적으로 판소리, 장단, 민속춤, 탈춤을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실험 수업 결과, 학생들은 케이팝에 담긴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고, 그 종류와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민속악 요소에 담긴 성격과 의미를 깊게 이해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고유한 음악 문화 역사의 가치를 알고, 한국적 개성을 교감하였다.
        연구 결과, 케이팝을 활용한 수업은 한국 전통음악과 음악역사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지속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케이팝을 활용한 수업 방법과 사례를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음악역사를 가르치는 교수와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의가 있다.

        Speaker: Jihae Oh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 92
        한국사 교육과 연구를 위한 한국사 관련 용어 영어 표기: 해외 사용자와 한국 사용자간의 효율적 소통과 교육적 효과 증대를 위한 제안

        해외 대학이나 교육기관에서의 한국사 교육은 주로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어서, 해외의 한국사 교육 및 연구에서 영어는 한국사 이외에 가장 활발히 사용되는 언어이다. 그러나 영어를 매개로 하는 한국사 연구와 교육에서 여러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는 한국사 고유 용어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한국사가 세계와 소통하며 학문적으로 발전하는 단계에서 반드시 해결되어야 할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한국사 연구자 및 교육자들의 공통된 방안이 모색되지 못했다. 그 간 한국과 해외의 연구자와 교육자들은 각자의 편의에 따라 한국사 관련 용어를 사용했고 그러다 보니 동일한 한국사 관련 용어가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번역, 표기되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사 용어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된 점이 없고 어떤 방식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사 교육에 더 효과적인지도 확인되지 않았다.
        동일한 것을 다르게 지칭함에서 오는 오류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국사편찬위원회 및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비롯한 기관에서 주도적으로 한국사 영어 시소러스를 정리하는 작업을 했지만, 정착되기는 요원해 보인다.
        오히려 해외 학자들과의 연구 소통 및 한국사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사 용어를 고유 명사 그대로 표기하는 것<Romanization>이 가장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고자 한다. 현재까지의 한국사 관련 용어를 영어로 표기하는 것은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파악하여 영어로 바꾸는 방식이 주도적이다. 즉, 약간의 변형은 있지만 집현전을 Hall of Worthies 라던가 영의정을 Prime minister라고 하는 등 의미 중심으로 번역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주로 외국의 학자들이 쓰는 것으로, 한국사 고유 명사가 가지고 있는 뜻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역사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인 및 한국인 연구자들과의 소통에도 다소 문제가 있음도 물론이다.
        물론, 낯선 고유명사가 등장함으로써 한국사에 대한 진입 장벽을 높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나 한자어가 많이 등장하는 한국사 관련 용어의 특성상 한자적 배경 지식이 전혀 없는 영어 사용자의 경우에는 혼란의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위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 교육을 경험한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역사성을 가진 한국사 영어 명칭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 데이터를 수집해 보았다. 해외에서의 한국사 확산이 비단 전문가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점차적으로 저변을 넓혀 가는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한국사에 초보적 관심을 가진 일반 대중 및 학생의 경우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설문 조사의 내용으로 한국사 관련 용어를 그대로 로마나이즈하는 방법과 뜻을 번역하는 방법 사이의 장단점 및 선호하는 방식, 해외에서 자국사가 아닌 다른 나라의 역사에 대해 학습할 때의 고유 용어 표기방식, 그리고 학습자의 배경에 따른 유효성 여부 등을 포함하여 한국사 용어를 영어로 어떻게 표기하는 것이 한국사의 특징적인 면을 잘 나타내어 학습자들이 한국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Speaker: Jean Park (고려대학교)
    • Session 5: 28. History (5) Room 106, C1 Building

      Room 106, C1 Building

      Convener: Insuk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93
        무당, 향촌공동체 융학의 리더 - 조선시대 무당의 공익적 역할과 기능

