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 Oct 2024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Asia/Ho_Chi_Minh timezone
welcome!

조선시대 논어 주석의 인용 관계망

18 Oct 2024, 14:00
30m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Speakers

Eunsun Shin (성균관대학교) Seoyun Kim (전남대학교)

Description

본 논문은 논어에 관한 다양한 주석을 살핌으로써 조선의 학자들이 역대로 어떤 주석들을 인용해 철학 체계를 세웠는지 그 계보를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연구 대상이 되는 문헌 40권을 ‘한국경학자료시스템’ 을 이용해 선정했으며, 추후 사서 연구로 확장하기 위해 논어 단본이 아닌 사서 전체의 해석서를 기준으로 삼았다.
본고에서는 ‘學而時習之’에 대한 조선시대의 다양한 주석을 직접 번역하고 그 관계성을 데이터로 정리해 인용 관계망으로 시각화 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특정 인물에 국한되어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졌던 종래 경학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해석을 폭넓게 보는 ‘디지털 경전주석학’의 새로운 연구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DB 수준을 넘어서서, 텍스트 속의 문맥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매개로 다른 DB의 관련 자료까지 찾아서 제공해 줄 수 있는 발전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이렇게 대상 자료의 의미 관계를 함께 찾아주는 발전된 형태를 ‘시맨틱(Semantic)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며, 이 모델은 고전 텍스트를 독자의 관심과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편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독자들이 효과적으로 텍스트 속의 지식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본고는 ‘논어 해석학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시맨틱 데이터베이스의 기반이 되는 기초데이터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경문 텍스트에 관한 구조와 정보를 연구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언어를 연구 방법으로 선택했으며, XML은 현재 웹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HTML과 매우 비슷한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 사람과 기계가 동시에 읽기 편한 구조로 되어 있다. XML의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시스템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데이터베이스에 손쉽게 적재할 수 있으며, 또 새로운 정보가 나타날 때마다 태그를 만들어 추가해도 계속해서 동작하므로 확장성이 좋다.
인용 관계 그래프를 위해서는 연구 대상이 되는 40권의 주석서마다 각 저자에 관한 정보가 있는 관련 사이트를 링크하고, 텍스트에서 ~說, ~謂, ~云, ~曰, ~以爲 등의 인용 관계가 나타날 경우 인용 문헌이나 인용 유형 등의 정보를 기재할 예정이다. 아울러 확장성이 좋은 XML의 특징을 고려하여 주석자 간의 학맥 관계 및 해석 당시의 시대적 특징 등의 관련 정보도 함께 기입하여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의 주석 인용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필 계획이다.
이처럼 연구 목적에 맞게 작성된 XML 전자문서와 이를 구조화한 데이터셋을 공유한다면, 여러 연구자가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재생산하여 자신만의 연구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거친 데이터베이스는 각 연구 분야에서 경전 해석에 관한 의견이 상이할 경우, 종합적 결론으로 도달하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 미래형 플랫폼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인문학 영역의 외부 참조자원으로써 미래의 학습자들이 인공지능을 통해 고전을 공부하고자 할 때도 전문 연구자들이 만든 신뢰성 높은 데이터로서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Presentation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