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aker
Description
본 발표의 목적은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이하 ‘K히스토리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고려대 한국사연구소와 일본 규슈대·후쿠오카대 간 학술교류 및 이때 실시한 설문조사에 근거하여 한국사 교육 콘텐츠의 제작과 해외 확산 방안을 논하는 데 있다.
‘K히스토리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K학술확산연구소사업(2021.07.01 ~ 2026.06.30.)’ 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본 사업의 목적은 최근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한류 등 한국 대중문화에 편중된 세계인들의 관심을 한국학계의 학술 성과를 비롯한 한국학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끌어, 전 세계 한국학 연구·교육의 활성화, 한국의 국제적 이미지와 신뢰도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고려대 한국사연구소는 이러한 취지에 맞춰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한국사 교육 콘텐츠 제작을 목표로 하여 2021년 7월부터 현재까지 매년 10강좌 정도의 한국사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영어·중국어 자막이 포함된 파일을 K-MOOC와 YOU-TUBE 등에 업로드하거나, 해외대학과 교류하여 직접 유포함으로써 해외 확산을 시도하고 있다.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에서 핵심은 ‘해외 확산’에 있다. 한국에서 한국인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한 해외 수요자의 반응이 중요하다. 이 점을 중시하여 한국사연구소는 해외대학과의 학술교류를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수요자 피드백 확보하고자 했다. 이러한 취지에서 2023년 일본 규슈대·후쿠오카대와의 학술교류 행사를 개최하고, 현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소 제작 콘텐츠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1차년도에 제작된 <한류와 한국사> 10개 주차 영상, <한국사의 디아스포라> 1개 주차 영상을 일본어 자막을 넣어 사전에 제공하고, 이 중 2개 주차를 임의로 선택하여 수강한 뒤 설문조사에 임하도록 했다. 조사에 응한 167명의 학생들은 대체로 학부 1학년생이며, 당시 한국 역사·문화에 관한 교양 수업을 듣고 있었다.
우선 해외 수요자의 성향과 학습기반 파악을 위해 우선 한국에 대한 경험 및 관심도, 한국에 관한 지식 습득 방법, 한국에 관한 학습 동기, 한국사 학습 경험, 한국사 학습 기반 등을 확인하고자 했다. 다음으로 사전 제공한 온라인 강좌에 관한 평가를 의뢰하였는데, 강좌의 분량이나 내용 구성, 퀴즈와 같은 평가문항, 자막의 질적인 부분, 난이도 등에 관해 문의했다. 이러한 설문조사는 향후 콘텐츠 제작에 있어 주제 설정이나 내용 및 화면 구성, 난이도 조절 등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나아가 본 설문조사의 기본 목표가 해외에 통용되는 한국사 콘텐츠 기획·제작 방안 모색에 있는 만큼, ‘K히스토리 연구’,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성공적 수행뿐만 아니라, 한국사학을 포함한 한국학 연구·교육의 국제적 활성화, 한국에 대한 국제적 인식의 향상 등을 위한 단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