        이 발표는 조선시대 유교적 통치질서 내에서 끊임없이 배제되고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음에도 향촌의 질서유지와 정서적 통합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해 온 무당에 대해 조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여성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 재고함을 목적으로 한다. 조선의 무당은 독립된 경제주체로서 납세의 의무를 졌으며 세습적 혈연집단이자 예능집단인 창우집단을 이끄는 핵심적 위치에 있었다. 그들이 공동체를 위해 수행한 공적 역할을 ① 종교 사제자, ② 전문 예능인, ③ 의료인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논의해 본다.
        첫째, 무당은 종교적 사제자(priests) 혹은 영적 매개자(spirit medium)라는 독특한 신분적 특징에서 무의식(巫義式)의 공적 행사에서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활동했음을 살핀다. 이는 오늘날 마을 굿에 보이는 유교적 제례와 굿의식의 병렬적 결합을 통해 무당이 유교의 남성 제관과 동등한 사제자로서 의식을 집행하고 있고 실제 그와 같은 역할을 인정받았음을 알 수 있다. 조선의 위정자들이 무속을 탄압하였지만 동시에 통치에 활용한 측면이 있으며, 조선 민중들 사이에 깊게 뿌린 내린 토착 신앙은 이러한 무당의 존재를 지속시킨 충분조건이 되었다.
        둘째, 무당의 구비 요건으로서 유흥과 놀이의 담지자로서 예능인의 역할을 들 수 있다. 음악과 춤은 굿에 불가결한 요소이며 뒷전에 흔히 보이는 연극성은 전문 예인으로서 무당이 갖춰야 할 기본 면모라 할 수 있다. 서울의 <창부타령>, <노랫가락>, 제주의 <서우제소리> 등이 굿에서 비롯된 유행가라면 평안도의 <덕담무가>, 동해안의 <심청굿>, <고산염불> 등은 굿이 당대의 음악을 꾸준히 수용한 결과임을 증명한다. 굿음악에는 이와 같이 무당과 당대 민중들이 소통해온 다양한 음악의 흔적이 있고 이는 무당이 음악과 놀이를 통해 사회 통합의 기능을 수행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셋째, 무당이 담당했던 광범위한 치병 행위에 대해 주목한다. 조선시대 무당의 소속관청인 성수청(星宿廳)과 활인서(活人署)의 기능과 관련시키지 않더라도, 민간에서는 소소한 병이나 특히 정신적 질환의 경우 병굿을 통해 다스리는 관행이 보편적이었다. 개인의 치병은 또한 사회의 안정에 절대적인 기여를 하므로 조선시대 무당의 치병 행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조선의 무당이 천역을 수행한 당대의 신분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통합과 유지에 실질적이고 긴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오늘날 가치의 다양성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해 보고자 한다.

        Speaker: Insuk Kim (한국학중앙연구원)
      • 94
        공적 영역 속의 왕족여성 - 조선시대 왕자 부인들의 지위와 활동

        이 발표의 목적은 왕자 부인들의 존재에 주목하여 그들의 지위와 활동을 검토하고, 기존의 왕비와 후궁을 중심으로 한 왕실여성 집단의 범주를 확대하는 한편 그들의 정치적 위상을 밝히는 데에 있다. 더불어 세계의 한국학자들에게 조선 왕실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연구 경향도 소개하고자 한다.
        왕자의 부인은 곧 국왕의 며느리가 된다. 하지만 이들은 내명부(內命婦)에 포함되지 않고 외명부(外命婦) 소속이었다. 외명부는 왕의 딸인 공주와 옹주를 비롯해 궐 밖에 사는 종친의 아내, 문무 관료의 아내 등에게 내린 작호였다. 왕자는 태생부터 지극히 높은 위치에 있는 국왕의 아들이지만 왕위를 계승할 아들을 제외하고는 궁궐 밖에서 살아야 했다. 이것이 왕자의 부인이 국왕의 며느리이면서도 외명부를 받은 이유이며, 왕실 여성 구성원과 양반 여성의 ‘경계’에 있는 존재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왕자의 부인이 받은 작호는 외명부였으나 이들의 지위와 활동은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들은 법적으로 외명부 최고 작위인 정1품에 봉작 되었고, 왕비가 주관하는 친잠례와 양로연, 국혼 등 국가의 공식 행사에 참석하여 일정한 역할을 수행했다. 흥미로운 점은 의례 식장에 단순히 참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행사의 주관자 중 하나인 집사(執事)로 참여했다는 사실이다. 또 이들은 가옥을 비롯해 토지·노비 및 각종 물품을 하사 받았고, 지위를 이용하여 소송 분쟁에도 관여했으며, 부인 자신의 명의로 재산을 소유하고 증여할 수 있었다.
        광평대군(廣平大君)의 부인 신씨의 사례도 흥미롭다. 왕실 여성의 온천행이 드문 시대에 신씨는 부산 동래의 관사에서 몇 달간 머물며 온천을 강행해 국왕과 조정 대신들의 논쟁거리가 되었다. 또 숭유억불의 사회에서 불사(佛事)를 일으켜 관료들의 격렬한 반발을 샀다. 더구나 여러 논란과 비판에도 신씨는 법회를 주관하거나 암자를 조성하는 등의 과감한 행동을 그치지 않았다.
        이 발표는 그동안 왕실 여성으로 전혀 고려의 대상이 아니던 왕자 부인들의 존재를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그들의 공식적인 지위와 활동의 의미도 짚어볼 예정이다. 또 이 발표에서 소개할 광평대군의 부인 신씨가 일으킨 논란의 내용은 왕자 부인의 삶의 방식도 엿볼 수 있어서 조선시대 역사상의 심화에도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된다.

