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 Oct 2024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Asia/Ho_Chi_Minh timezone
welcome!

상호문화주의 기반 한국문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방안

17 Oct 2024, 15:50
30m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Speaker

Youngsoon Kim (인하대학교)

Description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념은 2010년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1단계)에서 문화 항목을 독립된 영역으로 구성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이 모형에서 한국문화교육은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개념을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지칭되고 있다. 초기 국내 한국어 문화교육은 문화 요소(cultural component)를 중심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을 학습하는 일방향적인 동화주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능숙도를 요구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국내 교육학계에서 확산되는 상호문화주의 패러다임에 따라, 2016년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3단계에서 문화 관점을상호문화적 관점으로 명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 간 동등한 문화임을 전제하는 변혁적 움직임은 단순히 한국문화만을 가르치는 게 아닌 상호 간의 관계를 가르치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함을 시사한다. 최근에는 세종문화아카데미에서 문화교육의 관점을 상호문화주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한 의미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부 영역이나 콘텐츠만을 바탕으로 상호문화주의 접근을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에 국한하여 한국문화교육에 접근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한국어에 대한 능숙도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많은 학습자를 포괄하지 못한다. 또한 한국학 영역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한국문화교육의 모형으로 활용되기에는 다소 부적절하다.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 관점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한국학의 초국가적 확장을 고려한다면,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한국문화교육의 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및 변용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문화교육의 방안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한국문화교육이 한국어교육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이주민 학습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주의적 구성요소를 제시하고, 연구자의목표, 이론적 관점 등을 포함한 의미로 교육과정 방향을 검토한다. 특히 Byram(1989), Deardorff(2009), Kramsch(2014)가 주장한 상호문화 역량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교육이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를 교육 내용 및 방법으로 나누어 도출한 뒤, 이를 한국문화교육의 상호문화적 접근으로서 이론적 틀을 제시할 것이다. 이후 해당 모형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시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가 학술적, 사회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한다.

Presentation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