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8 Oct 2024
VNU Hanoi,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Asia/Ho_Chi_Minh timezone
welcome!

유교는 불교의 종교성에 어떻게 침윤(浸潤)하였는가

17 Oct 2024, 13:30
40m
Room 108, C1 Building

Room 108, C1 Building

Speaker

Je-gyun Park (성균관대학교)

Description

이 글은 조선 시대 종교 문화에서 유교가 불교의 종교성에 침윤(浸潤)하여 공존할 수 있었던 전략과 요인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학자들은 “불교는 허(虛)이고, 유교는 실(實)이다”라는 주희의 논리를 바탕으로 현세주의적 접근을 통해 일상의 회복과 사회질서의 재건을 강조하며, 후세 지향적 태도와 음복(飮福)을 통해 불교의 종교적 영역인 내세관과 기복 신앙에 침윤하는 전략을 세웠다.
유교 상례는 망자에 대한 애도를 적절하게 표하면서도 일상생활로 완전한 복귀를 돕고, 상주의 몸을 보전하여 후사를 이을 수 있게 하며, 상주가 망자의 사회적 지위를 넘겨 받는 절차를 통해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등 현세주의적이면서도 후세 지향적인 면이 있다. 유교 제례는 후손들의 결속력과 가족 질서를 배울 수 있고, 효의 뜻을 관철하는 계지술사(繼志述事)의 정신은 조상을 받드는 과거 지향적 태도를 넘어 후세의 자손으로 이어지는 미래 지향적 의식까지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유교 상ㆍ제례가 현세에 집중하면서도 후세를 지향한다는 점은 불교의 내세관과 차별화되며, 경쟁력 있는 종교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유교 제례는 보본반시(報本反始)의 정신에 따라 조상에 대한 감사를 전하는 무대가성이 특징이다. 음복을 통한 내면의 완성은 어떤 대단한 것을 이루기 위한 것이 아닌 일상의 평범함 속에서 행복을 지키고, 가정과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즉, 삶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해소하기 위해 초월자에게 의지하는 불교의 기복 대신, 유교는 현세에 집중하여 꾸준한 수양을 통해 가정과 사회에서 일상의 평범함을 지키고 행복을 이루어가는 음복을 제시했다. 이는 초월자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삶의 주도권을 통제할 수 있는 자력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큰 강점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유교의 후세 지향적 태도와 음복은 종교의 영역을 일상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그 경계를 허물었고, 이를 통해 신앙생활과 일상생활을 하나로 연결하며 현생의 삶을 완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질서와 도덕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무력을 이용한 타 종교의 탄압이 아닌 유교의 특장점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기존의 토착화된 종교 문화 영역에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한 점은 K-종교 특유의 혼합성과 융합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trategies and factors that allowed Confucianism to infiltrate and permeate and coexist with the religiousness aspects of Buddhism withi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based on Zhu Xi's assertion that "Buddhism is void(虛), whereas Confucianism is real(實)," emphasized the restoration of daily life and the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through a This-worldly orientation approach. They developed strategies to infiltrate and permeate Buddhism’s religiousness domains, such as its afterlife and prayer for blessings, by adopting a future-oriented attitude and receiving blessings(飮福).
Confucian funeral rites adequately express mourning for the deceased while facilitating a complete return to daily life. They ensure the preservation of the mourner’s well-being, enable the continuation of family lines, and stabilize society by transferring the deceased’s social status to the mourner, reflecting both This-worldly orientation and future generations aspects. Confucian ceremonies teach descendants about familial cohesion and social order, and the spirit of continuity and devotion (繼志述事) in Confucian rituals encompasses not only respect for ancestors but also future-oriented practices extending to descendants. Consequently, Confucian funeral and ritual practices, while focusing on the present, also aim for the future, differentiating them from Buddhism's focus on the afterlife and presenting a competitive religious factor.
Confucian rituals are characterized by their expression of gratitude to ancestor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porting one's origins and returning to the beginning' (報本反始), while not seeking any form of reciprocity. The completion of inner self through receiving blessings is not aimed at achieving grand results but at maintaining everyday happiness and ensuring stability in home and society. In contrast to Buddhism’s reliance on transcendent beings and prayer for blessings to alleviate existential fears and anxieties, Confucianism emphasizes concentrating on the present and maintaining ordinary life and happiness through continuous self-cultivation. This approa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empowers individuals to take control of their lives without reliance on transcendent beings.
In conclusion, Confucianism’s future generations attitude and receiving blessings integrate the domain of religion into everyday life, thus breaking down its boundaries. This integration connects religious practice with daily living, contributing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order and moral values that complete the life of the present world. Moreover, rather than using force to suppress other religions, Confucianism’s differentiated strategy allowed it to naturally assimilate into existing indigenous religious cultural contexts, exemplifying the unique blend and fusion characteristic of K-religion.

Presentation materials