        Speaker: Mee Sun Lee (한국학중앙연구원)
      • 95
        조선 가부장적 제도의 역설 - 양반층 여성의 ‘대송(代訟)’과 ‘민원제기’ 활동

        이 발표는 양반층 여성들의 ‘대송(代訟)’과 ‘민원 제기’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소송이라는 공적영역에서 발견되는 여성의 법적능력과 활동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가부장제로 특징지어진 조선시대 사회제도의 이면을 찾아보고, 여성 억압적 제도였다는 기존의 통념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에는 여성들의 법적 능력을 인정하였다. 양반 여성들도 소송당사자로서 소송을 제기하거나 피고로서 소송에 응할 수 있었다. 다만 그들에게 허용된 소송방식은 '대송'이었다. 대송, 즉 조선시대의 민사적 소송에서 당사자를 대리하여 아들이나 노비 등이 소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조선시대 소송은 당사자가 직접 참석하는 친송이 원칙이었지만, 예외적으로 양반층 여성의 친송을 규제하고 ‘대송’을 허용하여 경국대전에 법제화하였다. 양반 여성의 대송 규정의 제정목적은 법정 출입에 따른 여성의 정절 훼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가부장적 사회제도의 성격을 띤다.
        하지만 대송 제도를 단순히 여성 억압정책으로 단정할 수 없다. 애초에 대송은 소송에서 고위 관료의 영향력 행사를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점차 법정에서 지배층의 존엄을 지켜주기 위한 우대 특례로써 운용되었다. 17세기 중반에 이르면 사회적으로 대송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용계층은 양반층 전체로 확산하게 된다. 또한 변호인의 활용이 금지된 조선사회에서 여성들은 법적 지식이 풍부한 대리인을 활용할 수 있었다. 공식적으로 인정된 양반 여성의 대송 자격은 오히려 그들의 소송 능력을 확장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송 규정은 여성의 소송 능력을 부정하거나 법률상 무능력자로 간주한 것이 아니라, 법정이라는 거친 공간에서 대리소송을 통해 여성의 권리와 지위를 보호하기 위한 입법 의도가 포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양반 여성들은 비록 대송인을 내세웠지만, 배후에서 ‘민원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소송에 개입했다. 그녀들은 전략적으로 임금이나 상부 기관에 상언(上言), 소지(所志) 등의 문서를 올려서 소송의 판세를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도 했다. 점차 대송이 강제되고 소송의 직접 참석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상언제도는 양반층 여성이 소송과 분쟁에서 겪게 되는 억울하고 불편한 문제를 빠르고, 직접 해결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국가도 여성들의 상언을 한층 관대하게 허용했던 경향을 볼 때,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고자 했던 조선시대의 제도운용에서 포착되는 새로운 특징에 주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선 가부장제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Speaker: Hyojung Han (한국학중앙연구원)
      • 96
        여성의 상업활동과 세금납부 - 조선후기 여인전(女人廛)과 ‘바느질’ 부역

