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 Oct 2024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Asia/Ho_Chi_Minh timezone
welcome!

K-pop을 통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의 사례 연구

18 Oct 2024, 16:30
40m
Room 105, C1 Building

Room 105, C1 Building

Speaker

Jihae Oh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Description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2022)이 발표한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에 따르면 해외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을 연상하였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가 5년 연속 ‘케이팝(K-Pop)’으로 조사되었다.
케이팝은 다양한 문화 요소를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혼종을 바탕으로 형성된 현대적이고 새로운 한국성을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 전통 요소를 녹여낸 창작물이라는 것이 한국만이 가질 수 있는 하나의 무기가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한국의 대중가요계는 전통적 요소를 가미한 뮤직비디오의 제작이나 국악과 케이팝의 크로스오버 작품들을 예전보다 이례적 수준의 높은 음원 출판 횟수를 내놓고 있다.
케이팝은 한류의 상업성과 문화자본의 논리를 넘어, 순수예술의 상호 교류와 한국 예술의 국제적 교감이라는 의미가 있다.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는 케이팝을 교육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케이팝의 전통적 요소 활용에 대하여 예술성, 경쟁력, 대중성 등에 관한 분석 사례들은 많지만, 이를 실제 수업에서의 적용한 교육의 사례들은 부족하다. 이에, 외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K-pop을 활용한 수업 방법의 효과를 영상 강의를 통해 검증하고 보완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케이팝을 통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의 사례 연구로 K-히스토리 학술확산 1차년 수업의 한류와 한국사 중 ‘K-POP의 뿌리가 되는 전통음악 현장’ 영상 강의를 중심으로, 케이팝에 등장하는 한국의 민속악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고, 전통음악의 특징을 추론하고, 원형으로부터 재창조된 한국의 고유한 음악문화 역사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교육 사례를 살펴본다. 총 6개 차시로 구성된 수업에서는 케이팝에 활용된 여러 전통음악 요소들을 살피고, 구체적으로 판소리, 장단, 민속춤, 탈춤을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실험 수업 결과, 학생들은 케이팝에 담긴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고, 그 종류와 내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민속악 요소에 담긴 성격과 의미를 깊게 이해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고유한 음악 문화 역사의 가치를 알고, 한국적 개성을 교감하였다.
연구 결과, 케이팝을 활용한 수업은 한국 전통음악과 음악역사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이고 지속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케이팝을 활용한 수업 방법과 사례를 세부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의 음악역사를 가르치는 교수와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의가 있다.

Presentation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