        이 발표의 목적은 조선시대 여성들이 서울에서 운영한 ‘여인전(女人廛)’의 종류를 통해 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 공적 영역에서 활동한 여성의 존재를 찾아내는 데에 있다. 그리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여인전에서 세금의 일환으로 부담한 바느질 부역을 조명하여 젠더 노동의 의미를 알아보고, 여성이 사적 공간에서만 활동했다는 기존의 통념도 재검토하고자 한다.
        여인전이란 한양에 자리한 시전(市廛) 중 하나였다. 시전이란 조선시대에 국가의 허가를 받고 운영된 상설 가게다. 오늘날처럼 일반인을 대상으로 물건을 팔았는데 아무나 마음대로 시전을 열 수 없었다. 반드시 국가의 허가를 받아서 특정 품목의 판매권을 받아야 했고, 그 대가로 세금을 냈다. 건물 임대료와 영업세를 냈으며, 왕실과 각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을 돈을 받고 공급했다. 이밖에 각종 잡역도 담당했다. 18세기 후반에 여인전은 약 120개 시전 중 18개(15%) 정도였고, 대부분 과일, 채소, 반찬 등을 팔았다. 규모가 영세했으나 일반 시전과 마찬가지로 세금을 냈다. 주로 왕실과 각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을 돈을 받고 공급했다. 과일 가게라면 각종 국가 행사가 있을 때 관청에 과일을 공급하는 방식이었다. 이 과정에서 관청에서 가격대로 물건값을 주지 않거나 아예 값을 치르지 않는 경우가 자주 생겼다.
        여성 시전 상인은 국가에 부역도 제공했다. 대표적으로 바느질 노동이며, 이들을 ‘여성 바느질꾼 [여봉조군(女縫造軍)]’이라 불렀다. 여성 바느질꾼은 주로 휘장, 방석이나 깔개, 장막, 물건 보관 케이스(case) 등을 제작할 때 동원되었다. 여인전에서 바느질꾼을 마련한 방식은 사료의 부족으로 아직 명확하지 않는데, 여성 일꾼을 고용해서 보내거나 직접 부역을 감당했을 가능성이 모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여성의 바느질 노동에 대해서는 가난한 양반 여성들의 생계 유지 수단 정도로 알려져 왔다. 이에 비해 여성 시전 상인이 부담한 바느질 부역 노동은 잘 알려지지 않다.
        이 발표는 여인전과 여성 시전 상인의 존재를 통해서 여성이 국가 경제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존재했는지를 보여줄 예정이다. 무엇보다도 사적 노동으로만 알려진 바느질 노동이 세금의 한 형태로 부과된 점에 새롭게 주목했다. 이 발표가 세계 한국학 연구자들과 함께 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선 다양한 여성의 모습들을 새롭게 논의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Speaker: Hae Eun Chung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5: 29. Anthropology, Sociology (5) Room 107, C1 Building

      Room 107, C1 Building

      Convener: Tae-Sik Kim (Monash University Malaysia)
      • 97
        시장, 극장, 커피: 폐극장의 현대적 장소성과 재래시장의 경관변화

        본 발표는 급속한 도시화 시기 서울의 변두리에 위치한 재개봉관이 지녔던 역사적 장소성이 소비공간으로서 재래시장의 위상과 지역 경관 변화에 따라 현대적으로 재맥락화 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서울의 대표적인 재래시장 중 하나인 경동시장에 오랫동안 방치되었던 폐극장을 유명 프랜차이즈 까페로 개조하여 상생모델에 근거한 재래시장 활성화를 시도한 사례에 주목한다.
        경동시장은 서울과 경기 북부와 강원도를 연결하는 관문이었던 청량리역 근방에 위치한 대규모 전통시장이다. 한국전쟁 이후 서울로 유입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 1960년대가 되자 경동시장은 인근의 청량리 청과물 시장과 서울 약령 시장과 함께 그 규모를 확장하며 서울의 동부 지역을 대표하는 상업활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도시가 확장되고 개발되며 서울의 대표적인 부도심 중 하나인 청량리 일대의 경관은 크게 변모하였고, 소비패턴의 변화, 낙후된 시장 시설 등의 원인으로 지역공동체의 경제적, 사회적 거점이 되었던 재래시장의 위상 역시 달라졌다. 극장은 산업화 시기 도시와 공간의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지역민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해 온 물리적 공간이다. 특히, 도심의 개봉관에 비해 입장요금이 비교적 저렴했던 변두리 재개봉관은 경제적 하층민을 구성한 이주민들의 일상과 여가생활에 큰 부분을 차지했다. 이 시기 청량리는 서울의 대표적인 인구급증 지역이었고, 1962년 경동시장 내에 들어선 경동극장은 이 지역에 신설된 재개봉관 중 하나이다. 청량리 일대의 경관이 변모하고, 재래시장이 위기를 맞은 것처럼 극장의 장소성 역시 크게 변화하였다. 멀티플렉스 상영관이 등장하며 경동극장을 비롯한 영세한 단관 상영업은 경쟁력을 잃고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오랫동안 폐극장으로 방치되었던 경동극장은 2022년 경동시장과 지역상생협약을 맺고 글로벌 프랜차이즈 커피매장으로 개장했다. 이 커피매장은 계단식 좌석, 영사실, 좁은 출입구, 목조 천장 등 경동극장의 기존 건축적 구조를 공간의 요소로 끌어안았고, 청년물 유치 등 경동시장 활성화를 모색하던 시장 측의 노력과 함께 ‘핫플레이스’로 젊은 소비층에 소구하며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본 발표는 소위 ‘레트로’라 불리는 복고 감성으로 세대적으로 이질적인 소비집단에 의해 재해석된 재래시장과 재개봉관이 수행하고 있는 장소성을 청량리 일대의 경관변화와 함께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Speaker: Sejung Ahn (연세대학교)
      • 98
        휘발하는 경관: 팝업 상점으로 휘발해가는 서울 구도심 경관 연구

        최근 들어 세계 곳곳 주요 상점가와 새로이 재생되는 구 도심에서 한시적으로 운영하며 브랜드를 소개하거나 신상품을 소개하는 이벤트성 팝업 상점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소매 비즈니스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이러한 단기 이벤트 성 상업 행위에 대한 연구가 여럿 진행되어 브랜드 정체성과 소비자 행위 관련된 논의가 진행돼 왔다. (Shi et al., 2021). 팝업 상점들은 공간을 점유하며 주변의 공간적 맥락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의 이미지의 극대화 효과를 누리는 사업 방식인 만큼, 상업-경제적 의미 이상으로 공간 사회학적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팝업 상점은 서울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고, 특히 브랜드와 상품 유인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대형 쇼핑몰과 백화점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어있다. 또한 성수동, 연남동 등 젊은 소비층들이 자주 찾으며 공간적으로 재생되는 과정에서 공간의 감각적 요소가 잘 강조되고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이러한 시각적인 이벤트 비즈니스가 성행하고 있다. 팝업 상점은 새로이 시장에 진입하는 브랜드의 경우 존재감을 극대화하기 위한 상품의 감각적 요소를 강조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반면 기존 브랜드는 새로운 상품을 소개하며 시장의 지배적 지위를 의미화 할 수 있는 지배적 이미지의 연예인 등 상징적 이미지를 연계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마케팅 방식을 도입한다. 특히 제한적 공간에서의 한정적 기간이라는 설정을 통해 브랜드와 상품의 희소 가치를 시각 등 다양한 감각으로 강화함으로써 사람들의 시선을 유도한다. 이렇듯 시간이 제한된 마케팅 전략은 현재성과 임시성을 주요 특질로 하는 휘발적인 숏폼 소셜 미디어에 부합하는 소재가 되어 젊은 소셜 미디어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각광받는 콘텐츠로 생산과 소비의 재료가 되고 있다. 달리 말하면, 무수한 상품과 브랜드의 초 경쟁적 상업 시장은 끊임없이 생산-소비-소멸을 이어가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특징과 교차되며 공간 현상과 미디어 현상이 함께 증폭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미디어 현상이 상업과 소비, 그리고 일상 습속이 복잡하게 얽힌 사회문화적 담론을 담아내고 있는 지 논의하는 데 의의를 갖고 있다. 다양한 시각 기호적 요소들과 공간과 미디어의 맥락을 해석함으로써 이러한 상업 행위와 시각 소비에 켜켜이 담긴 담론의 결을 찾아보고자 한다.

        Speaker: Tae-Sik Kim (Monash University Malaysia)
      • 99
        퍼포먼스를 통한 장소만들기: 성수동의 행위 경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브루클린’, ‘코로나에도 살아남은 핫플레이스’, ‘힙스터의 성지’ 등 서울 성수동 일대를 두고 일컫는 말이다. 낙후된 공업지대, 폐공장지였던 성수동은 오늘날 다양한 까페와 팝업스토어 등이 입점해 있고 이를 찾는 많은 젊은이들이 몰리고 있다. 서울 성수동은 권력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자본과 만나 변화한, 즉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징적인 공간, 낙후된 폐공장지 도시재생의 성공사례로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성수동이 무엇보다 주목을 받는 것은 각종 미디어 속 경관을 통해서다. 특히 SNS를 통해 전파되는 성수동의 모습은 실제 성수동을 걸으며 느낄 수 있는 경관과 차이가 있다. 그 속에서 성수동은 음식, 옷, 각종 실내 인테리어 등의 사물과 브루클린 또는 그 이후 유행하는 이미지의 가게와 공간, 세련된 옷차림과 포즈를 취한 사람(자기자신 혹은 다른 사람) 등으로 나타난다. 사진 속의 성수동은 ‘성수동’ 이라는 기호를 매개로 하여 각종 상품의 마케팅, 개인들의 퍼포먼스와 정체성 상연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마케팅과 상연은 다시 성수동이라는 기호를 유행의 흐름 속에서 ‘재매개’ 함으로써 그 의미를 끊임없이 재조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수동을 하나의 ‘지역’ 이라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주체들의 퍼포먼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장소’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여기에는 ‘모바일 기기로 인해 고도화된 뉴미디어 환경’과 ‘존재론적 장소에서 행위론적 장소로의 개념 전환’이 전제된다. 고도화된 뉴미디어 환경으로 인해 개인들은 소비지에서의 이루어지는 다양한 행위와 감각을 사진, 동영상으로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유는 장소를 특정 지역에 고정된 것, 현지인들에 의해서만 생산되는 것이 아닌, 여러 주체들의 행위-퍼포먼스와 이를 통해 공유되는 감각에 의해 생산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퍼포먼스를 통한 장소 형성’ 은 바로 이 점에서 기존의 젠트리피케이션 연구, 장소 연구와 구분되며, 전에 없던 현상과 장소를 새로운 방법으로 다룬다는 점에 있어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장소 형성 경향이 성수동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다른 지역과 사례로도 충분한 확장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Speaker: Jongsoo An (연세대학교)
      • 100
        도시계획과 변통의 장소성 경합: 종로3가 상가의 경관 정치

        종로3가의 현재 모습은 1967년 청계천 복개가 끝날 무렵 건립된 세운상가, 현재는 사라진 청계천 고가 건설, 1968년 낙원상가 건립으로 이어지는 1960년대 서울 도시계획의 결과와 연결되어 있다. 지난 60여 년 동안 세운상가와 낙원상가 등 종로3가는 도시계획의 변화 속에 존치와 철거를 둘러싼 논의가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이 과정 자체가 압축적 근대화, 산업화, 도시화, 고속 성장, 현대 소비문화가 교차하는 서울의 근대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직선 거리로 500m 거리에 위치한 세운상가와 낙원상가에 대한 기존 연구 다수는 무전기, 라디오 수신기, 진공관 앰프, 스피커, 전축, 녹음기, 오디오 컴포넌트, 노래 반주기, 전기악기와 같은 오디오 매체를 제조, 판매, 수리하는 도심 제조업 공간이라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 두 전자-오디오 상가 단지가 자리하고 있는 거대 건축물군은 애초에 의도한 도시정책이나 국가 차원의 계획과 비전과 거리가 먼 탈법과 불법, 비법적 실천이 얽힌 ‘변통’적 방식으로 형성된 독특한 문화-상업 생태계에 가깝다. 정부, 행정이 수립한 경제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던 문화적 욕구가 폭발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성장한 특별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두 상가에서 유래한 전기 장치와 각종 음향장비는 한국에서 전자 기술과 공업이 최초로 오락, 여가, 놀이문화로 사용된 사례다.
        현재 종로3가에 자리한 두 상가는 낡은 곳, 도시문제의 주범, 철거를 통해 회복해야 할 거리와 녹지축으로 취급된다. 잠깐이나마 기술 및 창업 공간의 의미가 새롭게 조망되기도 했으나 이 공간에 대한 의미 규정은 여전히 도시 개발 담론 속에서 역사, 환경, 재생 등 다양한 프레임으로 포장되며 끊임없이 표류 중이다. 상가 일부를 철거하거나 수리하면서 서울 도심의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떠오르기도 했으나 이 또한 공간 이용자의 일상적 맥락이나 내부적 역량과 거리가 먼 서울시의 도시계획 방향 수정 및 추진이라는 맥락에서 생성, 변경, 편집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이 공간의 ‘처리방식’은 구성 존재들이 아닌, 도시계획을 결정하고 시행하는 주체들을 통해서만 결정되었다. 본 발표는 행정이나 시장지배적 관점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심지어 죽은 것처럼 취급되는 낡은 전기, 전자 상가가 여전히 중요한 일상의 매체 문화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 공간의 장소성 변화의 주체를 어떻게 상정하고 재구성해야 할지 살펴본다.

        Speaker: Ildong Joe (한국학중앙연구원)
    • Session 5: 30. Geography (2)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Conveners: Pavel Em (EHESS), Valérie Gelézeau (EHESS)
      • 101
        Infill Development in Pyongyang and its Social Implication

        The Arduous March, the turbulent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of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led to the emergence of not only the market in general but also drove the impulse to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market specifically (Joung, 2015). In conditions of an unstable financial system, tonju (masters of money) who managed to accumulate savings, started to aggressively invest in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protect their assets (Baek et al., 2021). Although different aspects of the new glamorous residential districts including Mirae and Ryomyong Streets are well documented (Em & Ward, 2021; Yim, 2019), scholars almost totally ignore the fact that numerous infill residential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in Pyongyang over the past two decades. This significantly limits the scope of our understanding of Pyongyang’s development trajectory and the important socio-economic processes happening in the country.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struction of infill buildings activates urban regeneration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what kind of social implications it has. To do so, such methods as satellite imagery analysis, literature review along with interviews with defectors residing in North Korea, have been employed.
        The results prove that the infill buildings sprung up “like mushrooms after a rainfall” in most of the districts of Pyongyang from 2000 to 2022. These locations are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proximity to urban infrastructure and good view among others, which are usually considered significant in cities with market economies (Luo et al., 2021; Bottero et al., 2022). Since the construction of infill buildings has initiated a revitalization of city services in their surrounding areas, it seems that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idences inside these infill buildings have been purchased by people earning an affluent, liquid income. Such findings allow me to argue that the residents of Pyongyang de-facto live in a market economy with the attendant behavior, even though the country de-jure remains one within a fleeting number of centrally planned economies. This important fac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aling with North Korea.

        Speaker: Pavel Em (EHESS)
      • 102
        Exploring Denizens Urban Practices in the Seoul Capital Region: A Critical Examination of Smart City Dynamics

        As smart planning continues to shape urban spaces, the integration of sensors and cameras in public areas has become a pivotal aspect of urban development (Goldsmith & Crawford, 2014). This research seeks to analyze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planning and the lived experiences (Lefebvre, 2000) of urban inhabitants.
        Beginning with an exploration of city planners’ conception, the study delves into the Seoul Capital Region, focusing on two smart city cases: Songdo (Peyrard & Gelézeau, 2020) and Digital Media City (DMC) (Mot, 2013). Through in-depth analysis of master plans and fieldwork research, specificities are shown between the smart urban planning approaches of both cities. However, in both cases, the designation of a smart city emerges more as a “loud narrative” (Yang, 2019) based on futuristic city models than as an innovative developmental process. Indeed, the urban configurations of Songdo and DMC mirror those found throughout the capital region. The landscape is dominated by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apateu danji) (Gelézeau, 2003) and shopping centers linked by extensive highways. This analysis raises essential questions about the economic and political strategies that have shaped the urban technological identity of this region. Is there a distinctive environment to smart urban development? How closely does the planned urban space align with the actual experiences of its inhabitants?
        Shifting the focus to the “Denizens” (Digital Citizen) perspective, the study examines then how inhabitants navigate into these two technological urban environments. Based on ethnographic research conducted since 2018, this research shows that residents often perceive the smart tools as invisible. Being surrounded by cameras and using a smartphone is just common experience in urban South Korea. The residents only notice the digital pervasiveness when it is triggered by alerts. How residents respond to these technological alerts? What kind of issues the urban sensors are trained to detect? What impact does have this constant monitoring on the inhabitants’ behaviors? From “info-pollution” to “infobesity” (Sauvajol-Rialland, 2013) inhabitants expose concerns about this urban smart development while requiring to be more and more to be connected.
        In conclusion, this paper critically questions the principles that define the smart urban development of the Seoul Capital Region, exploring how smart systems resonate with the daily experiences of its inhabitants. Furthermore, by incorporating a comparative element, it seeks to unravel similarities and distinctions among smart urban projects, offering a new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South Korea’s urban landscape.

        Speaker: Suzanne Peyrard (France-Japan Foundation)
      • 103
        한국의 도시 스프롤 수준이 지역 격차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지난 수십 년간 대한민국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겪으며, 도시 스프롤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한국의 스프롤은 농촌 인구의 대규모 도시 유입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이는 서구의 스프롤 및 교외화 현상과는 다른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도전을 야기하였다. 특히, 불균형한 인구 집중 문제는 이미 심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 지역은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인접한 여러 도시들이 하나의 연속된 도시 지역으로 병합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 스프롤 수준을 정량화하고, 그로 인한 지역 불균형 및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을 활용한 도시 원격 탐사 기법과 엔트로피 지수를 이용하여 전국 248개 행정구역의 도시 스프롤 수준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득 격차와 공공시설 접근성, 대기오염 배출량, 주민 만족도 조사 데이터를 결합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하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도시 스프롤, 지역 불균형, 그리고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 간의 인과 관계를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도시 스프롤은 다차원적인 지역 격차와 주민 삶의 질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프롤 수준이 높은 지역에서는 소득 격차와 공공 서비스 접근성의 저하가 두드러져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확대되었다. 이를테면, 스프롤은 소득, 주택 가격, 지역내 총생산 등의 경제적 불균형을 초래하며, 공공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주민들의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시에, 이러한 지역에서는 대중교통 서비스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주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스프롤 지역에서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오히려 높아지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스프롤 지역이 대체로 도시 중심부보다 더 많은 녹지와 자연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도시 스프롤 문제가 단순히 공간의 비효율적 확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복합적인 문제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스프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먼저, 대중교통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하다. 특히, 스프롤 지역 주민들이 공공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통망을 개선하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공공 서비스의 평등한 분배와 접근성을 보장하여 경제적 및 사회적 격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스프롤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급격한 도시화와 스프롤을 경험하고 있는 다른 아시아 신흥국에도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다. 도시 계획가와 정책 결정자들은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공공시설 접근성의 평등한 보장,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 전략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스프롤이 초래하는 사회경제적 및 환경적 도전 과제를 완화해야 함을 강조한다.

        Speaker: Jihun Mun (서울대학교)
    • Closing Ceremony Vu Dinh Lien Grand Hall

      Vu Dinh Lien Grand Hall

      Vu Dinh Lien Grand Hall
      • Moderator: Nanhee Ku(Director, Center for International Affairs at AKS)
      • Closing Remarks: Nak Nyeon Kim(President, AKS)
      • Best Paper Awards for the Next-Generation Scholars of Korean Studies
    • Banqu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